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Radio's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Residents A Field Report on Mapo FM's Case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 Ban, Myeong Ji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Kim, Young Chan (Media and Communication Divis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반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 김영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8.15

Abstract

This study, by proposing a case study of community radio, attempts to expand the horizon of academic and social discussion on the medium that has been disproportionately skewed towards discourses on alternative media, technology, and programming content. As residents of local communit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y reconstruct their cultural identities. In that sense, community radio is a medium that makes it possible the re-negotiation and reconfiguration of cultural identities of local residents. That is to say, a case study on the specific ways in which community residents appropriate community radio in reconstructing their identities offers us some entry points where we may come up with a new perspective on the identity of community radio. The results of fieldwork show that community radio, as it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residents' participatory cultural practices, is a medium of 'lived culture' -i.e., a medium that contributes to the making of civility, communitarianism, and social network. Community radio, then, may be redefined as an interactive medium tha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ocial rapport and solidarity.

이 연구는 마포 FM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대안 미디어, 테크놀로지, 그리고 콘텐츠 중심의 논의로 치우쳐져 있는 기존의 공동체 라디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한다.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방송 제작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문화적 정체성을 재구성해낸다는 측면에서 공동체 라디오는 구성원들의 문화적 실천을 엮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라디오를 전유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정체성을 재구성해내는 양상들은 공동체 라디오의 정체성을 재조명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해준다. 심층 인터뷰를 동원한 현장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동체 라디오는 참여형 제작과정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서 엮이게 되는 -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 삶이 묻어나는 매체인 동시에, 지역성과 대안성이라는 특성을 넘어 시민성과 공동체성과 관계망의 형성에 기여하는 미디어, 즉 사회적 유대감과 연대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미디어라고 재정의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외국어대학교

References

  1. 강수진 (2012).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적 특성과 신자유주의 통치성: '더 엑스 팩터'와 '슈퍼스타 K2'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방송문화연구>, 25(2), 37-66.
  3.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4.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SearchResult.do
  5. 김경환 (2012). 공동체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 제작 참여 동기가 참여 만족도 및 참여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1권, 117-145.
  6. 김선희 (2009). <시민 미디어로서의 공동체 라디오: 금강 FM 자원 활동가의 방송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은규 (2005). 다윗과 골리앗을 넘어서: 대안 미디어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 틀과 그 함의. <한국언론학보>, 49권 2호, 255-282.
  8. 김은규.최성은 (2013).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184-214.
  9. 김은주 (2006).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한 소출력 라디오방송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창주 (2007). 공동체의 재발견, 소출력 라디오. <말>, 통권 248호, 32-35.
  11.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013). <공동체라디오방송진흥법안 검토보고서>.
  12. 박복선 (2010). 도시 안에도 '마을'이 있다: 성미산 공동체, <로컬리티 인문학>, 16, 2-3.
  13. 박창원 (2008). <소출력 '공동체 라디오 방송'의 활성화 방안 연구: 성서 공동체 FM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성정애 (2006). <공동체 미디어로서 소출력 라디오의 이론적 유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송덕호 (2006). 공동체라디오 개국 1년. <신문과 방송>, 431호, 130-133.
  16. 송덕호 (2016. 6. 23). 마을미디어 언론으로 거듭나기. <서울 마을미디어 뉴스레터 '마중'>, 21호. URL: http://maeulmedia.tistory.com/347
  17.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94-136.
  18. 유선영 (2005). <한국의 대안미디어>. 서울: 한국언론재단.
  19. 이재열 (2006).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 8권 1호, 33-67.
  20. 이지섭 (2007). 우리 동네 라디오, 내가 만드는 라디오 방송: 공동체 라디오 마포 FM 탐방기. <노동사회>, 121호, 151-156.
  21. 전아름 (2009). 감동을 전하는 1w의 힘 '동네방송'에 담긴 우리들의 이야기. <민족21>, 통권 95호, 130-135.
  22. 정빛나 (2011). <소출력 공동체 라디오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차재영 (1999). 미국의 공동체 라디오(community radio) 연구. <북미주학연구>, 8권, 199-213.
  24. 차재영 (2007). 지역공동체 라디오와 지역대학의 역할. <사회과학연구>, 18권 여름호, 67-81.
  25. 채영길 (2015).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6. 최성은 (2010). <국가 규제와 공공지원이 공동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최성은 (2011, 4월). 한국 공동체 라디오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방송학회 2011 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82-83.
  28. 최성은 (2014). <공동체 라디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하주영 (2005). <공동체 라디오의 특성과 제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한선.이오현 (2008a). 공동체 라디오와 자기효능감: 미국 공동체 라디오 KOPN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 79-114.
  31. 한선.이오현 (2008b). 한.미 공동체 라디오 비교연구: 하위 공론장 역할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언론과 사회>, 16권 4호, 79-114.
  32. 한정미 (2006). <'소출력 공동체 라디오 방송' 마포 FM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Atton, C., & J. F. Hamilton (2009). Alternative Journalism. London, UK: Sage. 이효성 역 (2011). <대안언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4. Berrigan, F. (1979). Community Communications: The Role of Community Media in Development. Paris, FR: Unesco Press.
  35. Dowing, J. (2001). Radical Media: Rebellious Communication and Social Movement. Thousands Oaks, CA: Sage.
  36. Hall, S. (1996). Introduction: Who Needs 'Identity'. In S. Hall, & P. 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pp. 1-17). London, UK: Sage.
  37. Martin, B. J. (2006). A Latin American Perspective on Communication/Cultural Mediation.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2(3), 279-297. https://doi.org/10.1177/1742766506069579
  38.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ition). London, UK: Sage.
  39. Qiu, J. L. (2009). Working-class Network Societ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Have-less in Urban China. Cambridge, MA: MIT Press.
  40. Rodriguez, C. (2001). Fissures in the Mediascape: An International Study of Citizens' Media. Cresskill, NJ: Hampton Press.
  41. Rodriguez, C. (2011). Citizens Media Against Armed Conflict: Disrupting Violence in Colombi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2. Rodriguez, C., Ferron, B., & Shamas K. (2014). Four Challenges in the Field of Alternative, Radical and Citizens' Media Research. Media, Culture & Society, 36(2), 150-166. https://doi.org/10.1177/0163443714523877
  43. Wang, C. (1999).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and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ournal of Women's Health, 8(2), 185-192. https://doi.org/10.1089/jwh.1999.8.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