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비교

The Compari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Urban-Rural Elderly

  • 이정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Lee, Jeong Hu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 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4.25
  • 심사 : 2016.08.25
  • 발행 : 2016.08.31

초록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노인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 근린 여가활동에 따른 건강 수준 차이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 등급으로 구분된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을 토대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추정 결과 개인의 인구 사회 경제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접촉과 근린 여가활동들도 도시와 농촌 노인의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건강 수준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의 경제적 수준(교육수준과 가구 소득)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노인의 경우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건강 등급 1등급을 높일 오즈비가 1.82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들 수 있다.

Population aging has been an increasing social issue and the elderly health has become one of the most urgent public attentions in Korea.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compar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networks, and daily leisure activities of the urban-rural elderly,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Using 2011 elderly survey data, ordered logit Model was established to extract influencing factors of the elderly health status. The results show that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s well as frequent social contacts and daily activities within neighborhood environments influence the level of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health are personal economic conditions such as the education achievement level and household income. The elderly who visit an elderly welfare center in Seoul has almost 1.82 times higher odds of increasing health status level than not to visit an elderly welfare center. This study may give som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of the elderly health promotion strategy in urban-rural commun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은, 2012, 지역사회 환경과 노인 우울의 관계에 대한 다층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기정.표갑수, 2008, 재가 노인의 우울감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노인복지연구, 39, 111-144.
  3. 김동배.유병선, 2013,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1), 105-123.
  4. 김아름, 2015,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고 령거주자의 근린활동 및 사회적 관계망과의 영향관계 연구: 서울시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태, 2013, 독거노인의 개인적 속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9, 187-208.
  6. 김용진, 2012, 도시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근린환경 요소: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용진.안건혁, 201,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 설계학회지, 12(6), 89-99.
  8. 김자영.한창근, 2015, 노인가구의 자산수준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42(1), 55-79.
  9. 김진현.원서진, 2011, 노후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노년학, 31(3), 461-478.
  10. 노국희, 1998,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수준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9(1), 104-116.
  11. 박영란.박경순.정은화, 2014,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부정성이 농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2), 151-177.
  12. 신혜종.박명숙, 2011,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50(2), 115-141.
  13. 이시영.이희정.임병호.심준영, 2011, 고령자를 위한 거주지 외부환경 평가: 대전시 거주 준고령 자 이상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9(4), 39 -48. https://doi.org/10.9715/KILA.2011.39.4.039
  14. 이유진.김의준, 2015,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1), 65-88.
  15. 이형숙.안준석.전승훈, 2011, 도시 노인들의 걷기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2), 65-72. https://doi.org/10.9715/KILA.2011.39.2.065
  16. 정윤경, 2014, 노년기 취업활동의 변화와 우울증상: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노인복지연구, 66, 55-81.
  17. 정현숙, 2007,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19. 최은정, 2000,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원과 노인 의 정신건강 및 신체적 건강, 사회와 문화, 11, 185-203.
  20. 한수경.이희연, 2015,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6(20, 183-201.
  21. Berkman, L. F.. 1995, The role of social relations in health promotion, Psychosomatic Medicine 57, 245-254. https://doi.org/10.1097/00006842-199505000-00006
  22. Cantor, M. H., 1979, Neighbors and friends: an overlooked resource in the informal support system, Research on Aging, 1, 435-463.
  23. Chou, K. L. and Chi, I., 2000, Financial strain and depressive symptoms in Hong Kong elderly Chinese: the moderating or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Aging & Mental Health, 5(1), 23-30. https://doi.org/10.1080/13607860020020609
  24. Elreedy, S., Krieger, N., Ryan, P., Sparrow, D., Weiss, S. and Hu, H., 1999,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and neighborhood-based measure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bone lead concentrations among community-exposed men: the normative ag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0(2), 129-141.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09972
  25. Glass, T. A. and Balfour, J. L., 2003,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In Kawachi, I. and Berkman, L.(eds.),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03-334.
  26. Hahn, C-Y., Yang, M-S., Yang, M-J., Shih, C-H. and Lo, H-Y., 2004, Religious attend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1148-1154. https://doi.org/10.1002/gps.1204
  27. King, D., 2008, Neighborhood and individual factors in activity i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neighborhood and senior health stud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6(2), 144-170. https://doi.org/10.1123/japa.16.2.144
  28. Leibson, C. L., Garrard, J., Nitz, N., Waller, L., 1999, The role of dep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physical health and clinically defined illness, The Gerontologist, 39(3), 291-298. https://doi.org/10.1093/geront/39.3.291
  29. Lincoln, K. D., 2007, Financial strain, negative interactions, and mastery: pathways to mental health among older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Black Psychology, 33(4), 439-462. https://doi.org/10.1177/0095798407307045
  30. Morgan, K., Bath, P. A., 1998, Customary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ing: a longitudinal study, Age and Ageing, 27, 35-40.
  31. Robert, S. and Li, L., 2001, "Age var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ocioeconomic status and adult health," Research on Aging, 23(2), 234-259. https://doi.org/10.1177/0164027501232005
  32. Seeman, T. E., 1996, Social ties and health, Annals of Epidemiolog, 6, 442-451. https://doi.org/10.1016/S1047-2797(96)00095-6
  33. Townsend, A. L., Miller, B. and Guo, S., 2001,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couples: A Dyadic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56B(6), S352-S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