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for Coastal Sand Dunes in Incheon: Focused on the Jung gu, Ongjin gun in Incheon

인천광역시 연안 해안사구 보전현황 평가 연구: 중구, 옹진군을 중심으로

  • Park, KyoungMoon (Department of Urban Planing & Engineering, Hyupsung University) ;
  • Kim, SungWoo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
  • An, TaeSun (Department of Urban Planing & Engineering, Hyup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6.06.1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paper is a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coastal sand dunes spread along the shoreline of Ongjin-gun, Jung-gu in Incheon and evaluated their conservation status. In Incheon, the length of coastline along the West Sea shoreline is 1,053km. thus leading to an assumption that coastal sand dunes are dispersed their as many as other regional local government. However, there are no enough basic data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other areas besides the 5 places on the lis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sidering this fact, this paper additionally drew 21 coastal sand dunes in the shoreline of Incheon, including the 5 places on the lis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rough the standard of coastal sandhill selection. The additionally selected aimed to propose how to develop basic materials on the conservation status of coastal sandhills in Incheon through characteristic analysis by sandhill and qualitative evaluation.

본 연구는 인천시 중구, 옹진군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사구의 분포 현황 및 특성조사를 바탕으로 보전현황 평가를 실시한 연구이다. 인천시의 경우 서해 연안을 따라 형성된 해안선의 길이가 1,053km에 달하고 있어 여느 지역자치단체 못지않게 해안사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관할구역 내해안사구의 분포나 특성, 관리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인천시 일부 연안을 대상으로 해안사구 추가도출 기준 설정을 통해 21개소의 해안사구를 추가 도출하고, 이들 해안사구에 대한 특성분석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인천시 해안사구 보전현황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 및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11, 자연방파제 해안사구, 환경부.
  2. 김종덕 외, 2005, 우리나라 모래해안의 실태와 환경관리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 남혜정, 2005, 해안 지역의 환경 변화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명현호, 2010, 건강성 평가를 통한 해안사구생태계 보전 관리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서종철, 2002,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구지대의 지형변화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98-109.
  6. 유근배(역), 2007, 해안보호, 한울출판사.
  7. 육근형 외, 2008, 연안완충공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윤한삼 외, 2010, "우리나라 해안사구 분포 현황과 기능 특성에 관한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pp.180-194.
  9. 이윤구, 2011, 인간 간섭에 의한 해안 환경 변화 연구: 강릉시 사빈 해안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장동호.박지훈, 2009,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1), 73-95.
  11. 제종길, 2001, 우리나라 사구 실태파악과 보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12. 조두성, 2006, 한국 해안사구의 토양환경과 식물군락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최지연, 2005, "신두리 해안사구를 둘러싼 갈등 분석," 월간 해양수산, 제246호, 5-15.
  14. 최희경, 2010, 동해안 사구의 보전 현황 평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한갑수 외, 2010, "항공사진을 활용한 양양 해안사구 지역의 토지피복 변천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 107-118.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2.107
  16. 환경노동위원회, 2001, 2001년도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17. 환경부, 2002, 해안사구 보전.관리 지침.
  18. 환경부, 2008, 서해안(옹진)의 자연적으로 유실된 연안사구, 사빈의 침식영향분석 및 복원관리기술개발.
  19. 환경부, 2008, 전국 해안사구 정밀조사 보고서: 대청도 (옥죽동, 시탄동), 고성(동호).
  20. 환경부, 2009, 전국 해안사구 정밀조사 보고서: 덕적도 (서포지, 밧지름사구), 임자도(대광사구).
  21. KBS 환경스페셜(2000.1.17), 모래언덕의 비밀-해안사구 그 최초의 보고서.
  22. Kutiel, P., 2001,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Mediterranean coastal sand dunes in Israel.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7(2), 183-192. https://doi.org/10.1007/BF02742480
  23. McLachlan, A., 1990,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dune and beach systems, In: Nordstrom K., Psuty, N. and Carter, B.(editors),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201-215.
  24. Phillips, M.R., Abraham, E.J., Williams, A.T., House, C., 2007, Function analysis as a coastal management tool: the South Wales coastline UK,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11(3), 159-170. https://doi.org/10.1007/s11852-008-0016-9
  25. Rhind, P., Jones, R., 2009, A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of sand dune system in Wales,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13(1), 15-23. https://doi.org/10.1007/s11852-009-0047-x
  26. Shanmugam, S., Barnsley, M., 2002, Quantifying landscape-ecological succession in a coastal dune system using sequential aerial photography and GIS,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8(1), 61-68. https://doi.org/10.1652/1400-0350(2002)008[0061:QLSIAC]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