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Relative Prior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Welfare Workers System

문화복지사 제도 활성화를 위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

  • 권기창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안동대학교 창조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6.05.25
  • Accepted : 2016.07.14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national income, the importance of cultural welfare has been magnified. To actively cope with such a situation of the times, the government has operated the cultural welfare workers system; however, the reality today includes many problems such as lack of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the system. Thus, this thesis has as an objective to extract prior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welfare workers system through analyses of precedents, investigations by professionals and related systems, and to propose measures of improvement. The priorities, in case of higher levels, are in the order of: utilization of manpowe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st subjects, methods of license acquisi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In order for the cultural welfare workers system to be efficiently operated based on the priorities, the existing system needs to offer state-certified licenses and provide workers with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refresher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manpower.

국민의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복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문화복지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신뢰성과 전문성 부족 등의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 전문가조사, 관련제도 분석을 통해 문화복지사 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우선순위는 상위수준의 경우 인력활용, 교육과정 및 시험과목, 자격취득방법,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우선 순위를 중심으로 문화복지사 제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 공인 자격제도로의 전환과 함께 보수교육과 인력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훈, 서순복,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법제 정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pp.186-19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86
  2. 류재구, 문화소외계층의 문화복지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 김세훈, 조현성, 문화복지중기계획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4. 김휘정, "문화복지정책의 동향과 문화복지사업의 발전 방향," 예술경영연구, 제26집, pp.35-61, 2012.
  5. 문철우, 이석규, 박종성, 이상교, 연영주, 김두현, 배승철, 박종미, 양지원, 문화복지사 양성 및 문화 산업적 활용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6. 문화체육관광부 국회 제출 자료(2015년10월)
  7. Scottish Aeta Council, Business Plan for Strategic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Cultural Co-ordinator Programme, 2007.
  8. http://www.1st4sportqualifications.com
  9. Ballarat City Council, Regional Cultural Partnership : Regional Arts Development Officer, 2006.
  10. Ballarat City Council, POSITION DESCRIPTION : Arts and Cultural Development Coordinator, 2007.
  11. 독일 노동청 직업넷(BERUFENET)
  12. http://www.recreation.or.jp
  13. http://www.nrpa.org
  14. 정갑영, 조현성, 문화복지사제도 도입을 위한 실행방안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6.
  15. 박덕규, 김수복, 엄정희, 최수웅, 지역문화지도사 양성과 활용방안, 전국문화원연합회, 2005.
  16. 김용범, 정광열, 허권, 홍기원, 강일구, 문화행정 전문인력양성 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7.
  17. 권영범, 차수정, "문화예술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pp.601-617, 2015.
  18. 사회복지사업법, 동법시행령, 동법시행규칙.
  19. 청소년 기본법, 동법시행령, 동법시행규칙.
  20.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동법시행령, 동법시행규칙.
  21. 조철호, SPSS/AMOS활용 구조방정식 모형 논문통계분석, 도서출판 청람, pp.37-41, 2015.
  22. 박명신, 장은숙, 박수정, "평생교육사 직무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교육연구 논총, Vol.33, No.1, pp.165-18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