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formance Process Analysis of Goldberg Machine Activities based on Gender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초등영재학생의 성별에 따른 골드버그 장치 활동 수행과정 분석

  • Received : 2016.05.15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ys and girls which would appear in the performance process of Goldberg machine activities, it would be attemp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of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The object of study was organized into separate 2 groups of boys and girls by each, composed of a total of 16 people among 5th graders of the 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final assignment was to make the Goldberg machine in order to have the beads get to the target spot latest, in which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qualitatively by participating in and observing the performance process of students. After dividing the Goldberg machine activities into the steps of planning, production, outcome, assessment and reflection, thei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lanning stage, the girls explained minutely the process of Goldberg machine in writing, whereas the boys represented it visually simply. Second, in the production stage, the boys showed the task commitment by trying to realize the machine as designed initially, but the girls showed their appearance to represent it simply and easily. Third, in the sophist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machine production, the boys were superior to the girls, and in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of the use of materials, the girls were more excellent. Fourth, in the assessment and reflection, the boys evaluated it individually, and the girls showed their appearance to evaluate it by reflecting others'thinking. Hence, when developing and teaching the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it would be requir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e recomposed by considering the gender, or that the various class strategies be sought. Further, the broader and more systematic studies, on the performance process of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gender, should be carried out.

본 연구에서는 골드버그 장치 활동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특성을 살펴보고 영재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영재학급 5학년 학생 16명으로 4명씩 한 조로 구성하여 남학생 2그룹, 여학생 2그룹으로 편성하였다. 최종 과제는 구슬이 목표 지점에 가장 늦게 도착하도록 골드버그 장치를 제작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수행과정을 참여 관찰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골드버그 장치 활동을 계획, 제작, 결과, 평가 및 반성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 단계에서 여학생은 골드버그 장치 과정을 글로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남학생은 시각적으로 간단하게 나타냈다. 둘째, 제작 단계에서 남학생은 설계했던 대로 장치를 구현하려는 과제집착력을 보였으나 여학생은 간단하고 쉽게 나타내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장치 제작의 정교성 및 효율성은 남학생이 우수하였고 재료 사용의 독창성 및 다양성은 여학생이 우수하였다. 넷째, 평가 및 반성 단계에서 남학생은 개별적으로 평가를 하였고 여학생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반영하여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영재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시 성별을 고려하여 교수학습내용을 재구성하거나 다양한 수업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성별에 따른 영재학생의 수행과정에 대한 보다 폭넓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향모 (2000). 중학교 생물과의 협동학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권용태, 강호감 (2015). 초등영재학생의 인지양식 그룹별 골드버그 장치에 대한 문제해결전략. 영재교육연구, 25(1), 77-93. https://doi.org/10.9722/JGTE.2015.25.1.77
  3. 김영준, 손정우 (2012).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2(2), 451-465. https://doi.org/10.9722/JGTE.2012.22.2.451
  4. 김예숙 (2004). 영재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김이립, 박남제 (2012).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STEAM 초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 16(2), 117-121.
  6. 박병태, 권치순 (2009). 과학 영재들의 성별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 2(1), 55-61.
  7. 박병태 (2010). 초등학생들의 과학 지식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 21(2), 261-274.
  8. 박인수 (2007).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발명교육 적용방안 연구. 발명교육, 11(1), 95-183.
  9. 박정, 신동희 (2002).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한국지구학회, 23(3), 207-220.
  10. 심규철, 김현섭 (2005). 과학영재의 학습 양식에 대한 재능 영역 및 성별에 따른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 33(4), 403-413.
  11. 심명보 (2014). 초등 수.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12. 옥미례 (2016). STEAM 디자인교육에서의 동료평가 지도전략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이정숙 (2006).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4. 정경아 (2006). 영재교육 성별 실태 및 영재 여학생 육성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5. 최민호, 김현주 (2012). 골드버그장치 제작활동을 적용한 물리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청림과학교육연구논총, 18(1), 88-107.
  16. 최수연 (2008). 성별에 따른 과학 관련 흥미, 태도, 학교 밖 경험의 추이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7. 한화택(2007). 골드버그 장치@단순한 삶. 설비저널, 36(12), 52-73.
  18. Preckel, F., Goetz, T., Pekrun, R., & Kleine, M. (2008). Gender differences in gifted and averageability students: Comparing girls' and boys' achievement, self-concept, interest,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Gifted child quarterly, 52(2), 146-159. https://doi.org/10.1177/0016986208315834
  19. Goldberg, R. (2015). The definition of Rube Goldberg. from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rubegoldberg에서 2015. 09. 24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