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Nursing Students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6.04.22
  • Accepted : 2016.06.21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Korea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8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constructed to include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Scale. As a result, self-estee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Korean nursing students were found to be(Self-esteem: $3.4{\pm}0.57$; Communication competence: $3.5{\pm}0.42$; Clinical practice stress: $3.6{\pm}0.58$). Also, the nursing students with female(85.4%), experience of simulation on clinical training(72.2%)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clinical practice stres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undesirable role model(r=.156, p=.029),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r=-.329, p<.001).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stress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 gend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experience of simulation on clinical training. They amounted to 27.8% in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strategies to decreas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 대학생 198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아 존중감 척도, 의사소통능력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5점 만점에 자아 존중감은 평균 $3.4{\pm}0.57$,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5{\pm}0.42$,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3.6{\pm}0.58$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 남학생보다 여학생(85.4%),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72.2%)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자아 존중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하위 변수인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r=.156, p=.029),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32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성별, 임상실습만족도, 시뮬레이션 실습경험 여부였다. 이 요인의 설명력은 총 27.8%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이들 변수를 반영한 다양한 교수법 활용 및 학습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숙, 장윤경, 박수호, 송소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37-345, 2011.
  2.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8
  3.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16-225, 2011.
  4. 김순례, 이종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8-106, 2005.
  5. 임경춘,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46-256, 2011.
  6.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방안, 서울: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0.
  7.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99-3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8. F. Sharif and S. Masiumi,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BioMed Central Nursing, Vol.4, No.6, 2005. DOI: 10.1186/1472-6955-4-6.
  9. 박복순,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하나선, 최명숙, "간호학생의 리더십 유형과 자아 존중감,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계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3-21, 2005.
  11.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In T. A. Wills (Ed.). Basic process in helping relationships, NY: Academic Press, 1967.
  12. 이자영, 남숙경, 이미경, 이지희, 이상민,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1호, pp.173-189, 2009.
  13. 조인영,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및 의사소통교육요구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2593-2601,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593
  1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5.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 1967.
  16.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7.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18. L. F. Bachman,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9. R. B. Rubin, P. Palmgreen, and H. E. Sypher, Communication research measures: a sourcebook, NY: Guilford Press, 1994.
  20.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21. 김인숙, 장윤경, 박수호, 송소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37-345, 2011.
  22. D. Beck and R. Srivastava,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0, No.3, pp.127-133, 1991.
  23. 이애경, 유혜숙, 박인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54-163, 2015.
  24. 한영인, "간호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1호, pp.135-150, 2014.
  25. 신은정, 박영숙,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636-564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36
  26. 도은수, 서영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83-291, 2014. https://doi.org/10.7739/jkafn.2014.21.3.283
  27. 최선영, 유명란, 이미정, "간호사관생도의 생도생활적응 영향요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군진간호연구, 제32권, 제1호, pp.1-13, 2014.
  28. 조결자, 박순복, 이명희,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24-31, 2008.
  29. W. A. Suliman and J. Halabi, "Critical thinking,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of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27, pp.162-168, 2007. https://doi.org/10.1016/j.nedt.2006.04.008
  30. 이순희, 정승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340-349, 2014.
  31. R. S. A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32. R. S. Lazarus and S. Folkman, "Transactional theory and research on emotion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 No.3, pp.141-169, 1987. https://doi.org/10.1002/per.2410010304
  33.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3, 2006.
  34. H. O. Altiok and B. UstUn, "The Stress Sources of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Vol.13, No.2, pp.760-766, 2013.
  35.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16-225, 2011.

Cited by

  1. Influences of Communication Skill and Interpersonal Ability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vol.25, pp.2, 2018, https://doi.org/10.7739/jkafn.2018.25.2.99
  2.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vol.25, pp.1, 2018, https://doi.org/10.7739/jkafn.2018.25.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