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on Subjective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economic Status

장애인의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5.10
  • Accepted : 2016.05.28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influence subjective heal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 used survey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xclusion sca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influence subjective health. Namely, those who have more social trust and high disability identity experience subjective good health than other people with disabilities do.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subjective health was moderated by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Nam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subjective health is bigger as the level of social-economic status is high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self-rated health was not moderated by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policy and practice ways to promot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척도개발에 사용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는 장애정체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정도가 비수급자에 비해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 신뢰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외, 한국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 이웅, 김동기,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탐색: 사회적 배제와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7권, pp.133-158, 2015.
  3. 김계하, 김옥수, 김정희,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사회적지지 및 자아통제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97-305, 2004.
  4. 권복순, 박현숙, "성인 여성장애인의 우울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1호, pp.169-192, 2005.
  5.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5권, pp.51-80, 2010.
  6. 전해숙, 강상경, "장애인의 우울 궤적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41-67, 2013.
  7. 김예순, 김선영, 김명, "성인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요인," 대한보건연구, 제40권, 제4호, pp.51-62, 2014.
  8. 정덕진,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247-275, 2014.
  9. 황주희, 전동일, 김홍모, "장애인의 실업과 우울 사이의 상호 인과성 분석,"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27-49, 2014.
  10. 김소희, 김초강, "여성지체장애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교육.증진학회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76-78, 1999.
  11. 김계하, 김옥수,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pp.478-486, 2005.
  12. 정성석, 정경화, "재가 장애인의 EQ-5D를 활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자료를 토대로,"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91-302, 2010.
  13. 전해숙, "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의 종단적 관계: 노령인구와 비노령인구의 비교,"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4호, pp.50-70, 2014.
  14. 이계승,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수준의 관계: 우울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11-138, 2014.
  15. 이한나, 신은경, 신형익, "장애인의 직업과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WHODAS 2.0 활용," 직업재활연구, 제24권, 제1호, pp.5-28, 2014.
  16. 김창숙, "QLF-D를 이용한 청각장애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05-3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305
  17. 김종성, 조비룡, "건강검진 수검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 관련 행위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제31권, 제9호, pp.688-696, 2010. https://doi.org/10.4082/kjfm.2010.31.9.688
  18.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건강 형평성 측정 방법론, 한울아카데미, 2008.
  19. Bailis, D. S., Segall, A., Chipperfield, J. G., "Two views of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6, No.2, pp.203-217, 2003.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020-5
  20. A. Molarius and S. Janson, "Self-Rated Health, Chronic Diseases, and Symptoms among Middle-age and Elderly Men and Women," J. of Clinical Epidemiology, Vol.55, pp.364-370, 2002. https://doi.org/10.1016/S0895-4356(01)00491-7
  21. Shadbolt, Bruce, "Some Correlates of Self-rated Health for Australian Wo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87, No.6, pp.951-956, 1997. https://doi.org/10.2105/AJPH.87.6.951
  22. Y. H. Khang, J. W. Lynch, S. Yun, and S. I. Lee, "Trend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measures," J.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8, No.4, pp.308-314, 2004. https://doi.org/10.1136/jech.2003.012989
  23. S. H. Jee, H. C. Ohrr, and I. S. Kim, "Self 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elderly-Kangwha cohort, 8-year follow up,"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6, No.2, pp.172-180, 1994.
  24.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p.241-258, 1986.
  25. J. S. Coleman,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Belknap Press of Havard University Press, 1990.
  26.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27. 박희봉, 사회자본-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서울: 조명문화사, 2009,
  28. 김태룡, "시민단체가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3호, pp.27-51, 2006.
  29. V. Cattell, "Poor People, Poor Places and Poor Health: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52, pp.1501-1516, 2001.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259-8
  30. I. Kawachi and L. Berkman, "Social Ties and Mental Health," J. of Urban Health, Vol.78, pp.458-467, 2001. https://doi.org/10.1093/jurban/78.3.458
  31. J. Macinko and B. Starfield, "The Utility of Social Capital in Research on Health Determinants," The Milbank Quarterly, Vol.79, No.3, pp.387-427, 2001. https://doi.org/10.1111/1468-0009.00213
  32. M. R. I. Perry and Williams, N. Wallerstein, and H. Waitzkin,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 Experiences among Low-income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8, pp.330-336, 2008. https://doi.org/10.2105/AJPH.2006.086306
  33. J. M. Mellor and J. Milyo, "State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Health Status," J. of health Politics, Policy and Law, Vol.30, pp.1101-1130, 2005. https://doi.org/10.1215/03616878-30-6-1101
  34. 김용신, "다문화 소수자로서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정체성: 글로벌 정의는 가능한가?," 사회과교육, 제50권, 제3호, pp.17-27, 2011.
  35. 이익섭 외, 장애정체감 척도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36. R. Jenkins, Social Identity, London: Routledge, 1996.
  37. 이익섭, 신은경, "장애정체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척수손상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5권, pp.111-141, 2006.
  38. J. Swain and S. French, "Towards an Affirmation Model of Disability," Disability & Society, Vol.15, No.4, pp.569-582, 2000. https://doi.org/10.1080/09687590050058189
  39. C. Cameron, Not our problem. Disability as Role, LSE Disability Identity Conference, 2011.
  40. 조정아,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변화가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제2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pp. 363-38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0.
  41. 이숙정, "시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 행태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37-34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37
  42. 김경미, 김동기, 유동철, 신유리,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척도개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제23권, 제1호, pp.47-64, 2013.
  43.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 제44권, 제2호, pp.59-92, 2010.
  44.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3호, pp.127-153, 2007.
  45. 노대명, 원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취업수급가구의 탈수급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7권, pp.333-36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