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Spectacles of K-POP Hologram Concerts -Focus on Contents of SM Entertainment-

K-POP 홀로그램 콘서트에 나타난 스펙터클 분석 -SM Entertainment 콘텐츠를 중심으로-

  • 한혜원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정아람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6.03.18
  • Accepted : 2016.05.09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Hologram technology is widely applied in entertainment contents for public, no more remained in specific technological area for minority experts. Expecially, K-POP entertainment contents increasingly adopt hologram images. These contents use hologram technology as a part to arouse spectacles or represent idols as hologram characters. In this study, spectacles and aura of K-POP hologram concerts of SM Entertainment which runs stably in certain period were analyzed, so that it could recognized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distinguished only in hologram concerts. Thus, the setting of hologram concerts alienates seats from the stage so that maximize distance, and the aura of idol characters strengthens through fantasy of escape from reality. Hologram concerts maximize fantasy through exposing tricks rather than concealing it. Hologram concerts enhance image of Korea as ICT leader, overcome physical and geological limitation of 'Korean Wave' to globalize, and propose examples of popularization of convergence contents.

홀로그램은 소수 전문가 집단을 위한 특정 기술의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대중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K-POP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경우, 홀로그램 영상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홀로그램을 부분적으로만 활용해 스펙터클을 연출하거나, 아이돌 자체를 홀로그램 캐릭터로 재현해 '원본 없는 이미지'만으로 콘서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중 홀로그램 콘서트를 일정 기간 이상 안정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SM Entertainment 의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홀로그램 콘서트에서 발현되는 스펙터클과 아우라를 분석해 실제 인물의 퍼포먼스와 변별되는 홀로그램 콘서트만의 차별화 전략을 도출했다. 그 결과 홀로그램 콘서트의 경우 배경에서 무대와 객석을 분리함으로써 소외효과를 극대화했으며, 아이돌 캐릭터에게는 탈현실의 환상성을 부여했다. 홀로그램 콘서트에서는 홀로그램의 허구성을 은폐하기 보다는 오히려 이를 폭로함으로써 환상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한다. 홀로그램 콘서트는 ICT 강국으로서의 한국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리적으로 글로벌화에 불리할 수 있는 한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융합 콘텐츠의 대중화 사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 Yaroslavsky, Digital Holography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Principles, Methods, Algorithm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 P, Phelan, Unmarked: the Politics of Performance, Routledge, 1996.
  3. https://www.youtube.com/watch?v=c7OFl3TJSUk
  4. https://www.youtube.com/watch?v=TGbrFmPBV0Y
  5. https://www.youtube.com/watch?v=jDRTghGZ7XU
  6. https://www.youtube.com/watch?v=rL5YKZ9ecpg
  7. 손욱호, "홀로그래피: 완전 입체영상 기술의 전망," TTA저널, 제133권, pp.69-74, 2011.
  8. 김성민, "홀로그래피 산업 전망 및 디지털 홀로그래피 상용화를 위한 고려사항," 방송과 미디어, 제18권, 제3호, pp.109-117, 2013.
  9. 오관정, 추현곤, 김진웅, "디지털 홀로그래픽 비디오 기술 동향," 정보와 통신, 제32권, 제3호, pp.37-43, 2015.
  10. 조병철, 심희철,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90-102, 2013.
  11. 박은아, 김이경, "무용공연에서 3차원 입체 홀로그래피의 적용과 확장 가능성,"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0권, 제2호, pp.137-155, 2012.
  12. 조종학, "첨단 미디어 기법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pp.637-645, 2015.
  13. 임수연, 김상욱, "관객접근에 의해 행동하는 3D 홀로그래픽 콘텐츠 저작 및 프로젝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pp,597-60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597
  14. 허철, 김상헌, "홀로그램 콘텐츠 전용관의 국내사례조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2015권, 제5호, pp.413-414, 2015.
  15. http://www.nbcnews.com/news/world/japans-biggest-pop-star-right-now-hologram-n76506
  16. R. Arnold, "There's a Spectre Haunting HipHop : Tupac at Coachella, Holograms in Concert, and the Future of Live Performance," Death and the Rock Star, Routledge, pp.177-187, 2016.
  17. H. Matthew, "The Hologram of Tupac at Coachella and Saints : the Value of Relics for Devotees," Celebrity Studies, Vol.4, No.2, pp.238-240, 2013. https://doi.org/10.1080/19392397.2013.791054
  18. K. McLeod, "Living in the Immaterial World: Holograms and Spirituality in Recent Popular Music," Popular Music and Society, 2015.
  19. 김광철, 장병원, 영화사전, propaganda press, 2004.
  20. 오은영, 호모매지쿠스 마술적 인간의 역사, 북산, 2015.
  21. A. Gaudreault, "Theatricality, narrativity, and "Trickality" : Reevaluating the cinema of Georges Melies," Journal of Popular Film & Television, Vol.15, No.3. pp.110-119, 1987. https://doi.org/10.1080/01956051.1987.9944092
  22. http://koreatimes.co.kr/www/news/culture/2013/07/135_139321.html
  23. A. Darley,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24. L. Manovich,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5. S, Wright, 민경원 역, 시각특수효과와 영상합성의 이해, 책과길, 2011.
  26. https://www.youtube.com/watch?v=seJLzkAnfl4
  27. https://www.youtube.com/watch?v=8kyG5tTZ1iE
  28. T. Gunning, "The cinema of attraction," Wide Angle, Vol.3, No.4, pp.63-69, 1986.
  29. W. Benjamin, 최성만 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07.
  30. W. Benjamin, 최성만 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07.
  31. 김창훈, 콘서트 기획과 제작 실무, 세광음악출판사, 2012.
  32. B. J. Baars and N. M. Gage,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Academic Press, 2010.
  33. B. Brecht, 송윤엽 외 역, 브레히트의 연극 이론, 연극과인간, 2005.
  34. J. Baudriilard, 하태환 역,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35. 원용진, 김지만,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 현상," 대중서사연구, 제0권, 제28호, pp.319-361, 2012.
  36. J. Baudriilard, 하태환 역,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37. A. Darley,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38. E. Buscombe, "Sound and Color," Jump Cut, No.17, pp.23-25,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