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Baby Boomers' Stress and Depressio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s - A Comparative Study of the 1st- and 2nd-Generation Baby Boomers -

베이비붐 세대의 스트레스,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1차·2차 베이비 붐 세대의 비교연구

  • 이연실 (신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서인균 (신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4.07
  • Accepted : 2016.06.20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experienced by the first (1955-1964) and second (1968-1974) generations of baby boomer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s for them. For this purpose, 369 who come under the category of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were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from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of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questionnaires of self-administered type were distributed to them.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hich used input of mean-centered variables and interaction term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replies to the questionnaires. The major outcomes of the analys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tress and depression suffered by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baby boomers turned out to have negative (-) influence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ocial supports for those two generations were found to exercise positive (+) effects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ird, a survey of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showed that, in case of the first generation, the worse their economic status and the higher their stress and depression were,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ended to be and that social supports functioned to hik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ut had moderating effects only in connection with stress. In case of the second generation,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ir stress and depression got,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ed and that social supports might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ut without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part of relationship with their stress and depression. A practical and political method was discussed to improve baby boomer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1차 베이비 붐 세대(1955년-1964년)와 2차 베이비 붐 세대(1968년-1974년)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학생들 중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편의모집(Convenient sampling)하여 369명에 대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평균중심화(mean centering) 처리된 변수와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스트레스와 우울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차 베이비 붐 세대와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한 결과 1차 베이비 붐 세대의 경우는 경제수준이 나쁠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게 하지만 우울과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 베이비 붐 세대의 경우는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는 하지만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 붐 세대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KOSIS국가통계포털, 2010.
  2. 김상균,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주택연금제도 개선방안 연구 : 2차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 유운도, 1차 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 한경혜, "한국의 베이비부머 : 생활세계와 라이프 코스에 대한 이해," 한국노인과학 학술단체연합회 '98학술대회 및 분과학회 추계학술대회, pp.3-13, 2010.
  5. 최은영, 베이비부머의 진로자본, 일가치, 대처행동이 진로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7. 차경호,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3호, pp.321-337, 2004
  8. D. B. Feldman and C. R. Snyder,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4, pp.401-421, 2005. https://doi.org/10.1521/jscp.24.3.401.65616
  9. 김미정, 김귀분,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50-158, 2013.
  10. 김나미,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125-1144, 2013.
  11. 김경희, 염시창, 권재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전념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상담학연구, 제15권, 제5호, pp.1937-1956, 2014.
  12. M. E. P. Seligman and M. Csikszentmihalyi,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5-14,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13. 구승회,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명품브랜드 모조품 구매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4권, 제1호, pp.85-107, 2011.
  14. 강석기, 한상훈, 박명신, "고등학생의 분노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발전논총, 제34권, 제1호, pp.91-114, 2013.
  15. 황상미, 정현희, "부모의 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1-20, 2012.
  16. 박지혜, 김근향, 고영건, "한부모가정 및 일반가정 청소년의 불안, 사회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2호, pp.115-144, 2014.
  17. 양귀화, 김종남, "외상 후 성장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4호, pp.1041-1065, 2014.
  18. 한창훈, 조영아,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205-231, 2014.
  19. 김희경, 림금란, 안정선,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 사회적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1권, 제1호, pp.33-47, 2011.
  20.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21. 이민숙,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2. 김소영, 김진숙,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정서조절이 아동기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257-1276, 2014.
  23. 오연희, 아동의 피학대 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황명선, 신효정,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 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87-112, 2015.
  25. S.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6.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27. M. A. Zimmerman, J. Ramirez-Valles, K. M. Zapert, and K. I. Maton,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buffering effects for urban African mal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8, No.1, pp.17-33, 2000.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200001)28:1<17::AID-JCOP4>3.0.CO;2-I
  28. K. E. Grant, B. E. Compas, A. F. Stuhlmacher, A. E. Thurm, S. D. McMahon, and J. A. Halpett, "Stressor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 Moving from markers to mechanisms of risk," Psychological Bulletin, Vol.129, pp.447-46, 2003. https://doi.org/10.1037/0033-2909.129.3.447
  29. K. F. Grant, B. E. Compas, A. E. Thurm, S. D. McMahon, and P. Y. Gipson, "Stressor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 Measurement issues and prospective effect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Vol.33, pp.412-425, 2004.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302_23
  30. 이자영, 최웅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81-1499, 2012.
  31.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01-357, 1985.
  32. Diane J. Macunovich, "Fertility and the Easterlin Hypothesis : An assessmest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Vol.11, pp.1-59, 1998. https://doi.org/10.1007/s001480050055
  33. Richard A. Easterlin, "The American Baby-Boom in Historical Perspectiv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62.
  34. 삼성경제연구소,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2010.
  35. 황원경, "중년이 된 2차 베이비붐 세대 인생2막을 위한 재무적 안정대비 필요," KB골든라이프연구센터 2013-6호, 2013.
  36. 강란혜, "일본의 중년기 여성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일본교육학연구, 제13권, 제1호, pp.127-150, 2008.
  37. C. L. Cooper, "Identifying stressors and work: Recent research developm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7, pp.369-376, 1983.
  38. B. S. Dohrenwend and B. Dohrenwend, Class and race as status related sources of stress, In S. Levine & N. A. scotch(Eds.), Social Stress Chicaco: Aldine, 1984.
  39. C. E. Ross and J. Mirowsky, "Child care and emotional adjustment to wives's employ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9, pp.127-138, 1989.
  40. R. S. Lazarus, Patterns of adjustment, New York : McGraw-Hill, 1976.
  41. 안경남, 김민선, 김동구, 서영성, 김대현, "중년남성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성향,"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4, pp.181-188, 2012.
  42. 이정인, 김계하, 오순학,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3, pp.422-431, 2003.
  43. 이성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0, pp.73-86, 2014.
  44. 정순둘, 서송주, 박효진, "베이비부머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Vol.11, No.2, pp.75-99, 2013.
  45. 최민지, 베이비부머의 퇴직태도, 노후준비가 심리적위기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6. 홍영준, 이정훈,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Vol.45, pp.95-119, 2014.
  47. 최금주, 노인의 영적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8. 정미자, 문희, 선춘자, 이동매, 박영례, "노인장기 요양보험 급여 대상자들의 우울과 영적안녕과의 관계 :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Vol.33, No.4, pp.865-879, 2013.
  49. U. Schimmack, Emotional experiences require awareness of the eliciting stimulus, Manuscript under review. 2004.
  50. 이은경, 이기학, "우울과 긍정적 정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신경증과 외향성 척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Vol.6, No.2, pp.325-338, 2005.
  51. 정성진, 조현주, "학생상담센터 내방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13권, 제1호, pp.265-265, 2013.
  52.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Vol.19, No.1, pp.29-57, 2012.
  53. 이애연, 김정모, 이충영, "태권도시범단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6호, pp.453-465, 2012.
  54. 이금옥, 사회적 지지와 생활스트레스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5. 전해숙,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51-69, 2010.
  56. 강향미, 구종회, "한국의 문화 : 베이비부머의 노후 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 태도가 노후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과 문화, 제74권, pp.355-373, 2014.
  57. 박창제, "베이비부머와 전 베이비 부모의 재무적 노후준비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권, pp.89-98, 2013.
  58.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45
  59.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81-302, 2012.
  60.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357-383, 2011.
  61. 한경혜, 김주현, 백옥미,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 : 심리적 요인과 자원요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133-162, 2012.
  62. 백은영, 정순희, "베이비부머의 재정현황과 주택자산이 은퇴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1호, pp.141-160, 2012.
  63. 남순현, 김미혜,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183-203, 2014.
  64. 송정석, 고령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5. 김시연, 서영석,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4호, pp.1243-1267, 2008.
  66. R. L. Brock and E. Lawrence,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stress spillover in marriage : Does spousal support adequacy buffer the effec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22, pp.11-20, 2008 https://doi.org/10.1037/0893-3200.22.1.11
  67. S. Cohen, R. C. Kessler, and L. U. Gordon, "Strategies for measuring stress in studies of psychiatric and physical disorders," In S. Cohen, R. C. Kessler, & L. U. Gordon(Eds.), Measuring stress :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pp.3-28),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68. Z. Solomon, R. Dekel, and G. Zerac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rital adjustment : The mediating role of forgiveness," Family Process, Vol.48, pp.546-558, 2009.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9.01301.x
  69. S. H. Frank and S. J. Zyzanski,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Vol.26, No.5, pp.533-539, 1988.
  70. 배종면, 정은경, 유태우, 허봉렬, 김철환,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 개발연구,"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제13권, 제10호, pp.809-820, 1992.
  71. 허봉렬,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제17권, 제1호, pp.42-53, 1996.
  72.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1967.
  73.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74. E. H. Erikson, Youth and Crisis, New York : W. W Norton. Co, 1968.
  7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76. G. D. Zimet, N. W. Dahel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7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양한 모형: 고급," S&M 리서치 그룹, 2013.
  78. 기현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9. J. G. Lam, W. S. Wong, S. J. Mary, K. F. Lam, and S. L. Pa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terns in Hong Kong : What causes them stress and what helps them," Medical teacher, Vol.32, No.3, pp.120-126, 2010. https://doi.org/10.3109/01421590903449894
  80. 구경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1. 안미숙, 직장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2. 오명자, 김병욱, 김미례,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3권, 제4호, pp.499-520, 2008.
  83. S. C. Kobasa, S. R. Maddi, and S. Khan, "Hardiness and health :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2, pp.168-172, 1982. https://doi.org/10.1037/0022-3514.42.1.168
  84. R. C. Kessler, R. H. Price, and C. B. Wortman, "Social factors in psychology :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36, pp.531-572, 1985. https://doi.org/10.1146/annurev.ps.36.020185.002531
  85. 한경임, 정연강, 이재온,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 pp.513-522, 2002.
  86. 김명식,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제1권, 제2호, pp.53-67, 2010.
  87. 서인균, 이연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7-147, 2015.
  88. 박서영, 최희정,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66-67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66
  89. 강상경,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91-11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