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mitted to a Group-Home

  • 투고 : 2016.04.27
  • 심사 : 2016.05.30
  • 발행 : 2016.08.28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 8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34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들을 종합하여 '양육한계 봉착에 처한 후 그룹홈 입소로 관계 회복'을 핵심범주로 선택하였다. 실천 전략은 어머니의 양육단계에 따른 심리상담을 제공해야 하고, 장애아동 아버지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학령기 비장애자녀에 대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대상자의 욕구에 적합한 차별화된 장애인시설이 필요하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돌봄 크레딧을 통해 장애아동 가족의 빈곤 문제의 최소화, 고운맘카드의 활용과 초기 의료사회복지적인 개입 필요, 시설순회학급 설치 확대, 성년후견제도 활용과 소득분위에 따른 장애아동 양육수당의 차등적 지급 등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research subject is 8 mothers who put their physical/mentally impaired children in a group home,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surve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 on 8 mothers who put their disabled children to the group home. In the result of open coding, total 34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in the selective coding was 'establishing restorative relationship through entering a group home after encountering the limit of nurture.' Practical Strategi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s necessary to provide psychology counselling consequent on a mother's nurturing phase, and this study proposes a program for a father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y; in addition, there is the necessity of having to arrange the differentiated facility for physically/mentally impaired people, which meets the needs of the relevant people. At a level of policy,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having to take into account the minimization of poverty problem facing a family having a disable child through the caring card, necessity of the use of good-natured card, and medical-social-welfare-based intervention, expansion of facility-touring class installation, and us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differential payment of disabled child nurturing allowance consequent on income quantile,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민수, 장애아동 복지시설의 만족도에 관한 실증 연구 : 장애아동 부모와 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김현희, 시설입소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영향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김진숙, 위탁가정 아동의 적응과정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 김나영, 윤호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발달장애학회, 제3권, pp.127-138, 1999.
  5. 이계윤, 장애아동을 둔 취업모의 시간관리 전략과 양육부담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전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 Y. Benderix and B. Nordstrom, "Parents' Experience of Having a Child with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ies Living in a Group Home: A Cas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Practice, Vol.10, No.6, pp.629-641, 2006.
  7. 강동현, 장애인공동생활가정(Group Home)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인천지역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이영희, 장애인 그룹홈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선현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유현란,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하춘자, 장애인 그룹홈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2. 우상열, 장애인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조성금, 요보호아동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4. 선현철,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5. 박재현,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사회재활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황수정, 공동생활가정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7. 김길자, 장애인공동생활가정에 대한 인근 지역주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8. 박상수,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의 현황분석 : 대전지역 공동생활가정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9. 차혜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 : 끝없는 긴장의 재구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 김수지, 신경림 역, 근거이론의 이해, A. Strauss, & J. Corbin,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8.
  21. 남연희,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2. 김미량, 이연주, 이정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여가제약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pp.366-37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66
  23. 정소연, "가족임파워먼트 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의 요인구조 검증 및 단축형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pp.214-22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14
  24. 유용식, 권순신,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pp.508-51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508
  25. 김성태, 아동 그룹 홈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