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through Exemplification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0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Nam(2008a) suggested that the role of teacher for helping students to learn mathematical structures should be the manifestor of tacit knowledge. But there have been lack of researches on embodying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This study embodies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by showing that exemplification is one way of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in terms of goal, contents, and method. First, the goal of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through exemplification is helping students to learn mathematical structures. Second,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through exemplification intends to teach students mathematical structures in the tacit dimension by perceiving invariance in the midst of change. Third,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through exemplification intends to teach students mathematical structures in the tacit dimension by constructing explicit knowledge creatively, reflection on constructive ac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In conclusion, exemplification could be seen one way of embodying the manifestation of tacit knowledge in terms of goal, contents, and method.

남진영(2008a)은 학생의 수학적 구조의 학습을 돕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암묵적 지식의 현시자라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아직 암묵적 지식의 현시의 의미를 구체화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tson & Mason(2015)의 제안한 예 구성 활동이 그 목표, 내용, 방법 면에서 암묵적 지식을 현시하는 한 가지 방식임을 보임으로써, 암묵적 지식의 현시의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첫째,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는 암묵적 영역에 있는 수학적 구조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둘째,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는 예를 통해 변이 속에서 불변적인 요소를 인식함으로써 암묵적 영역에 있는 수학적 구조를 교육하고자 한다. 셋째,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는 명시적 지식을 창의적으로 구성해보는 활동, 활동에 대한 반성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암묵적 영역에 있는 수학적 구조를 교육하고자 한다. 따라서 예 구성 활동은 그 목표, 내용, 방법 면에서 암묵적 지식을 현시하는 구체적인 한 수업 방식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정택(1999). 수학적 구조 지도의 재음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남진영(2008a). 수학적 지식의 구성. 서울: 경문사.
  3. 남진영(2008b). 폴라니의 인식론에 기초한 수학교육의 목적. 수학교육학연구, 18(1), 137-156.
  4. 남진영(2014). 수학의 가치 교육: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63-81.
  5. 박미미(2015). 수학 문제유추에 의한 관계적 구조의 지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진형, 김동원(2016). 예 만들기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1), 1-22.
  7. 이경화(1999). 수학교육과 구성주의. 수학교육학연구, 9(1), 51-80.
  8. 이은정(2015). 수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구성 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장상호(1994). 인격적 지식의 확장. 서울: 교육과학사.
  10. 최근배(2009). 초등수학 영재를 위한 평면에서의 등주문제 고찰 -게슈탈트 관점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2), 227-241.
  11. 홍진곤(2000). 어떻게 구조를 가르칠 것인가 - 군개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0(1), 73-84.
  12. Cobb, P., Wood, T., & Yackel, E. (1993). Discourse, mathematical thinking, and classroom practice. Contexts for learning: Sociocultural dynamics in children's development, 91-119.
  13. Marton, F. (2006). Sameness and difference in transfer.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4), 499-535.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504_3
  14. Mason, J. (2000). Asking mathematical questions mathematicall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1(1), 97-111. https://doi.org/10.1080/002073900287426
  15. Mason, J., Stephens, M., & Watson, A. (2009). Appreciating Mathematical Structure for All.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2) 10-32. https://doi.org/10.1007/BF03217543
  16. Polanyi, M. (1969). Knowing and Being: essays by Michael Polanyi.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7. Polanyi, M. (2001). 개인적 지식: 후기 비판적 철학을 향하여. (표재명, 김봉미 역). 서울: 아카넷. (영어 원작은 1962년 출판).
  18. Polanyi, M. (2015). 암묵적 영역. (김정래 역). 서울: 박영사. (영어 원작은 1966년 출판).
  19. Watson, A., & Mason, J. (2006). Seeing an exercise as a single mathematical object: Using variation to structure sense-mak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8(2), 91-111.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802_1
  20. Watson, A., & Mason, J. (2015). 색다른 학교수학. (이경화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5년 출판).
  21. Watson, A., & Shipman, S. (2008). Using learner generated examples to introduce new concep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9(2), 97-109. https://doi.org/10.1007/s10649-008-9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