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and Senior Life,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관계

  • 김남원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장선철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임은실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6.07.28
  • Accepted : 2016.08.29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is research defin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and senior life(PRSL),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RPA),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RSL) to know the expectation about retired lif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retirement related factors, PRSL, and RPA. For this, From November 2015 to February 2016, I researched from 20 to 69, 1,500 currently working adults in the country, mailing surveys with the letter introducing this research's purpose and procedure and having them send them back, or researcher's spreading and collecting the surveys, eliminating 83 cases of negligent answers, finally analyzing 1,417 surveys. The result shows age, monthly income, and residing at their own places made more positive PRSL, RPA,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level(FRPL), and expectancy about satisfactory retirement life. When they had less children, PRSL and RSL were higher. When they had more children, RPA was more proactive, and FRPL was higher. When they had positive PRSL, RPA was more proactive, and expectancy about retired life was high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defining differences of retirement related factors and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SL, RPA, and RSL.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관련 변인의 차이와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에 따라 은퇴 이후 삶을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월 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거나,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 경제적 은퇴준비 수준이 높고, 은퇴 이후 삶이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자녀수가 적을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만족도가 긍정적이었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며, 경제적 은퇴준비 수준이 높았다. 또한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었고, 은퇴 이후 삶이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관련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고,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진, 이기호, 30대부터 준비하는 은퇴 후 30년, 서울: 비즈니스북스, 2006.
  2. 통계청 http://www.kostat.go.kr
  3. 김종모, 노후생활인식과 재무교육이 은퇴준비와 만족예측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 이지영, 최현자,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韓國老年學, 제29권, 제1호, pp.215-230, 2009.
  5.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6. 여윤경, "한국 중산층 가계의 노후자금 적정성," 韓國老年學, 제25권, 제1호, pp.21-36, 2005.
  7. 정운영, 백은영, "은퇴에 대한 의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분석," 社會保障硏究, pp.115-139, 2009.
  8. 배문조,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7호, pp.89-102, 2004.
  9. 이루리, 은퇴인식과 여가만족도가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년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 장몽교, 20.30대 소비자의 경제적 은퇴준비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강정애, 은퇴 예정자의 은퇴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은퇴 만족과의 관계분석,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2. 허균석, 경제적 은퇴준비 특성과 은퇴생활수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3. 김연진, 한국형 은퇴준비 척도타당화 연구, 단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곽민주, 이희숙, "은퇴시점 계획을 하고 있는 50대 가계의 특성," 생활과학논총, pp.177-187, 2012.
  15. 차경욱, 박미연, 김연주,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 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49-163, 2008.
  16. 홍성희, 곽인숙,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9-104, 2007.
  17. 고화정, 한국 은퇴자 유형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8. 김미령,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분석," 韓國老年學, Vol.33, No.3, pp.617-636, 2013.
  19. 홍성원,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고령화연구패널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이소정,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72-80, 2009.
  21. Fishbein & Ajzen, 합리적 행위 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Fishbein & Ajzen), 1975.
  22. Vicki Schram Fitzsimmons, Tahira K. Hira, Jean W. Bauer, and Jeanne L. Hafstrom, "Financial management: Development of scal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Vol.14, No.3, pp.257-274, 1993. https://doi.org/10.1007/BF01022180
  23. 한경혜, 김주현, 백옥미,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133-162, 2012.
  24. 김정현, 중년 남성의 포커싱적 태도가 은퇴준비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년남성교사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김남원, 장선철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7호, pp.522-531, 2016.
  26. Roland Robertson, "Role Theory, Concepts andResearch by Bruce J. Biddle,"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17, No.4, pp.442-443, 1966. https://doi.org/10.2307/589196
  27. Pinquart, Martin & Schindler,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Transition to Retirement: A Latent class Approach," Psychology and Agin gww(3), pp.442-455, 2007.
  28. R. Atchley,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Gerontologist, Vol.29, pp.183-190, 1989. https://doi.org/10.1093/geront/29.2.183
  29. Y. Conwell, "SuicideinLaterLife: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Suicide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1, No.1, pp.32-47, 2001.
  30.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3, pp.97-119, 2010.

Cited by

  1. A Study on the Retirement and Old-Age Preparedness of Optometrists vol.23, pp.4, 2018, https://doi.org/10.14479/jkoos.2018.23.4.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