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Needs and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among Older Adults

노인의 여가활동욕구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

  • 임효연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이순민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6.09.12
  • Accepted : 2016.10.04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needs and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among 1307 older adults aged over 60 years utilizing social services of a social welfare center for senior citizens in Seoul, Korea. A convenience sample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or three weeks in December 2012 among older adults via paper surve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age, years of education,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erception of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However, years of education and perception of economic status were no long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when leisure needs was included. Ag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hobbies/entertainment activities and employment/plan of later years activities among types of leisure need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leisure needs influence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improve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among older ad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변화되고 있는 노인들의 여가활동욕구를 파악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여가활동욕구 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수집된 2015년 G구 노인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13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노인들은 심리적으로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가대상자들의 여가활동욕구 정도에 대한 인식은 스포츠참여 및 건강관련 활동, 문화예술관람활동, 지역사회교류활동, 문화예술참여활동, 취업 및 노후설계교육활동, 취미오락활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욕구 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취미오락활동 욕구와 취업 및 노후설계교육 욕구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제요인인 연령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제언으로,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여가체험활동 지원,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탐색의 기회 제공, 노년기 여가욕구와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맞춤형 매칭 프로그램의 개발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http://kostat.go.kr/, 2016.
  2. 박선민, 노인여가욕구를 기초로 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윤소영,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0권, 제4호, pp.47-63, 2006.
  4. M. J. Leitner and S. F. Leitner, Leisure in Later Life, The Haworth Press, 1985.
  5. 허준수, 노인여가, pp.135-136, 한국노인복지학회편, 노인복지학 사전, 학현사, 2006.
  6. 변혜숙, 이정순, 나송숙, "노인의 여가활동이 건강 증진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도시노인과 농촌노인 비교," 제8권, 제2호, pp.53-63, 2013.
  7. M. G. Ragheb and C. A. Griffith, "The Cotribution og leosure participation and leo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 persons," Journal of leisure, 1982.
  8. 모선희, 김형수, 유성호, 윤경아,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2006.
  9.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98-310, 2014.
  10.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291-318, 2016.
  11. 박경희, 치매주간보호서비스가 치매노인 주수발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김영란, 이수애, 권구영, "농촌과 도서지역 노인의 여가실태 및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사회연구, 제19권, 제1호, pp.105-140, 2010.
  13. 이종호, 이용인, 김동건, 조민행, "노인체육 편: 능동적 노화대처 전략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모형 구축,"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4권, pp.479-491, 2005.
  14. 최호경,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5. 장연옥, 현대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문제경,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임효택, 송채훈,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여가활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5호, pp.303-314, 2005.
  18. C. Gordon, C. M. Gaitz, and J. Scott, Leisure and lives: Personal expressivity across the lifespan, In R. H. Binstock & E. Shanas (Eds.). Handbook of Aging and Social Sciences, pp.310-341, Academic Press, 1976.
  19.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2권, pp.149-177, 2006.
  20. 정경희, "2004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주요조사결과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제2005.3권, pp.49-65, 2005.
  21. 황남희, "노인의 여가활동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23호, pp.57-67, 2015.
  22. 김성연, 박미선,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67-84, 2000.
  23. 나항진, "서울지역 노인의 여가의식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35-54, 2003.
  24. 김희년, 정미숙, "지역사회복지시설 이용노인들의 여가활용실태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6권, pp.263-285, 2004.
  25. 이정서, 노인문화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 요인 분석: 서울시 5개권역 복지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26. 김희영, 정봉교,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 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해," 한국노년학, pp.295-313, 2015.
  27. 신복기, 성향숙, 김수영,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4권, pp.313-336, 2006.
  28. S. Giblin, L. Clare, G. Livingston, and R. Howard, "Psychosocial correlates of late-onset psychosis: life experiences, cognitive schemas and attitudes to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9, pp.611-623, 2004. https://doi.org/10.1002/gps.1129
  29. 유정화, "노인 집단에서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화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2호, pp.3-20, 2016.
  30. C. E. Vaillant, "Successful ag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vidence from a 45-years study, In E. H. Thompson, Jr. (Ed), Older men's lives, Sage, pp.22-41, 1994.
  31. 최해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예측 요인: 한국적 성공적 노화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1호, pp.193-217, 2013.
  32. A. Bowling and P. Dieppe "What is successful ageing and sho should define it?," BMJ, No.331, 2005.
  33. 이신영, "중${\cdot}$노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31집, 제1호, pp.287-306, 2012.
  34. 안정신, 정영숙, 서수균, "성숙한 노화 태도와 성공적 노화 및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계: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6권, 제2호, pp.127-143, 2013
  35. 조진희, 김분한,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59-266, 2012,
  36. 정순둘, 임정숙, 이미우, 정세미,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7권, 제1호, pp.123-149, 2016.
  37. 김경식, 이은주, "구두발표: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이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학습발표 논문집, 제47권, p.307, 2009.
  38. J. A. Liffiton, S. Horton, J. Baker, and P. Weir, "Successful aging: how does physical activity influence engagement with life?," European Review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9, No.2, pp.103-108, 2012. https://doi.org/10.1007/s11556-012-0098-0
  39. 김정영, 한상훈, "노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발전논총, 제34권, 제2호, pp.179-208, 2013.
  40. R. J. Havighurst, B. L. Neugarten, and S. S. Tobin, Disengagement pattern of aging, In B. L. Neugarten (Ed.) Middle Age & Aging, pp.160-17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41.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42.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3-23, 2008.
  43. 박경숙, 노인전문자원봉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척도,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44. 이형만,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5. 홍희석, 곽미정, "노인의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개선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9권, 제4호, pp.199-213, 2015.
  46. G. C. Smith, S. S. Tobin, and E. M. Fullmer, "Elderly mothers caring at home for offspring with mental retardation: A model of permanency planning," American Journal on Mental Ratardation, Vol.99, No.5, pp.487-499, 1995.
  47. 김고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8. 정순둘, 전혜상, 송아영, "노인이 인식하는 고령 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환경, 주거환경, 복지 및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3호, pp.29-46, 2015.
  49. 문화관광부, 2012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여가 활동조사, 2012.
  50.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1963.
  51. 오미경, "성공적 노화와 사회적 관계," 뇌교육연구 특별호, pp.149-18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