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미정 (2014), 가추법과 강제 선택-무의식의 논리에 대한 경험적 정당화. 기호학 연구, 제41집, 9-40.
- 강윤수, 김민주 (2013).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241-263.
- 강인구 (2003). 도덕적 판단의 인과적 과정으로 도덕적 직관에 관한 교육적 논의. 교육심리학연구, 제17권 제3호, 53-75.
-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대학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5(1), 61-75.
-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 나카하라 타마오 (2007). 구성주의에 입각한 초등수학 학습.지도. 임문규 역 (2014), 서울:경문사.
- 류성림, 박신정 (2003).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학습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4), 459-476.
- 류희찬, 류성림 (1997). 수학교육에서의 직관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7(2), 103-116.
- 문승한, 김수용 (2015). 정서유형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교사교육연구, 54(2), 333-343.
- 박미애 (2006). 직관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시각화 자료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박병기, 김민재 (2012). '사회적 직관주의'가 지니는 도덕적 함의, 한국윤리학회 윤리연구 84호, 127-158.
- 우정호 (2010).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원소연 (2009). 소그룹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수학불안 감소 및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연구. Vol. 2, No. 2, 31-46.
- 왕문옥, 서정철, 임인경 (2005). 민속수학과 목제주령구의 확률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제18권 제4호, 67-84.
- 양해성 (2015). 헤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 유연진, 박만구 (2009). 초등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아동 간 스캐폴딩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75-95.
- 이대현 (1999).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직관과 논리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8(2), 159-164.
- 이대현 (2001).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의 직관적 사고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 이대현, 최승현 (2011). 문제해결을 통한 수학적 경험. 서울: 경문사.
- 이대현 (2015).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8권 제3호, 241-258.
- 이민애, 강완 (2012).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표상의 변환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27-450.
- 이종희, 김기연, 김수진 (2011).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3권 제2호, 307-321.
- 이지영 (2007). 아동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사례분석 - Schoenfeld의 문제해결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송상헌 (2004),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7, 17-34.
- 전평국 (1991).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제30권 제3호, 25-38.
- 정동권, 김수미, 김지원 (2010). 수학 문제해결지도의 이해. 서울: 학지사.
- 정창우 (2011).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제37집, 95-130.
- 조규판 (2009),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에 따른 초.중등학생들의 수학 불안 및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399-424.
- 조유미, 송상헌 (2013). 교사의 신념에 따른 수학영재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3(3). 373-388.
- 조차미 (2008). Fischbein의 직관에 기초한 독립성에 관한 확률지도.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0권 제3호, 319-337.
- 조광희 (2002). 경험이나 직관을 강조한 발문학습이 수학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5권 제1호, 123-134.
- 최인숙 (2011). 문제해결과정에서 수학적 추론이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 홍인숙 (2003). 민족수학 탐구학습 활동이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Arthur. J. 외 (1998).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 외. 2006. 서울; 경문사.
- Fischbein. E. (1999). Intuitions and Schemata in Mathematical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11-50. https://doi.org/10.1023/A:1003488222875
- Fischbein. E. (1987) . 수학 과학 학습과 직관. 우정호 외 역 (2010). 서울: 경문사
- Haidt, J. (2001).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Psychological Review. vol. 108. No. 4, 814-834. https://doi.org/10.1037/0033-295X.108.4.814
- Haidt, J. (2001).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 강인구 역 (2003). 경기도: 서현사.
- Haidt, J. (2012).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antheon books.
- Hersh. R. (1997). 도대체 수학이란 무엇인가?. 허민역 (2003). 서울: 경문사.
- Kline. M. (1985). 지식의 추구와 수학. 김경화, 이혜숙 역(1998),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Lithner. J. (2008). A research framework for creative and imitative reasoning.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67, 255-276. https://doi.org/10.1007/s10649-007-9104-2
- NCTM (1995).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외 역 (2012). 서울: 경문사.
- NCTM (2009). 고등학교 수학에서 추론하기와 이해하기. 김성경 역 (2014). 서울: 경문사.
- Poincare, H. (1914). Science and Method. Maitland. F 역 (2013). Dover Publication, Inc.
- Poincare, H. (1970). 과학의 가치. 이정훈 역 (2015),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 Polya, G. (1981). 수학적 발견 I, II. 우정호 외 역 (2005). 서울: 교우사.
- Polya, G. (1971).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2010). 서울: 교우사.
- Reys, R, E. 외 (2009).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2012). 박성선 외 역. 서울: 경문사.
-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thinking. Academic Press, Inc.
- Suppes. P. (1965). The Axiomatic Method in Highschool Mathematics. Stanfo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No. 95.
- Tirosh. D, Stavy. R (1999) Intuitive Rules: A Way to Explain and predict student's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51-66. https://doi.org/10.1023/A:1003436313032
-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Harcourt. Brace and company.
- YBM si-sa 사전편찬실 (2004). 시사 엘리트 영한.한영 사전. 서울: YBM si-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