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xtuality and Vision : Visual Narrative of Ancient Chinese Literature Art Focused on Narratology's Viewpoint

중국 고대예술의 도상서사와 시각문화 연구 -회화의 이시동도법과 만화의 칸의 상호 해석-

  • 조정래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
  • 황국례 (남대과기대학 시각전달설계계)
  • Received : 2016.06.13
  • Accept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hibit the iconographic narrative and visual culture of ancient Chinese art.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composit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phic forms, in particular the heterochronous expression of different scenarios of scenes occurring in different time periods in pictures of ancient art. The unity of their origins with picture narration and comic art creation is the fusion of our modern times. The ancient Chinese understanding of visual art includes the traditional style of image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mong artistic narrative expression, imagery contemplation and visual presentation have significance. Artistic thinking is inseparable from visual articulation. It is a rational thought process through creative language interpretation in visual media of imagery narratives.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imagery thinking and the way of presenting sequential incidents in the form pictures is a creative space of time. This is the spatial thinking of modern comic art, which is demonstrated through acceptance in artistic styles. Image narration needs new forms and media styles, including integrating with cultural values as aesthetic communication is necessary.

본 연구는 중국 고대예술의 이미지 서사와 시각문화에 관한 연구로, 문학과 회화형식이 결합된 복합적인 텍스트와 시각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고대예술의 시각적 사유방식과 이시동도(異時同圖)적 표현, 고대의 도상 서사방식과 만화예술의 칸의 상호 해석을 통한 매체적 합일성 그리고 도상서사의 만화적 연원과 현대적 수용방식이다. 중국 고대의 시각에 대한 인식은 전통적인 양식적 형상과 의미적 상징을 포괄한다. 예술의 서사적 이미지로서 도상의 형상적 사유와 시각적 표상은 예술 창작활동 가운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예술적 사유 또한 시각적 표상과 분리되어 질 수 없다. 시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는 도상적 서사방식은 일종의 이성적 사고를 지닌 창의적 언어표현이다. 고대예술의 이미지 사유방식과 이시동도적 시공간표현 특징은 일종의 예술적 공간의 시간화로 현대 만화예술의 사유공간으로서 또 다른 조형적 수용방식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서사방식은 새로운 조형미와 매체형식 그리고 문화가치가 결합된 현대인의 대중적 미적욕구와 소통을 필요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葛兆光, "成爲文獻:從圖像看傳統中國之'外'與'內'," 文匯報, pp.23-25, 2015.11.13.
  2. 빅토르 어얼리치, "러시아 형식주의의 기본 개념들," 신비평과 형식주의, 고려원, p.130, 2001.
  3. 劉佳, "從文學價值到圖像價值," 河北大學碩士學位論文, pp.28-31, 2010.
  4. 阿恩海姆, 視覺思維, 四川人民出版社, p.18, 1998.
  5. 陳建華, "凝視與窺視," 政大中文學報, Vol.9, No.1, pp.28-29, 2008.
  6. 최광진, "현대 시각예술에서 재현의 의미기능," 조형예술학연구, 제4권, 제1호, pp.67-70, 2002.
  7. 汪振城, "視覺思維中的意象及其功能," 學術論壇, Vol.28, No.2, 2005.
  8. 조정래, "서사적 관점에서 본 만화 <형가자진왕>의 도상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87, 2014.
  9. 王克文, "傳統中國畵的 '異時同圖'問題," 美術硏究, Vol.14, No.4, pp.70-72, 1988.
  10. 陳葆眞, 洛神賦圖與中國古代故事畫, 石頭出版股 份有限公司, pp.80-104, 2011.
  11. 스콧 맥클라우드,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p.17, pp.106-107, 2008.
  12. Mario Saraceni, The Language of Comic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7-11, 2003.
  13. 이순구, "시간과 공간의 분절(分節)형식으로서의 칸과 틀,"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9호, pp.5-12, 2005.
  14. 龍迪勇, "圖像敍事:空間的時間化," 江西社會科學, Vol.27, No.9, pp.40-4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