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ymptoms of summer patch were observed o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v. "Midnight II" from mid-June in 2015 in Seoul, Korea. The symptoms appeared as leaf blight, root rot, and frog-eye patch, which are typical of summer patch. To identify the causal agent of these symptoms, a pathogen was 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and roots, and the cultural,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isolate reached 50-60 mm on potato dextrose agar (PDA) after 10 days as a white-grey mycelium with septa, and became olive-green or brown from the center. Phialide-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at the ends of hyphae, and conidia were rarely observed. A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large subunit (LSU) and RNA polymerase II large subunit (RPB1) sequences.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isolated pathogen was confirmed to be Magnaporthiopsis poae. In a pathogenicity test, summer patch symptoms were observed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using the same grass cultiva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mmer patch disease caused by M. poae on cool season grass in Korea.
2015년 6월 초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Midnight II" 품종이 식재된 서울시 소재 잔디밭에서 잎마름 증상, 뿌리썩음 증상 및 개구리 눈 모양의 전형적인 summer patch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원균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이병 잎과 뿌리에서 병원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및 균학적 특징과 분자마커를 이용한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병원균은 배양 10일 후 약 50~60 mm 가량 생장하였고, 균사는 회백색을 띄며 중앙부터 황록색 혹은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경자(phialides)의 경우, 그 유사조직이 주로 균사의 말단에서 관찰되었으나, 분생포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분리된 병원균의 정확한 동정과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large subunit (LSU)와 RNA polymerase II large subunit (RPB1) 유전자를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병원균은 Magnaporthiopsis poae M47 균주와 가장 근연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otato dextrose agar (PDA) 배지에서 배양된 병원균을 멸균된 메스로 잘라 동일한 품종의 잔디에 접종한 결과, 약 20일 후 잎마름 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Kentucky bluegrass에 summer patch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Magnaporthiopsis poae로 보고하고, 위 병원균에 의한 한지형 잔디의 병징을 여름잎마름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