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bstract Synesthesia for Visual Music

비쥬얼 뮤직에 나타난 추상적 공감각에 관한 연구

  • 김호 (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7.13
  • Accepted : 2016.08.08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Role of music in an image can be divided into a supplementary function to express narrative of image and an independent function to become the subject of music and to lead the image. To perceive sound through hearing and then, to make it visualized is called visual music. Since the 19th century, image synchronization of music through colored hearing has been continuously attempted by artists in their works. Also in the 20th century, many artists could attempt time-wise concept of movement passing the bounds of three-dimensional expression due to development of cinema. In such a process, artists with strong experimental spirits inferred correlation between sound and image and then, pioneered new genre of visual music. As a result, the times are being changed from those of listening to those of watching, and various works are being produced by experimental attempt of various music and images.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visual music and then,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how visual music using colors are utilized in diversified fields such as movie, animation, music video and media art.

영상에서 음악의 역할은 영상의 내러티브를 표현하는 보조적인 기능 또는 음악의 주체가 되어 영상을 주도하는 독립적인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리를 청각으로 감지하여, 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비쥬얼 뮤직이라고 한다. 19세기 이후 예술가들에 의해 색청(色聽)을 통한 음악의 이미지 동기화 시도는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20세기 들어 영화의 발전으로 많은 예술가들은 3차원적인 표현의 한계에서 벗어나 움직임의 시간적 개념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실험정신이 강한 예술가들은 소리와 영상의 상관관계를 추론하여 비쥬얼 뮤직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 그 결과 과거 듣는 음악의 시대에서 현재 보는 음악의 시대로 바뀌고 있으며, 음악과 영상의 실험적인 시도로 다양한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의 비쥬얼 뮤직의 미학적 특징을 살펴본 후, 색을 활용한 비쥬얼 뮤직이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비평용서사전, 한국문학평론가 협회, 2006.
  2. https://www.telegraph.co.uk (The man who heard his paintbox hiss)
  3. 서계숙, "비쥬얼뮤직 제작사례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6, No.3, pp.275-285, 2005.
  4. 김은주, 환타지아 의 음악분석을 통한 음악과 영상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17-18, 2008.
  5. 삼호뮤직 편집부,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6. 김은주, <환타지아 2000>의 음악분석을 통한 음악과 영상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7. E. H. 곰브리치 지음, 백승길, 이종숭 옮김, 서양미술사, 예경, p.508, 1997.
  8. 웬디 베케트 지음, 곽동훈 옮김, 웬디 베케트 수녀의 명화 이야기, 디자인 하우스, p.355, 1997.
  9. 박상현, "비쥬얼 뮤직의 미학적 특징,"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4호, 통권36호, pp.13-23, 2012.
  10. 모린 퍼니스 지음, 한창완 외 3인 옮김, 움직임의미학, 한울 아카데미, p.390, 2001.
  11.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박여성 옮김, 괴델, 에셔, 바흐, 까치, pp.9-12, 1999.
  12. 존 할라스 지음, 황선길, 박현근 옮김,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범우사, p.68, 2002.
  13. 모린 퍼니스 지음, 한창완 외 3인 옮김, 움직임의 미학, 한울 아카데미, p.390-394, 2001.
  14. 손국환, 박성대, "추상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성과와 현대적 의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136, 2012.
  15. 김홍균, "초기 추상애니메이션의 양식적 특성에 관한연구 - 1920-1940년대 추상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제9호, 2007.
  16. 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