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 강인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6.05.17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The subject of survey is the baby boomer(from 1955 to 1963) and it was done from May 1 to September 15 in 2016. 814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y SPSS WIN18.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y education level, subjective awareness of economic statu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condition, marriage statu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by education level, job, subjective awareness of economic statu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condition. Third, The higher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as deserved to significantly affect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 정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에서 814명의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SPSS WIN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학력,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 정도는 학력, 직업,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화 인식이 높을수록 노후를 위한 준비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들의 성공적 노화와 노후 준비에 관한 정책과 서비스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동시에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이론적 교육 및 노후 준비에 관한 실천적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옥, 하규수,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2호, pp.121-144, 2013.
  2.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0권, pp.95-106, 2003.
  3. 김경아, "우리나라의 세대별 노후준비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베이비부머와 이전 및 이후 세대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4권, pp.7-30, 2014.
  4.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1호, pp.211-231, 2008.
  5.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325-352, 2012.
  6. 김미령,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2권, pp.257-288, 2013.
  7.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35-52, 2005.
  8. 김윤정, 최윤희,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197-213, 2004.
  9. 문숙재, 김순미, 김연정,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재정상태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23-236, 1996.
  10. 박지승, 베이비부머의 노후소득준비 현실과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호, pp.63-72, 2013.
  11.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81-302, 2012.
  12. 박현식, "필리핀 베이비부머 교민의 성공적 노후준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02-3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02
  13.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88.
  14. 배문조, "성인들의 노화사실인지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111-131, 2012.
  15.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357-383, 2011.
  16. 백지은, 최혜경,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16, 2005.
  17. 안정신, 강인, 김윤정,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25-245, 2009.
  18.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38-7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38
  19. 이소정,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와 노후설계 지원서비스의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0. 인은영, 김찬우, "중간소득 이하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4권, pp.25-52, 2015.
  21. 정경희,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 생활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제5호, pp.40-49, 2012.
  22. 정경희, 이소정, 이윤경,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3. 통계청,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 사회적 특성분석, 2012.
  24. 통계청, 2015 한국의 사회지표, 2016.
  25. 한경혜, 우석진, 최혜경, 하정화, 베이비부머 삶의 변화와 지속성, 2010-2012, 한국 베이비부머패널 연구 2차년도 보고서, 서울대학교 노화.고령화 연구소와 메트라이프 재단, 2013.
  26. 홍성희, 곽인숙,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6권, 제4호, pp.69-92, 2012.
  27. P. B. Baltes, M. M. Baltes, A. M. Freud, and F. R. Lang, The measure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SOC) by self-report, Berlin,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1999.
  28. B.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1, No.3, pp.239-250, 1995. https://doi.org/10.2190/HA9X-H48D-9GYB-85XW
  29. M. W. Parker, J. M. Bellis, P. Bishop, M. Harper, R. M. Allman, C. Moore, and P. Thompson, "A multidisciplinary model of health promotion incorporating spirituality into a successful aging intervention with African American and white elderly groups," The Gerontologist, Vol.42, pp.406-415, 2002. https://doi.org/10.1093/geront/42.3.406
  30. J. Quadagno, Aging and the Life Course: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Mcgraw Hill New York: Pantheon Books, 2010.
  31.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32. C. D. Ryff,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12, pp.35-55,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