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6.29
  • Accepted : 2016.08.01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ppropriate career educational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junior-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various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 hierarchical analysis by using data surveyed by 10,728 third 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400 schools from the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areer and occupations' subject learning, career psychological tests,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ese results in that 'career and occupations' subject learning, career psychological tests,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help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방향이나 개인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5 학교 진로교육 실태분석'을 위해 전국 400개교 10,728명의 중3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응답내용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 중 '진로와 직업' 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체험은 진로개발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와 직업' 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체험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끝으로 학교 진로교육 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각 종 학교 진로교육 활동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한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환, "청소년의 선호 직업 편중 현상과 진로지도의 과제,"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68-83, 2009.
  2. 교육부,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보도자료, 2016. 4. 5.
  3. 정철영,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과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1-30, 2011.
  4.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3. 5. 29.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 확정 보도자료, 2015. 11. 25.
  6.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년 학교 진로교육 실태조사, 2015.
  7. 정운정, 대학생의 가족지지, 진로정체감, 진로신념과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D. P. Shultheiss, H. Kress, A. Manzi, and J. Glasscock, "Relational influences in career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9, No.2, pp.216-239, 2001. https://doi.org/10.1177/0011000001292003
  9. U. Bronfenbrenner, "Ecological systems theory," Annals of Child Development, Vol.6, pp.187-249, 1989.
  10.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D. Brown & Associate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th ed., pp.255-311, San Francisco: Jossey-Bass, 2002.
  11. 김종운, 이태곤,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 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9-349, 2014.
  12. 이경희, 윤미현,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175-199, 2011.
  13. 정구철, 이상학,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432-44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432
  14. 허정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504-51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504
  15. 정철영, 정진철, 이종범, 정동열, 임효신, 이서정, 임정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155-171, 2015.
  16.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년 학교 진로교육 실태조사, 2015.
  17. 김승보, 진미석, 이지연, 한상근,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18. 최동선, 한상근, 임언, 정윤경, 이상준, 김나라, 이종범, 진로교육 정책의 성과와 추진 방향,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9.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교육법령 해설자료, 2016.
  20. 이승구, 오성욱, "고등학생의 진로검사.직업체험에 대한 취업목표, 취업준비행동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관계 구조모형,"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pp.23-40, 2015.
  21.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교육법령 해설자료, 2016.
  22. 정철영, 정진철, 이종범, 정동열, 임효신, 이서정, 임정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155-171, 2015.
  23. 어윤경,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성숙 수준 변화에 대한 다층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23-41, 2008.
  24.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1
  25.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1957.
  26.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27. 교육부,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016.
  28. 이지연,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과제, 교육전남, pp.16-22, 2013.
  29. 이지연, 이영대, 정윤경, 최동선, 김나라, 장석민, 정영근, 남미숙, 이건남,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 교육 운영모델 구축(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 연구 총서 08-29-01, 2009.
  30. 진성희, 성은모, 최창욱,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78권, pp.195-220, 2015.
  31. 우성욱,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2. 이현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과학 심화선택과목 선정과 진로선택에 대한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3. 권혜경, 이희경,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와 자아강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4호, pp.723-741, 2004.
  34. E. Schmitt-Rodermund and F. W. Vondracek, "Occupational dreams, choices and aspirations: adolescents' entrepreneurial prospects and orientations," Journal of Adolescence, Vol.25, pp.65-78, 2002. https://doi.org/10.1006/jado.2001.0449
  35. 어윤경,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성숙 수준 변화에 대한 다층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23-41, 2008.
  36. 정주원,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 1호, pp.101-118, 2014.
  37. 차정원, 이형실,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한국가정교육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3-67, 2014.
  38. 권혜경, 이희경,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와 자아강도를 매개 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4호, pp.723-741, 2004.

Cited by

  1.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vol.55, pp.3,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