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Affecting the Voluntary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Compliance Behavioral Belief, Compliance Knowledge, and Compliance Relevance to Job

자발적인 정보보안 컴플라이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준법에 대한 신념, 준법 관련 지식, 그리고 업무의 준법 연관성을 중심으로

  • 김상수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 김용진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 Received : 2016.01.25
  • Accepted : 2016.05.2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Theory, this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examines a structural model consisting of factors affecting voluntary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study analyzes survey results from employees of a major Korean energy company, which employs an enterprise compliance support system. Results indicate three factors: compliance behavioral belief and compliance knowledge affect compliance behavior; compliance knowledge work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behavioral belief and compliance behavior; and the more relevant the compliance is to an employee's job, the more the employee prioritizes compliance knowledge. This study suggests methods for encouraging employees to embrace voluntary, positiv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standards. By doing so, this article aims to promote a more effective corporate compliance system for information security and enhance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s.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 관련 법률과 기업의 정보보안 정책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준법행동(compliance behavior)에 대하여 계획된 행동이론과 사회적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준법에 대한 신념과 준법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준법의식의 형성 과정에서의 준법 관련 지식의 중요성을 제기하는 연구모형의 분석을 통해 기업의 정보보안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업 내에서 업무의 준법 연관성이 준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봄으로써 부문과 직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방법을 다루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사 내 준법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준법지원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 정유회사 S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검증 결과, 준법에 대한 신념과 준법 관련 지식은 각각 준법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준법에 대한 신념은 준법 관련 지식을 통해 준법행동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준법 관련 지식에는 업무의 준법 연관성이 조절효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주를 이루었던 통제, 처벌과 같은 억제 요인의 효과성 측면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준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준법 관련 지식과 준법 연관성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기업이 직면한 정보보안 관련 법률과 기업의 정보보안 정책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준법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특성들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종합적인 컴플라이언스 체계 수립에 기초가 되고 지속가능경영을 제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