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 Coverage of Industrial Disaster in Korea A Case of Samsung Workers' leukemia

언론이 산업재해를 보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삼성 백혈병 사태의 경우

  • Pang, Huikyong (Institute of Media & Culture, Sogang University) ;
  • Won, Yongjin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 방희경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
  • 원용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07.31
  • Accepted : 2016.09.21
  • Published : 2016.10.1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orean media has covered the leukemia case of Samsung workers. The news articles on the cases, published in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the five major newspapers, progressive Internet news media, conservative Internet news media, and business newspapers between 2007 and 2015, were retrieved and analyzed. Four characteristics of news reports were discovered as following: First, while conservative news media and business news media have exnominated the first phase of the case in which a civil organization Sharp claimed that Samsung workers had leukemia from their workplace; they have nominated the second phase of the case in which Samsung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y compensating the victims for their disease. Second, the media generally have displayed more interests in the results than in the causes of the case. Third, the conservative press and business newspapers have reported the case in favor of Samsung rather than laborer victims. Fourth, the conservative press have deployed market-friendly discourses, rather than problematizing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hrough an abduktive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except the Hangyore and Kyunghyang Shinmun, most of the Korean media, assuming pro-business attitude, do not question or clarify where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ustrial disaster lies by displaying their interests in the phase of solution, not in the phase of cause.

본 연구는 삼성 백혈병 사태에 대한 언론 보도에 초점을 두고, 언론이 산업재해를 보도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지상파 방송 3사와 5대 일간지, 인터넷 진보언론, 보수 성향의 인터넷 언론, 경제지 등에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해당 사태에 관한 보도 기사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보수언론과 경제지는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가 노동자의 백혈병 피해를 주장하던 1차 국면에서는 사건을 왜소화(exnomination)하고, 삼성이 '보상' 방법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던 2차 국면에서는 사건을 확대(nomination)하고 있었다. 둘째, 언론은 삼성 백혈병 사태의 원인 규명보다 결과와 해결책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셋째, 보수언론과 경제지는 해당 사태를 보도하면서 '노동자'와 '노동 현장'을 지움으로써, '반(反)노동 친(親)삼성' 태도를 견지했다. 넷째, 보수언론과 경제지는 사태 전반에서 국가와 시민사회를 삭제하고 시장 중심의 담론을 이어가는 면모를 보였다. 삼성 백혈병 사태에 관한 언론의 보도 방식을 가추적 논증 방식으로 살펴본 결과, 한겨레, 경향신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언론이 기업 친화적 자세를 견지하며 원인 규명보다는 보상에 관심을 보임으로써 책임 소재를 묻거나 따지지 않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구.김낙호.김학재.이성민 (2007). 애국적 열망과 숭고한 과학: 진실추구를 억압한 저널리즘.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59-90.
  2. 김상균.한희정 (2014). 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 탐사보도 프로그램 생산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66호, 242-272.
  3. 김종영.김희윤 (2013). '삼성백혈병'의 지식정치: 노동보건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 <한국사회학>, 47권 2호, 267-318.
  4. 김종영.김희윤 (2016). 반올림 운동과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경제와 사회>, 109호, 113-152.
  5. 박재영.전형준.이규연.이진영 (2008). 황우석 사건의 교훈: 기자들은 무엇을 배웠으며 과학보도는 어떻게 변했다고 인식하는가?.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226-253.
  6. 방희경 (2014). 행위자ᐨ관계망 이론으로 재구성한 '삼성반도체 작업환경과 백혈병 사이의 인과관계': 추단할 수 있는 단서들 수집 vs. 부재 증명. <언론과 사회>, 22권 2호, 64-110.
  7. 손미아 (2009). 삼성반도체 노동자들의 백혈병발생에 대한 이해. <정세와 노동>, 50호, 72-81.
  8. 원용진.홍성일.방희경 (2008). . 서울: 한나래.
  9. 원용진.전규찬 외 (2006). <신화의 추락, 국익의 유령: 황우석, 그리고 한국의 저널리즘>. 서울: 한나래.
  10. 이기형.황경아 (2016).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역할과 성취 그리고 명과 암을 맥락화하기: 텍스트 분석과 미디어 생산자연구를 통해서 조명하기. <한국언론정보학보>, 75호, 83-142.
  11. 이병천.조돈문.송원근 (2008). <한국사회, 삼성을 묻는다>. 서울: 후마니타스.
  12. 이봉수.제정임 (2007). <경제저널리즘의 종속성: 한국 신문의 재벌 보도와 광고와의 관계>. 한국언론재단.
  13. 이영희 (2012).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 의미와 유형. <경제와 사회>, 93호, 13-41.
  14. 이종란 (2009). 삼성반도체 노동자 백혈병의 진실과 과제. <정세와 노동>, 44호, 21-26.
  15. 이희자 (2010).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과로성 재해에서의 상당인과관계 판단. <노동법학>, 36호, 475-505.
  16. 조돈문.이병천.송원근.이창곤 (2014).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 후마니타스.
  17. Smith, T., Sonnenfeld, D. A., & Pellow, D. N. (Eds.). (2006). Challenging the Chip: Labor rights and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global electronics industry.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공유정옥 외 역. (2007). <세계 전자산업의 노동권과 환경정의>. 서울: 메이데이
  18. Grossberg, L. (1992).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 Popular conservatism and postmodern culture.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