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학 영재학생의 개방형 문제 해결 사례 분석

An Analysis on Open-ended Problem Solving of Gifted Students

  • 투고 : 2016.08.18
  • 심사 : 2016.08.31
  • 발행 : 2016.08.31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processes and implication to a given program for the 20 gifted children grade 5 by making the number from 1 to 100 with natural numbers 4,4,9 and 9. Revelation of creativity, mathematical tendency of students and meaningful responses were observed by the qualitative records of this game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result. The major result of a study is as follows: The mathematical creativities of students were revealed and developed by this activity. And the mathematical attitude were changed and developed, so student could actively participate. And students could experience collaborative and social composition learning b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competition with a permissive atmosphere and open-game rule. It was meaningful that mathematical ideas (negative number, square root, factorial, [x]: the largest integer not greater than x, absolute value, percent, exponent, logarithm etc.) were suggested and motivated by students themsel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2013-2017)
  2. 권오남, 조영미, 박정숙, 박지현, 김영실 (2003).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6, 217-218.
  3. 김홍원, 김명숙, 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4. 김상룡 (2010). 1996으로 1에서 100까지 만들기 과제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3(2), 55-66.
  5. 김유미, 류성림 (2010).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 전략 검사결과 비교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217-239.
  6. 김은혜, 박만구 (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7. 남승인 (2002). 수학 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영재지도 교사를 위한 연수 교재. 대구교육대학교부설 초등교육연수원.
  8. 박만구 (2015),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이성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1), 81-105.
  9. 방정숙, 권미선 (2012).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학교육논문집, 26(3), 317-338.
  10.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6.
  11. 이정규 외 (2007).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 2007-38. 교육인적자원부.
  12. 이주용, 최재호 (2013). 4D 프레임 활용 학습이 초등 수학영재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6(1), 1-20.
  13. 임문규 (2007).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의 확산적 산출물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0(2), 171-194.
  14. 임문규 (2010).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영재학생들이 만든 다양한 계산식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263-285.
  15. 조은미 (2005).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창의적 토의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Davis, G. A. & Rimm, S. B.(1997).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역)(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학문사.
  17. Johnsen, Susan. K. & Kendrick, J.(2005). Math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남승인, 이용희(역) (2009). 영재를 위한 수학교육. 서울: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