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ge-Friendly Community Scale

고령친화도시 점검 단축형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 박경순 (연세대학교 ssk 활동적인 고령화사업단)
  • Received : 2016.05.02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short-form of age-friendly scale which was suitable for the Korean citie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To develop the scale, WHO and Seoul welfare foundation's age-friendly city guid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on people aged over 55 years old living in Seoul. The result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even-factor structur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scale. Seven factors were outdoor amenity, transportation, leisure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social communication, health and welfare service,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age-friendly scale. Also its good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단축형 고령친화도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HO의 고령친화도시 점검 항목과 서울시복지재단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고령친화도시 점검의 필수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서울시 거주 55세 이상 중고령자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령친화도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쾌적성, 교통 환경의 편의성, 지역사회 여가활동, 사회참여, 사회적 의사소통, 보건복지서비스 이용 편이, 사회적 배제 경험 등 7개 영역, 27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신뢰도분석, 상관 분석, 타당도분석을 통해 수렴타당성과 내적일관성,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2. 박경순, 박영란, 염유식,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2호, pp.200-227, 2015.
  3. C. H. Bae and H. J. Lee, "A comparative review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제19(단일호)권, pp.3-16, 2008.
  4. 황종남, 권순만, "중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971-986, 2009.
  5.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HO, 2007.
  6. 정경희, 이윤경, 이소정, 유삼현, 초고령지역의 보건복지 모형설계를 위한 세부지침 개발 -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설계를 위한 지침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7. 김선자, 김경혜, 김현정, 서울시 고령친화도 평가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008.
  8. 이민홍, 이재정, 부산시 고령친화도 평가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11.
  9. 고승한, 임병우, 제주지역의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2011.
  10. 김영혜, 남효정, 고주희, 경기도 고령친화도시 조성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11. 이상철, 장인복, 오지선, 신주연, 김예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1.
  12. 이동현, 황영우, 이은진, 부산시 노인친화도시 조성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12.
  13. 김수영, 진재문, 문경주,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삶의 조건이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1-24, 2015.
  14. 정경희,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국제적 흐름: 배경과 의의," 보건복지포럼(2010. 10), pp.102-112, 2010.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WHO, Geneva, 2002.
  16. P. H. Feldman, M. R. Oberlink, E. Simantov, and M. D. Gursen, Advant Age Initiative, 2004.
  17. AdvantAge Initiative, A tale of two older Americas: Communit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dvantAge Initiative 2003 national survey of adults aged 65 and older, Center for Home Care Policy and Research, Visiting Nurse Service of New York, 2004.
  18. P. B. Pollak, Liveable communities: An evaluation guide, Washington, DC: AARP, 1999.
  19. AARP, Livable communities: An evaluation guide, AARP Public Policy Institute, 2005.
  20. National Association of Area Agencies on Aging and Partners for Livable Communities, A blueprint for action: Developing a livable community for all ages, 2007.
  21. 지은구, 이원주, 김민주,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 개발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459-489, 2013.
  22.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23.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