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ir ICT Literacy Levels

초·중학생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이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남창우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
  • 안성훈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6.06.02
  • Accepted : 2016.08.30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by their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ICT literacy test for students in 300 elementary (4th~6th)- and 300 middle(7th~9th) schools in 2015. The ICT literacy test was composed of two components of 'literacy ability elements' and 'literacy content elem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computer use at home' and 'computer outside school,'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but their extreme computer use affecte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negatively. Second,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ICT literacy test scor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ICT 리러터시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초등학교 300개 학교의 4~6학년, 중학교 300개 학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내용에는 능력요소와 내용요소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 및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ICT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컴퓨터 활용은 오히려 ICT 리터러시 수준을 낮추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이 많을수록, ICT 리터러시 수준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성, 전우천, 김혜숙, 이수영, 김종훈, 곽현석, 서정희,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10-10), 2010.
  2. 서순식, 민경석, 황경현, 장윤정, 김혜숙,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93-220, 2009.
  3. 김용, 김자미, 김병욱, 이승진, 2012년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12-10), 2012.
  4. A. D. Ritzhaupt, F. Liu, K. Dawson, and A. E. Barron, "Differences in Stud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Gender: Evidence of a Digital Divide in Florida School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45, No.4, pp.291-307, 2013. https://doi.org/10.1080/15391523.2013.10782607
  5. 남창우, 안성훈,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525-53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25
  6. 민경석, 서순식,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의 수직 척도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3호, pp.1-19, 2009.
  7. 백순근, 김동일, 김미량, 김혜숙,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중.고등학생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08-4), 2008.
  8. 김현철, 정순영, 김자미, 김홍래, 서정희,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11-4), 2011.
  9. 김용, 김자미, 김병욱, 이승진, 2012년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12-10), 2012.
  10. 이승진, 김자미, 이원규, "초.중학생의 영재분야 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6권, 제2호, pp.69-78, 2013.
  11. 조영남,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 분석 연구: 대구와 밴쿠버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271-296, 2007.
  12. 안성훈, 김성식, 남창우, 김종민, 김혜원, 2015년도 국가수준 초.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R 2015-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