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Ulleungdo Mountains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

  • Lee, Jeon (Dep.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6.06.0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temporary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material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in Ulleungdo Mountains. The most frequent roof type of rural housing is the hip-and-gable roof type(42.1%); and the next, the gable roof type(25.8%). For the roof materials, the precoated steel plate(69.1%), the asphalt shingle(11.8%), and the cement(10.7%) are the most frequent but the roofing tile and the artificial slate are not used. And for the outer wall materials, the cement(27.5%), the siding(21.3%), the corrugated galvanized iron(16.8%), and the lumber sheet(6.7%) are the most frequent. It is the hip-and-gable roof housing type with the precoated steel plate(roof materials)(41%), or the hip-and-gable roof housing type with the precoated steel plate(roof materials) and the cement(outer wall material) (18.0%) that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rural housing in Ulleungdo Mountains. For the roof/wall materials, the ratio of the corrugated galvanized iron is high probably due to the relatively low cost of transport, and the ratio of the roofing tile, the artificial slate, the red brick, and the building stone is very low probably due to the relatively high cost of transport.

이 연구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에 초점을 두고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그리고 울릉도 산지의 촌락 가옥 유형을 제주도와 경남의 촌락 가옥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도 논의한다.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를 보면, 팔작지붕(42.1%)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는 맞배지붕(25.8%), 우진각지붕(11.8%), 단순평지붕(10.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지붕 재료를 보면, 컬러강판(69.1%), 아스팔트싱글(11.8%), 시멘트(10.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컬러강판을 지붕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압도적으로 많고, 기와나 슬레이트를 지붕 재료로 사용한 가옥은 한 채도 없다. 그리고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27.5%), 사이딩(21.3%), 함석(16.8%), 목재(6.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의 결합 관계로 본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컬러강판 가옥 유형(73채; 41.0%)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해서 지붕 재료와 외벽 재료의 결합 관계로 본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컬러강판-시멘트 가옥 유형(32채; 18.0%)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지붕/외벽 재료로 함석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 기와나 슬레이트를 지붕 재료로 사용하지 않는 것, 적벽돌이나 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하는 빈도가 낮은 것 등은 건축 자재의 운송비용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희, 2012, "울릉도 지형지," 한국지형학회지, 19(4), 39-57.
  2. 김윤학, 2013, "농촌마을 지붕경관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가로변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5(3), 17-24.
  3. 김찬영, 2004, "울릉도 민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5(5), 107-118.
  4. 김창환, 2013,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4), 177-190.
  5. 김향숙, 1991, 강원도의 겹집 유형과 그 분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병석, 2000, 중부형 민가 평면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태화, 1998(a), "맞배지붕 민가의 발달과 구조," 국토지리학회지, 32(2), 59-86.
  8. 박태화, 1998(b), "맞배지붕 민가의 사진에 의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7, 105-115.
  9. 박태화, 2002,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1), 35-47.
  10. 박태화, 2008, 동족촌락의 전통민가: 지리학적 고찰, 경북대학교출판부.
  11. 박희두, 1997, "울릉도의 자연지리," 지리학 연구, 31, 27-40.
  12. 오남현, 2001, "울릉도 자연환경자원보호구역에서의 난개발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3), 14-28.
  13. 이승호, 2002, "한국 다설지역의 가옥 특성: 민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7(1), 1-14.
  14. 이전, 2011, 촌락지리학, 푸른길.
  15. 이전.성화룡, 2015,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4), 660-672.
  16. 이전.이호욱, 2015,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7(3), 70-83.
  17. 이전.채민수, 2015, "경남 고성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대한 연구: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3), 51-61.
  18. 이전, 2016,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369-382.
  19. 이찬, 1975, "중부지방의 민가형태 연구 개요," 지리학과 지리교육, 4(1), 27-40.
  20. 이혜은, 2009, "1882년의 울릉도의 지리환경," 한국문화 역사지리학회지, 21(2)(통권 38호), 117-131.
  21. 이혜은, 2012, "개척기 울릉도의 지리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4), 13-23.
  22. 이혜은.이형근, 2006, "만은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일기," 독도연구 2006-0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3. 이호욱, 2016,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화영, 2009, 전통가옥의 유형별 분포 권역에 관한 연구: 논산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보웅, 1977, "울릉도 나리동의 투방집 연구," 지리학, 16, 25-34.
  26. 장보웅, 1980, "한국의 민가형 분류와 문화지역구분," 지리학, 22, 41-58.
  27. 장보웅, 1996, 한국민가의 지역적 전개, 보진재.
  28. 조성기, 2006, 한국의 민가, 한울.
  29. 최영준, 1997,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국역사지리학 논고, 한길사.
  30. 홍경희, 1985, 촌락지리학, 법문사.
  31. 황상일, 2012, "울릉도.독도 관광의 현황과 생태관광 기반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5(1), 189-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