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of Housing Voucher Program -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특성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김가연 (인천발전연구원) ;
  • 홍희정 (이화사회과학원) ;
  • 홍성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16.03.07
  • Accepted : 2016.04.11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Paradigm for supporting housing for low-middle income class has been changing from public rental housing to Housing Voucher. Housing Voucher started first in Seoul since 2010, and it has been expended to other areas in 2014. Given the dearth of previous research data, this study aims to analyze options determinants that the beneficiaries could consider in choosing their residential area.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for the research methods, a quantitative analysis b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and Ordinary Least Square (OLS) has been conducted. As a result, the accessibility to social welfare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and job opportunities emerged main factors to for the Housing Voucher recipients in Seoul to choose their residential area. This is different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which has two implications. First, reexamination of Housing Voucher is necessary. Second, Housing Voucher beneficiarie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housing but also support for family and welfare system access.

서민층의 주거지원 정책이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대규모 공공임대주택 공급에서 수요자 중심의 주택바우처 제도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의 주택바우처는 2010년부터 서울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하였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주택바우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가 많으나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선택요인을 찾아내고, 일반 회귀분석(OLS)과 지리적 가중회귀(GWR) 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들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으로 단순노무직 일자리와 사회복지시설 접근성, 대중교통 접근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형 주택바우처에 대한 목적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단순한 주거지원 뿐만 아니라 재취업을 위한 교육과 가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선화, 박광준, 황성철, 안흥순, 홍봉선,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양서원, 2008.
  2. T. G. Kingsley, Housing Vouchers and America's Changing Housing Problem Privatization and Its Alternative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1.
  3. 진미윤, 박재순, "미국 주택바우처 제도의 역사적 경험과 정책적 함의," 주택연구, 제17권, 제4호, pp.115-151, 2009.
  4. HUD,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Guidebook,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2001a.
  5. 박은철, 서울형 주택바우처 운영개선 및 발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6. http://www.molit.go.kr/portal.do
  7. A. Schwartz, Hous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Routledge, 2010.
  8. E. W. Burgess, "The Growth of the City," In R. E. Park, E. W. Burgess, and R. D. Mckenzie (eds.), The C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5.
  9. 김헌민, "도시재개발이 저소득층의 주거입지에 미치는 영향-접근성에 대한 형평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0권, 제3호, pp.137-152, 1996.
  10. P. Rosenblatt and S. DeLuca, "We don't Live in Here: Neighborhood and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Among Low-Income Familits," City & Community, Vol.11, No.3, pp.254-284, 2012. https://doi.org/10.1111/j.1540-6040.2012.01413.x
  11. W. Alonso, Location and Land Us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4.
  12. 이희연, 경제지리학, 법문사, 2002.
  13. 최막중, 임영진,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6호, pp.117-142, 2001.
  14. 김재홍, "명시선호실험을 이용한 소득계층별 주거입지 속성가치의 격차 분석," 지역연구, 제22권, 제2호, pp.3-26, 2006.
  15. 배순석, 전성제, "서울시 저소득계층 주거의 입지현황과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51권, pp.191-206, 2006.
  16. 권대철, 고진수,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공공임대주택과 매입공공임대주택정책 비교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4호, pp.43-56, 2010.
  17. S. Husna and Y. Nurizan, "Housing Provision and Satisfaction of Low-Income Households In Kual Lumpur," Habitat International, Vol.11, No.4, pp.27-38, 1987. https://doi.org/10.1016/0197-3975(87)90006-3
  18. D. Jencks and S. E. Mayer, The Social Consequences of Growing Up in a Poor Neighborhood in L. E. Lynn, Jr. and McGeary M. G. H. (eds.), Inner City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0.
  19. W. A. Clark, "Intervening in the Residential Mobility Process: Neighborhood outcomes for Low-Income Populations," Residential Mobility of Low-Income Populations, Vol.120, No.2, pp.307-312, 2005.
  20. 박미선, "미국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저소득층 주거안정 성과와 정책적 시사점," 도시행정학보, 제25권, 제2호, pp.121-154, 2012.
  21. 김중은, "주택바우처 프로그램 외," 국토, 제330호, p.68, 2009.
  22. R. J. Struyk and M. Jr. Bendick, Housing Vouchers For the Poor: Lessons from a National Experiment, Urban Institute Press, 1981.
  23. HUD, Study on Section 8 Voucher Program Guidebook,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2001b.
  24. 진현환, 쉽게 읽는 미국주택정책, 삼성경제연구소, 2013.
  25. 박미선, "미국의 주택바우처," 도시와 빈곤, 제106호, pp.87-106, 2014.
  26. http://www.seoul.go.kr
  27. 류강민, 김진유, 이광민, 이창무, "국민임대주택입주의사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제15권, 제4호, pp.67-90, 2007.
  28. 김태경,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특성 및 주거만족요인 분석을 통한 임차인 주거지원정책 제언," 주택연구, 제15권, 제2호, pp.73-98, 2005.
  29. 기정훈,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지역정보분석 사례연구: 대선투표 공간자기상관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69-187, 2007.
  30. http://aao.kab.co.kr/aaofx/aao_year.jsp
  31. http://www.r114.com
  32. http://www.welfare.seoul.go.kr.
  33. 장성수, 윤혜정, 주거와 주택, 다락방, 2003.
  34. 김혜승, 전월세주택 시장 조사연구, 국토연구원, 2000.
  35. W. R. Tobler, "A Computer Movies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46, No.2, pp.234-242, 1970. https://doi.org/10.2307/143141
  36. 조동기, "지역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 활용: 지리정보 시스템과 가중회귀분석 중심으로," 조사연구, 제10권, 제3호, pp.1-19, 2009.
  37. S. Farber and M. Yates, A Comprison of Localized Regression Models in an Hedonic Price Context, Canadi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University of Newyork Brunswick, 2006.
  38. A. S. Fotheringham, C. Brunsdon, and M. Charlton,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John Wiley and Sons Ltd, England, 2002.
  39. 김광구, "공간자기상관 (spatial autocorrelation)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 (spatial regression)의 활용," 정책분석학회보, 제13권, 제11호, pp.273-306,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