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ubject Guide Development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 홍현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강미희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6.08.20
  • Accepted : 2016.09.2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subject guides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materials that National Library of Korea owns. These were developed through process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research on user's awareness,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subject guides in order to reflect characteristics unique to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existed under special historical conditions. The results of acquiring actual data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cquired bibliographic data on 23,731 cases of works and information about figures regarding 117 autho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econd, this study covered raw data generated by the corresponding authors from 1894 to 1945 and the derived data generated by other authors until now on the basis of that.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cluster the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rrangement system by author, genre and time period.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are regarded to be significant because an attempt is made to systematize and structure modern Korean literature existing in a complicated condition to such an extent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even the relevant academic world to find exact statistical data on author at that time.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근대문학 자료를 대상으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였다. 이는 특수한 역사적 조건하에 존재하는 한국근대문학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한국근대문학 및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자 인식조사, 국내외 사례조사 등의 과정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실제 데이터 구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근대문학 저자 117명에 대한 인물정보 및 작품 23,731건에 대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둘째, 1894년부터 1945년까지 해당 저자에 의해 생산된 원자료와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다른 저자에 의해 생산된 파생자료를 범위로 하였다. 셋째, 저자별, 장르별, 시기별 배열체계를 통해 관련정보의 군집화를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관련 학계조차 당시의 작가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알 수 없을 만큼 복잡한 양상으로 존재하는 한국근대문학에 대해 체계화와 구조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민. 1991. 한국현대문인대사전. 성남: 아세아문화사.(Kwon, Young Min. 1991. Dictionary of Korean Modern Author. Seongnam: Aseamunwhasa.)
  2. 권혁준. 2012.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2: 5-60.(Kwon, Hyug-jun. 2012. "A Study on Children's Literature historical meaning of 'Aideulboi'," Korea Children 's Literature, 22: 5-60.)
  3. 김근수. 1992. 한국잡지 연구. 서울: 한국학연구소.(Kim, Keun Soo. 1992. Study of Korea Magazine History. Seoul: Center of Korea Study)
  4. 김명인. 2005. 한국 근대 문학개념의 형성과 - '비애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6(2): 171-201.(Kim, Myung-In 2005,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Since 1910's in Korea,"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6(2): 171-201.)
  5. 김윤식, 김현. 1984. 한국문학사. 서울: 민음사.(Kim, Yun-Sik and Hyun Kim. 1984.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oul: Mineumsa.)
  6. 문화체육관광부. 2015. 국립근대문학관 건립 방향과 근대문학유산의 활용방안 대토론회.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Grand Conference in Establishment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Utilization Plan of Korea Modern Literary-Heritage.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백 철. 1980. 신문학사조사. 서울: 신구문화사.(Baik Cheol, 1980. Main Currents of Thought in Korean New Literature. Seoul: Shingubook.)
  8. 오창은. 2013.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 근대문학관의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56: 327-351.(Oh, Chang-eun. 2013. "A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ith focus on 'Meaning Composition' and 'Space Composition' for National Museu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Journal of Language & Literature, 56: 327-351.)
  9. 원종찬. 2008.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소년(1908)에서 어린이(1923)까지. 동북아문화연구, 5: 73-97.(Won, Jong-Chan. 208.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15: 73-97.)
  10. 이경현. 2013. 1910년대 新文館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Lee, Kyunghyun. 2013. Literary Planning of Shinmun'gwan(新文館)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1. 이선영. 2001. 20세기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가의 반응 - 한국문학논저 유형별 총목록제1-7권에 의거하여. 서울: 실천문학.(Lee, Sun Young. 2001. Experts Responses of 20th Century Korean Library. Seoul: Silcheonmunhak.)
  12. 오현숙. 2016.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과 장르 분화 - 동화와 아동소설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Oh, Hyun-sook. 2016. Formation and Genre Divis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Focused on Children's Story and Novels.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이혜우. 2009. 한국근대문학사 기술방법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Lee, Hae-Woo. 2009. A Comparative Study on Description Methods in Korean Modern Library History. Ph. D. diss., Mokwon University, Korea.)
  14. 임 화. 2009. 개설조선신문학사. 서울: 성현사.(Yim, Hwa. 2009. New History of Literature of Established Joseon. Seoul: Seonghyunsa.)
  15. 조동길. 2014. 한국 근대문학의 지실. 서울: 푸른사상.(Cho, Dong-gIl. 2014. Complete knowledge of Korean Modern Library. Seoul: Prunsasang.)
  16.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5. 서울: 지식산업사.(Cho, Dong-Il. 2005. History of Korean Literature5. Seoul: Jisiksanupsa.)
  17. 조연현. 1985.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성문각.(Cho, Yeon-Hyun. 1985.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oul: Sungmungak.)
  18. 한승옥. 2002. 이광수 문학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Han, Seung-Ok. 2002. Lee, Kwang-Su's literature Dictionary. Seoul: Prunsasang. Press of Korea University.)
  19. 홍현진 외. 201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6(3): 381-405.(Hong, Hyun-Jin et al. 2015. "A Research on User's Awareness of Subject Guid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38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