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Related Variables for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메타분석

  • Received : 2016.05.11
  • Accepted : 2016.06.20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collected relevant studies and applied meta-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first, their life satisfaction was between the small effect size and the moderate effect size,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variables and Cohen's standards(1992). Second, of the sub variable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Korean proficiency and nationality acquisition were found to be the small effect size. Third, of the sub variables of their psychological variable and multiple culture-related variable, the effect sizes of self-esteem and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s multiple cultures were found to be between the moderate effect size and the large effect size. Fourth, the sub variables of their social support variable were found to be generally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Fifth, the sub variables of daily life and spouse-related variables showed very low levels of effect size overall. This study suggested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는 관련변인들과 Cohen(1992)의 기준으로 작은 효과크기와 중간 효과크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개인특성 변인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한국어 능력과 국적취득여부가 작은 효과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심리변인 및 다문화 관련변인의 하위변수 중에서 자아존중감, 다문화 수용태도의 효과크기가 중간 효과크기와 큰 효과크기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사회적지지 변인의 하위변수들과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상생활 및 배우자 관련변인의 하위변수에서는 전체적으로 아주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임재옥, 이무영, "결혼이주여성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9권, 제3호, pp.387-404, 2014.
  2. 강순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지지와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 강현,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연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공은화,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 김금희, 민기연, 이영선,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02-21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02
  6. 김미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 김미우, 김영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제5권, 제1호, pp.111-142, 2011.
  8. 김민경,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문화적응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김성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김종석, 다문화가족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 박미정, 사회적지지가 결혼이민여성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박미향,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 박민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 심리적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93-40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93
  14. 박은희, 조인주,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8권, 제2호, pp.29-56, 2011.
  15.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제41권, pp.33-54, 2013.
  16. 변미희, 강기정, "다문화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요인,"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5권, 제2호, pp.127-141, 2010.
  17. 오금숙, 김윤정, "여성결혼 이민자의 사회적지지, 부부친밀감, 생활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제3권, 제1호, pp.15-25, 2013.
  18. 오세자, 국제결혼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지지 및 결혼만족도: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과 필리핀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우지혜,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부평등, 사회적지지, 사회참여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0. 원서진, 송인욱,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2호, pp.95-113, 2011.
  21. 유영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청북도지역을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윤령인, "결혼이민자여성의 자아존중감, 한국어능력, 남편의 아내 모국어능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10권, pp.213-232, 2011.
  23. 윤명숙, 최현미, 김남희, "결혼이주여성의 남편음주 문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가정폭력 피해경험의 다중 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제42권, pp.83-111, 2013.
  24. 이상흔, 한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이유경,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문화적응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6. 이은영, 다문화가정 부부의 생활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7. 이은정, 다문화가족부부의 가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8. 이은주, 전미경,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지지와 관련변인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1권, 제5호, pp.125-141,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25
  29. 이재화, 다문화가정여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0. 이정숙,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1. 이혜경, 전혜인,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8권, 제4호, pp.413-432, 2013.
  32. 임동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3. 전미숙,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배우자 인식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4. 정주연,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족관계와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제1권, pp.228-262, 2008.
  35. 채병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정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문경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한영란,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권, pp.27-48, 1997.
  37. B. Kim and M. Han,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motor performance in korea: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6, No.1, pp.67-88, 1995.
  38. J. Cohen,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Vol.112, No.1, p.155, 1992.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39. S. Duval and R. Tweedie,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Vol.56, pp.455-463, 2000.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40.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