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AR 전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AR Strategy on 5th Graders'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 투고 : 2016.06.06
  • 심사 : 2016.08.22
  • 발행 : 2016.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질문전략 중 QAR(Question-Answer-Relationship)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9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49명과 비교집단 48명을 선정하였다. 수업실시 전과 후, 각 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기질문전략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유형에 따른 과학적 태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태도에 있어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적응자(46.9%), 수렴자(24.5%), 분산자(20.4%), 융합자(8.2%) 순이었다. 자기질문전략을 적용한 수업 후 과학적 태도에 있어 학습유형 집단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유형 중 융합자 보다는 적응자, 수렴자, 분산자의 과학적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Question-Answer Relationship (QAR)strategy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the elementary fifth grade students whose learning styles have beenidentifie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nstitutes the total of 97 elementary fifth grade students who wereassigned into a comparison (n=48) or experimental group (n=49). To understandhow the QAR strategy potentially influencedscientific attitude, both groups were surveyedin the areas of scientific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Kolb's Test was used to identifythe students' learning stylein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the learners' learning style, the result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Second, four learning styles were identified among the studentsin theexperimental group: a) Accommodators (46.9%), b) Convergers (24.5%), c) Divergers (20.4%), and d) Assimilator (8.2%). Following the data analysis,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four groups oflearning styles with respect to their scientific attitude.Applyingthe QAR strategy in a science class seemed toimprove the accommodators, convergers, and divergers' scientific attitude posi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제2009-41호), 179-210.
  2. 김범준, 김형범, 조정은, 배성희(2015). 상호작용에 따른 논증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09-3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09
  3.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4.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5. 박지민(2010). 초등학생의 학습 유형, 학업성취도, 체계화하기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6. 박정인(2007). 과학적 질문.공유 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7. 배진호, 김정아(2008). 고차적 질문 생성 전략이 초등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55-565.
  8. 이신동(2005). Kolb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6(4), 125-144.
  9.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10. 양미경(2002). 학생의 질문행동 및 내용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교육학연구, 40(1), 99-128.
  11. 조현숙(2004). 자기질문전략 훈련이 독해학습장애아의 독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2. 최선영, 김지인(2011). 초등과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적용에 따른 학습자 유형에 대한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4), 615-623.
  13. 최은아(2006). 과학적 의문을 질문으로 유도한 수업이 초등과학학습 특성에 주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채동현(2015). 대학 영재원 영재선발시험의 단계별 연관성에 관한 연구: 창의성의 일반 영역적 관점과 특수 영역적 관에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59-26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259
  15. Furnham, A., Jackson, C. J., & Miller, T.(1999). Personality, learning style and work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6), 1113-1122. https://doi.org/10.1016/S0191-8869(99)00053-7
  16. King, A.(1992). Facilitating elaborative learning through guided student generated questioning. Educational Psychology, 27(1), 11-126.
  17. King, A.(1995). Designing the instructional proces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Teaching of Technology, 22, 13-17.
  18. Kolb, D. A.(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Boston: McBer & Company.
  19. Kolb, D. A.(1993). LSI-IIa: Self scoring inventory and interpretation booklet. Boston: McBer & Company.
  20. Kolb, D. A.(1999).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a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21. Leah, H., & Edward, L. S. J.(2009). Using question-answer relationships to build reading comprehension in science. Science Activities, 45(4).
  22. Margaret, E. M., & Roni, J. D.(1996). Using question-answer relationship strategy to improve students' reading of mathematics text. The Clearing House, 69(3), 154-161. https://doi.org/10.1080/00098655.1996.10114302
  23. Pearson, P. D., & Johnson, P. D.(1978).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New York: Hot, Rinehart & Winston.
  24. Raphael, T. E., & Pearson, P. D.(1985). Increasing student's awareness of sources of information for answering quest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2, 217-236. https://doi.org/10.3102/00028312022002217
  25. Raphael, T. E., & Au, K. H.(2005). QAR: Enhancing comprehension and test taking across grades and content area. The Reading Teacher, 59(3), 206-220. https://doi.org/10.1598/RT.59.3.1
  26. Willamson, R. A.(1996). Self-questioning-an aid to metacognition. ReadingHorisons, 37(1), 3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