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천문 내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3-Steps Mind Map Activities on the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Focused on the Astronomy Contents

  • 투고 : 2016.04.21
  • 심사 : 2016.06.27
  • 발행 : 2016.06.30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에게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이라는 학습 방법을 천문내용을 중심으로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그들의 시스템 사고가 어떻게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2번의 사전연구를 거친 후, 6학년 9명 학생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의 향상 정도를 마인드맵과 인과지도 및 학생들의 면담 내용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인과지도 내용이 통제집단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통해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들의 배경지식 활성화 및 사고의 체계화를 유도함으로써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인재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the science gifted students can improve their system thinking by applying 3-steps mind map activities about astronomy contents. Through the pre-study two times, 9 students in 6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systems thinking through the science gifted students' mind maps, causal maps and their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ystem thinking who learned 3-steps mind map activities was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the controlled group's. Therefore 3-steps mind map activiti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valuable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ir system thinking. Through this study, 3-steps mind map activities were confirmed that by inducing background knowledge activation and thinking systematiz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So the 3-steps mind map activities can be helpful in cultivate human resources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ir system th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천덕, 이효녕, 윤일희, 김은주 (2008). 물의 순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2(1), 61-72.
  2. 김동환 (2011). 시스템 사고 : 시스템으로 생각하기. 서울: 선학사.
  3. 김유미 (1999). 마인드맵이 아동의 작문수행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9(1), 127-147.
  4. 김찬종, 이수정 (2002). 마인드 맵의 채점 기준 개발 및 신뢰도 검증.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32-639.
  5. 김태수 (2009). 과학 글쓰기를 통해 본 학생들의 지구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6. 김현철 (1995). 뇌반구 활용을 위한 사고력 중심의 마인드맵 프로그램의 탐색. 영재교육연구, 5(2), 91-119.
  7. 문병찬 (2011). 인과지도를 통한 창의성검사 방안 탐색.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2(1), 131-153.
  8. 문병찬, 송진여 (2012). 초등학생들의 시스템사고 교수- 학습 효과.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3(4), 81-99.
  9.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84-696.
  10.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https://doi.org/10.9722/JGTE.2014.24.3.421
  11. 박주현, 문병찬, 송진여 (2009). 초등과학수업에서 마인드 맵 활용에 대한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80-90.
  12. 박춘성 (2015).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진로교육 적용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4(1), 181-199.
  13.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4. 성만도 (2003). 마인드맵 활용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인지 능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5. 손준호, 김종희, 김영곤 (2014).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35(7), 572-58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72
  16. 여상인, 진현숙 (2012). 과학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6(1), 94-105.
  17. 윤태옥 (2012). 마인드맵(mind map)을 활용한 영재학급과 일반학급 중학생의 시스템 사고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이정규, 성은현, 이신동 (2015). 우리나라 영재교육 정책의 변화와 향후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14(2), 49-67.
  19. 이효녕, 권용주, 오희진, 이현동 (2011).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784-797. https://doi.org/10.5467/JKESS.2011.32.7.784
  20. 이효녕, 김승환 (2009).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 과학교육연구지, 33(1), 12-30.
  21. 이효녕, 이현동 (2013). 과학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시스템 사고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237-124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237
  22. 임길선, Yager, R. E. (2007). 과학영재성의 지속적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19.
  23. 전재돈 (2014). 일반계 고등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4. 조석희 (2000). 과학영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과학재단 연구 보고서(98-14).
  25. 허영주 (2006). 마인드 맵을 통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화산 개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6. 황정훈, 김영민 (2009).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697-727.
  27. Mayer, V. J., & Kumano, Y. (1999). The role of system science in future school science curricula.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4(1), 71-92. https://doi.org/10.1080/03057269908560149
  28. Mayer, V. J., 남정희, 이효녕 (2007). 통합과학의 이해: 지구시스템적 접근. 서울: 자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