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rticipation's Status and Promotion Plan of Senior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6.13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of seniors that participate in senior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and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participation satisfaction based on participant attributes. In terms of the participation status, participating seniors became aware of the project through facilities and about 70% participated in the public interest type; the primary goal was for a short-term financial preservation. As an analysis result on participation effectiveness, longer participation period and time affected the participation seniors' working conditions and self-esteem negatively, implying that a flexible and effective operation of participation period is necessary. Also, while seniors with financial stability were more positively affected on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other significant variables had negative effects. This study holds a significance in providing political implications as the basic data to improve and vitalize future senior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such as working conditions, self-esteem and subjective satisfaction based on participant attributes, includi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status and participation degree.

본 연구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 실태와 근로여건을 파악하고, 참여자 특성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참여실태 분석 결과, 주로 시설이나 기관을 통해 사업을 알게 되어 공익형에 대다수인 약70%가 참여하고, 단기간 경제적 소득보전이 주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참여 효과성 분석 결과, 사업참여 기간과 시간이 길수록 근로여건 및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참여기간의 신축적 효율적 운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여유가 있는 노인일수록 경제적 주관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 사업이 노년생활에 일정부분 의미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유의미한 변수는 사업참여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업의 참여자 특성과 참여 정도 및 실태 등에 따라 노인의 근로여건, 자아존중감, 주관적 만족감 등 참여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통해 향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4 고령자통계, 통계청, 2014.
  2. 임은의, 이종남, 박보영, "노인 사회활동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제4권, 제1호, pp.45-66, 2014.
  3. 이영선, "울산지역 노인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지방자치연구소, 제30권, 제1호, pp.145-170, 2013.
  4.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9권, pp.331-354, 2013.
  5. J. W. Yun, "The Myth of Confucian Capitalism in South Korea: Overworked Elderly and Underworked Youth," Pacific Affairs, Vol.83, No.2, pp.237-259, 2010. https://doi.org/10.5509/2010832237
  6. P. Rones, L. Wash, and Patrick, Emloyment Issues in Social Work with the Elderly. AOA Occasional Papers in Gerontology, No.4,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p.2-38, 1980.
  7. M. E. Altmaier, A. J. Aquino, W. D. Russell, and E. C. Cutrona, "Employment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3, No.4, pp.480-489, 1996. https://doi.org/10.1037/0022-0167.43.4.480
  8. 황미구, 김은주,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인 특성이 삶.직무.사회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제21권, 제3호, pp.137-156, 2008.
  9. M. Shannon and D. Grierson, "Mandatory Retirement and Older Worker Employment,"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37, No.3, pp.528-551, 2004. https://doi.org/10.1111/j.0008-4085.2004.00237.x
  10. 권구영, 최정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8권, pp.51-77, 2007b.
  11. 보건복지부, 2015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015.
  12. 고재욱, 이동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31권, 제4호, pp.1209-1228, 2011.
  13. S. Hiroki, "A Typical Employment: A Source of Flexible Work Opportunities?," Social Science Japan Journal, Vol.4, No.2, pp.161-181, 2001. https://doi.org/10.1093/ssjj/4.2.161
  14. 이석원,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시간활용 변화와 적극적 노년생활,"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51-79, 2010.
  15. 심재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9권, 제2호, pp.197-235, 2013.
  16. 모선희,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제17권, 제1호, pp.94-108, 1997.
  17. 김상희, 도서관 관리지원 사업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의정부시 노인일자리사업을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이지영, "한국 고령자 고용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균형발전연구, 제4권, 제2호, pp.89-112, 2013.
  19. 최희진, "민간위탁 계약행위자의 목표일차와 복지서비스 사업성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2호, pp.371-399, 2015.
  20. 지은정, 한국 직접일리사업 현황: 고령자를 중심으로, 노인인력개발원 이슈페이퍼 보고서, 2014.
  21.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실태조사, 2014.
  22. 권구영, 박공식,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7권, 제3호, pp.527-547, 2007a.
  23.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23-13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23
  24. 임우석, "도시지역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도시행정학보, 제21권, 제2호, pp.371-395, 2008.
  25. 이환범, "노인일자리사업 개선을 위한 효과성 평가,"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1권, 제4호, pp.81-100, 2010.
  26. 김영선, 강은나, "노인일자리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19-435, 2011.
  27. 정연자, 전정수, "노인 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에 따른 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연구학회, 제28권, 제5호, pp.193-223, 2014.
  28. 김수영, 이민홍, 손태홍, "고령자 사회참여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3권, 제2호, pp.451-479, 2015.
  29. 이경진, 황선영,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케어복지학, 제12권, 제1호, pp.29-56, 2009.
  30. 이재영, 김진숙,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8권, pp.353-382, 2012.
  31.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32. 나용선, 최명주, "한국의 자원봉사와 노인일자리 사업의 역할정립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1권, 제1호, pp.49-61, 2004.
  33. 이원식, "충남노인의 일자리사업실태와 활성화 전략," 충남발전연구원, 제31권, pp.168-173, 2005.
  34. 최성희, "노인 일자리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5권, 제1호, pp.199-221, 2008.
  35. 유용철, 이훈희, 정윤태, "충청남도 연기군의 노인일자리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혁신연구, 제1권, 제1호, pp.101-121, 2010.
  36. 함석주, 고령화 사회에 따른 서울시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7. 조준행, 탁윤경,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분석," 한국심리학회, 제2007권, 제1호, pp.522-523, 2007.
  38. 박용두, 정민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16-226, 2013.
  39. 박양숙, 송진영, 박용순,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 정도가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및 참여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3호 pp.191-216, 2015.
  40. 최은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1.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5권, 제4호, pp.323-349, 2009.
  42. 함철호, 오혜연,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제48권, pp.229-249, 2010.
  43. 최재원, "노인일자리 참여의향 및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제7권, 제1호, pp.179-209, 2015.
  44. 김경혜, "초고령 사회 서울, 어떻게 대처 할 것인가(I)," 정책리포트, 2011.
  45. 조윤주,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20, 2011.
  46. 김세진, 문수경,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기간, 가족관계만족도, 참여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5-13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