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태권도장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from Work of Taekwondo Gym Instructors

  • 투고 : 2016.06.13
  • 심사 : 2016.06.28
  • 발행 : 2016.08.28

초록

본 연구는 생활체육현장에서 다양한 연령층들을 상대로 근무하는 지도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경험적 사례를 이끌어내기 위해 10년 이상 경력의 30대부터 50대까지의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기법인 심층면담방식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적 분류작업을 통해 1가지 상위주제 당 2개의 하위주제 총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상위주제는 "지도자들의 감정노동에 대한인식"이며 하위주제는 "경영자로서의 인식"과 "교육자로서의 인식"이다. 둘째, 상위주제는 "태권도장에서 감정노동의 의미와 필요성"이며 하위주제는 "경영전략으로서의 감정노동"과 "교육효과를 위한 감정노동"이다. 셋째, 상위주제는 "지도자들이 경험하는 직무소진"이며 하위주제는 "현장에서 경험하는 자괴감"과 "변화를 위한 방향성"으로 결론하였다.

This research use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in-depth interview method, on Taekwondo Gym instructors in their 30s to 50s with over 10 years experiences in various age groups, to elicit the empirical cases of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from their work. It categorized the cases into 3 main subjects that identified 2 areas to emphasized in each subject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classification method. First subject listed, "recognition of emotional labor of the instructors", highlighted "recognition as a manager" and "recognition as an educator". Second subject listed. "meaning and need of emotional labor at the Taekwondo Gym", highlighted "emotional labor as a business strategy" and "emotional labor for educational effects". Third subject listed, "exhaustion from work experienced by the instructors", highlighted "a sense of shame experienced in the field" and "directions for change".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상원, "태권도인의 저변확대를 위한 뉴 마케팅전략 탐색과 발전 방안모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95-308, 2010.
  2. 김수정, "태권도장지도자의 수련을 통한 가치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29-38, 2011.
  3. http://www.un.org/, 2015.
  4. http://www.wtf.org/, 2015.
  5. 임태희, 장창용, 박지윤, 곽낙현, "동서양 인성론에 기초한 태권도인성의 의미와 실천덕목 탐구," 대한무도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21-140, 2015.
  6. 김현성, 태권도장의 관계마케팅전략과 고객지향성이 도장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 이영준, 명희진, "교사 전 생애 스트레스... 화도 못 내는 '감정 노동자," 서울신문, 2012, 5월15일자.
  8. 이정학, 이경률, 이숙경, 장완석, "태권도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4권, 제4호, pp.757-767, 2013.
  9. 김주연, "피부미용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18권, 제5호, pp.1141-1151, 2012.
  10. J. Woolpin, R. J. Burke, and E. R. Greenglass, "Is job satisfaction an antecedent or a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burnout," Human Relation, Vol.44, No.1, pp.193-209, 1991. https://doi.org/10.1177/001872679104400205
  11. C. Maslach and W. B. Schaufeli,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In W. B. Schaufeli, C. Maslach & T. Marek(eds.),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 in Theory and Research, 1-18, New York: Talyor & Francis, 1993.
  12. P. E. Spect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4th ed), NY: John Wiley, 2004.
  13. 김원형, 신강현, 허창구, 이종현,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905-921, 2007.
  14. R. Abraham, "The Impa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Turnover,"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33, No.4, pp.447-450, 1999.
  15. C. M. Brotheridge and R. T. Lee, ON the dimensionality of emotional labour : Development and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onference Emotions in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1998.
  16.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No.1,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17.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8. 안준수, 서비스 상호작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 차원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9. 박문수, 이태용, "공공스포츠시설 지도자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6호, pp.707-718, 2013.
  20. 권기남, 전병덕, 이정탁,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6권, 제1호, pp.667-678, 2011.
  21. 이정탁,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91-303, 2015.
  22. 김학권, 조형수, 윤상영,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62권, 제1호, pp.335-346, 2015.
  23. 김용수,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직무소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7권, 제1호, pp.127-144, 2012.
  24. 조현익, 김제춘, "골프 지도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직업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9권, 제1호, pp.87-101, 2010.
  25. 이은석, 심규성, "노인체육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애착도 및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0권, 제1호, pp.443-452, 2010.
  26. 도기현, 원영신, 이민규, "노인체육지도자들의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그리고 직무소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61권, 제1호, pp.483-492, 2015.
  27. 이은총, 태권도장 지도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품질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이정주, 김동현,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지도실제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96-40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396
  29. 문화체육부, 전국등록.신고 체육시설현황.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자료, 2015.
  3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서울, 2006.
  3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4.
  32.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y, 내러티브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소경희 외 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7.
  33. M. Q. Patt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0.
  34. 김수정, "태권도장 수련에 투영된 감성을 통한 도장지도자의 경영인식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1권, 제1호, pp.157-167, 2013.
  35. N. Denzin,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3rd ed), NJ: Prentice-Hall, 1989.
  36.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37. 곽영환, 안관영, "호텔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서비스품질의 관계 및 직무 자율성과 피드백의 조절 효과," 한국서비스.경영학회지, 제4권, 제1호, pp.29-55, 2003.
  38. 홍은선, HRD전문가의 HRD 가치지향성과 성인교육철학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한국노동연구원, 서비스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2013.
  40.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re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1. 윤세준, 김상표, 김은민, "감정노동: 조직의 감정표현 규범에 관한 질적연구," 산업노동연구, 제6권, 제1호, p.216, 2000.
  42. 안준수, 서비스 상호작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 차원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43.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44.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No.1,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45. D. Zapf, "Emotional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2, No.1, pp.237-268, 2002. https://doi.org/10.1016/S1053-4822(02)00048-7
  46. 장재규,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7. 이랑, 김완석, 신강현,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 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73-596, 2006.
  48.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49. C. D. Shepherd, A. Tashchian, and R. E. Ridnour, "An Investigation of the Job Burnout Syndrome in Personal Selling,"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Vol.4, No.1, 397-409, 2011.
  50. R. Abraham,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24, No.1, pp.229-246, 1998.
  51. A. A. Grandey, Emotional Labor : A Concept and Its Correlates, Paper Presented at the 1st Conference on Emotions in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CA 1998.
  52. S. M. Kruml, and D. Geddes, Catching Fire without Burning Out: Is There an Ideal Way to Perform Emotional Labor? Paper Presented at the 1at Conference on Emotions in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CA, 1998.
  53. J. A. Morris and D. C. Feldman, "Managing Emotion in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9, No.3, pp.257-274, 1997.
  54. F. W. Nerdinger and M. Rope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An Empirical Examination in the Nursing Sector of a University Hospital," Zeit-schrift Fur Arbeiswissenschaft, Vol.53, No.1, pp.187-193, 1999.
  55. D. Zapf, C. Vogt, C. Seifert, H. Mertiniand, and A. Isic, "Emotion Work as a Source of Stres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 No.1, pp.371-400, 1999. https://doi.org/10.1080/135943299398230
  56. D. Zapf, C. Seifert, B. Schmutte, and H. Mertiniand, Holz, "Emotion Work and Job Stressors and Their Effects on Burnout," Psychology and Health, Vol.16, No.1, pp.527-545, 2001. https://doi.org/10.1080/08870440108405525
  57. C. L. Cor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621-656,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9402210153
  58. C. Maslach,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
  59. 이영면, 직무만족의 의미와 측정, 서울: 경문사, 2011.
  60. 강만호,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1. 조현익, 김제춘, "골프지도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직업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9권, 제1호, pp.87-101, 2010.
  62. 이준수, 하지원, "스포츠 센터 구성원간의 인간관계와 소비자만족과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89-197, 2000.
  63. 유영훈, 태권도장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유아태권도 프로그램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4. J. J. Gross,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1, pp.271-299, 1998. https://doi.org/10.1037/1089-2680.2.3.271
  65. A. Grandey,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 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 No.1, pp.95-110, 2002.
  66. 김양기, 이원강, "표면행동과 심층행동이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상호작용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32권, 제2호, pp.187-207, 2013.
  67. 곽영환, 안관영, "호텔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서비스품질의 관계 및 직무 자율성과 피드백의 조절 효과," 한국서비스.경영학회지, 제4권, 제1호, pp.29-55, 2003.
  68. K. Lewin,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 Row,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