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진 명지동을 사례로 낙동강 삼각주의 거시적 공간 변화와 지역주민들의 적응과정을 미시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명지동의 공간적 변화는 1910년 발행된 구한말 지도집, 지형도, 지지(地誌), 시사(市史) 등에서 지도를 수집하고 GIS 프로그램의 지리참조 기능을 이용해 좌표를 부여한 후, 각 지역의 시계열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조선총독부, 김해수리조합, 국가의 계획이나 정책에 의해 추진된 공간변화는 이전과 다른 환경적, 인문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역과 주민들의 토지이용, 주택, 산업 등에 다양한 적응과정을 불러왔다. 이러한 적응과정은 문헌을 수집하고 비교한 후, 현지조사에서 실시한 지역주민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충하였다. 연구지역은 1935년 낙동강제방과 명지방조제 축조를 시작으로 1940년대 후반 김해수리조합의 구역확장공사가 이루어진 이후 형성된 농업적, 전원적 경관이 1970년대 이후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에 따라 상업적, 도시적 경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This study has taken the Myeongjidong island, which has experienced spatial change due to various reasons rang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today, as an instance in order to comprehend macroscopic spatial change of the Nakdonggang Delta 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locals in a microscopic point of view. Spatial change of the Myeongjidong has been confirmed by collecting maps such as the atlas of late period of Chosun published in 1910, topographic map, regional geography, city records, and by applying coordinates with geographic reference function of GIS program, then checking for time sequential space change of individual regions. Space change dr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and by national policy or planning brought about environmental and humanistic changes unlike ever before, and land usage, housing and industry of the region and the locals experienced various adaptation processes. Such processes were compiled through collection and comparison of literature, and supplementation from interview of the locals during field study. As for the research region, it ranged from the construction of Nakdonggang bank and Myeongji seawall of 1935, agricultural rural landscape formed after the area expansion project by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in 1940, to landscape that are becoming mercantile and urban due to the developmental plan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