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lication of Concrete Object and Semi-Concrete Object in Elementary Geometry Learning

초등기하 학습에서의 구체물과 반구체물 활용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6.06.07
  • Accepted : 2016.09.14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osition as saying that the math learning needs to begin from what diversely presents concrete object or familiar situation is well known as a name dubbed CSA(Concrete-Semiconcrete-Abstract). Compared to this, a recent research by Kaminski, et al. asserts that learning an abstract concept first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aspect of knowledge transfer than learning a mathematical concept with concrete object of having various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lass, which differently applied a guidance sequence of concrete object, semi-concrete object, and abstract concept in consideration of this conflicting perspective, and to confirm its educational implic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a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a concept starting from the concrete object showed what made it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ut wasn't continued its effect, and didn'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achievement. Even a case of showing error was observed rather owing to the excessive concreteness that the concrete object has. This error wasn't found in a class that adopted a concept as semi-concrete object. This suggests that the semi-concrete object, which was thought a non-essential element, can be efficiently used in learning an abstract concept.

수학 학습이 구체물이나 친숙한 상황을 다양하게 제시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장은 CSA(Concrete-Semiconcrete-Abstract)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최근 Kaminski 등의 연구는, 다양한 맥락을 가진 구체물로 수학적 개념을 학습하는 것보다 추상적인 개념을 먼저 학습하는 것이 지식의 전이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관점을 고려하여, 구체물, 반구체물, 추상적 개념의 지도순서를 다르게 적용한 수업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구체물로 시작하여 개념을 도입한 수업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한 것으로 보였으나 그 효과가 지속적이지는 않았으며, 성취도 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구체물이 가지는 과도한 구체성으로 인해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오류는 반구체물로 개념을 도입한 수업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비본질적 요소가 사상된 반구체물이 추상적인 개념 학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2009). 다양성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습현장에서 수학교육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2권, 제4호, 389-409
  2. 교육부(2013).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수학(3). (주)천재교육
  3. 교육부(2015). 초등학교 수학 6-2. (주)천재교육
  4. 김길임(2008). 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 단계에 따른 직접교수가 정신지체 학생의 덧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수(1992).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6. 김응태, 박한식, 우정호(1984).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7. 서지연(2007). 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 단계에 따른 직접 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나눗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우정호, 강흥규(2005). Dewey의 경험주의 수학교육론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제15권 제2호, 107-130
  9. 유태호(2008). 초등학교 수학과 입체도형 영역의 학습 RIA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화(1996).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임영빈, 홍진곤(2016). 구체물의 추상화와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8권 제1호, 159-173
  12. 정동권(2001). 수학교실에서 기하판의 활용 의의와 활용 사례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3권 제2호, 447-473
  13. 차미정(2013). 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단계에 따른 직접교수가 정신지체 중학생 연산수행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한국교육개발원(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92-5-2
  15. Brousseau, G. (1997).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 in Mathematics. Kluwer Academic Publisher
  16. Butler, F., Miler, S., Crehan, K., Babbit, B., & Pierce, T. (2003), Fract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isabilities: Comparing two teaching sequenc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8, 99-111. https://doi.org/10.1111/1540-5826.00066
  17. Hall, S. (2007). This Means This, This Means That.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김진실 역. 기호학 입문. 서울: 비즈앤비즈
  18. Kaminski, J. A., Sloutsky, V. M., & Heckler, A. F. (2005). Relevant concreteness and its effects on learning and transfer. In Proceedings of the XXVII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19. Kaminski(2008). the Advantage of Abstract Example in Learning Math. [SCIENCE] Vol 320
  20. Maccini, P., & Hughes, C.A. (1997). Mathematic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2, 168-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