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Does SNS Change Politics?: Focusing on Reliability of Political Information, Switching of Political Support, and Political Efficacy

SNS는 정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정치정보 신뢰, 지지의 전환 및 참여 효능감을 중심으로

  • 송경재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 임정빈 (성결대학교 행정학부) ;
  • 장우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6.03.25
  • Accepted : 2016.06.14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use of SNS in politics has any political effects. Most previous studies on political participation by SNS tended to just focus on the participation difference between SNS users and non-users. The test results first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ICT increases citizens' interest in political information and differentiate the methods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we identified SNS users tend to have higher reliability in political information and greater transversion effects by the use of media. Finally, the study verifies SNS is a more effective tool in collective actions such as non-customary rallies and demonstration rather than in customary political participation.

SNS의 정치현상에 주목한 본 연구는 SNS의 사용이 어떤 정치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동안 SNS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는 단지 SNS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의 정치참여 차이에만 주목한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기존 연구가 가지는 범위를 한 단계 심화시켜 과연 SNS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의 인터넷 정치정보 신뢰의 차이, 미디어 이용에 따른 지지 정당 또는 후보 전환의 차이,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의 정치참여의 층위별 차이, 마지막으로 정치참여의 효능감의 차이 등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ICT가 발전함에 따라 정치정보에 대한 관심도도 더욱 상승하고 있으며 정치참여의 방식도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SNS 사용자집단은 보다 강한 신뢰의 약한 네트워크 구조 속에서 정치정보를 소비, 생산하기 때문에 평판에 따라 신뢰도는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SNS 사용자집단이 더욱 정치정보를 신뢰하고 미디어를 이용한 개변효과도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NS는 관습적 참여의 도구보다 비관습적 집회 및 시위 등의 집합행동에서 보다 유력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astells, Mannuel,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송경재, "네트워크 사회의 시민참여 변화," 민주사회와 NGO, 제13권, 제1호, pp.231-262, 2015.
  3. D. Boyd and N.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 2007. at http://jcmc.indiana.edu/vol13/issue1/boyd.ellison.html(accessed July 22, 2015).
  4. 최민재, 양승찬,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9.
  5.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한국과 국제정치, 제26권, 제3호, pp.129-157, 2010.
  6. 송경재, 장우영, 오강탁, 양희인, "SNS 이용자 리터러시 제고방안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7. 조희정, 민주주의의 기술: 미국의 온라인 선거운동, 한국학술정보, 2013.
  8. D. Tapscott,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McGraw-Hill, 이진원 옮김, 비즈니스북, 2008.
  9. 커크 패트릭, 데이비드 지음, 임정민, 임정진 옮김, 페이스북 이펙트(Facebook Effect), 에이콘, 2010.
  10. Castells, Mannuel, Communication Power,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1. A. L. Schapiro, The Control Revolution: How the Internet Is Putting Individuals in Charge and Changing the World We Know, New York: Public Affairs, 1999.
  12. C. Shirky, Cognitive Surplus: Creativity and Generosity in a Connected Age, London: Penguin Press, 2010.
  13. D. J. Watts, "The "New" Science of Networks,"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30, pp.243-270, 2004. https://doi.org/10.1146/annurev.soc.30.020404.104342
  14. A. Bruns, Gatewatching,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2005.
  15. A. Bruns, Gatewatching,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2005.
  16. http://www.icrossing.com,
  17. 황유선, "트위터에서 누구를 만나고 무엇을 소통 하는가?," 조화순 엮음, 소셜네트워크와 선거, pp.23-49, 나남, 2012..
  18. 장우영, "트위터스피어의 선거 이슈와 동원: 19대 총선을 사례로," 21세기정치학회보, 제23권, 제3호, pp.247-268, 2013.
  19. M. J. Baek,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tical Communication Systems and Voter Turnou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53, No.2, pp.376-393, 2009. https://doi.org/10.1111/j.1540-5907.2009.00376.x
  20. Norris, Pippa, A Virtuous Circle: Political Communic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1. 송경재, 민희, "인터넷 정치정보 상호작용과 정치참여," 21세기정치학회보, 제19권, 제1호, pp.71-91, 2009.
  22. 조희정, 이원태, "소셜미디어의 선택적 적응과 정치발전: 2010년 영국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9권, 제4호, pp.141-179, 2010.
  23. D. Boyd, S. Golder, and G. Lotan, "Tweet, Tweet, Retweet: Conversational Aspects of Retweeting on Twitter," HICSS-43, IEEE: Kauai, HI, January 6. 2010.
  24. A. Hanna, B. Sayre, L. Bode, H. Y. Jung, and D. Shah, "Mapping the Political Twitterverse: Candidates and Their Followers in the Midterms,"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2011.
  25. 이원태, KISDI Premium Report: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영향과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26. 장우영, 류석진, "소셜네트워크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보, 제47권, 제4호, pp.99-112, 2013.
  27. 장우영, "소셜네트워크 캠페인과 유권자 참여효과: 18대 대선의 경험적 분석," 세계지역연구논총, 제23권, 제3호, pp.247-268, 2014.
  28. 도묘연, "SNS 이용자 특성과 선거참여 행태 분석: 18대 대선의 사례," 국제정치연구, 제18권, 제1호, pp.175-196, 2015
  29. M. Schudson, The Good Citizen: A History of American Civic Life, New York: Free Press, 1999.
  30. Fraser, Matthew and Dutta, Soumitra, Throwing Sheep in the Boardroom: How Online Social Networking Will Transform Your Life, Work and World, WILEY, 2009.
  31. 하세헌, 강명구, "인터넷정치정보 이용과 정치적 관심: 2010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제15권, 제1호, pp.1-27, 2012.
  32. Smith, Aaron, Why Americans use social media, Pew Research Center, 2011.(accessed Octorber 7, 2015).
  33. 조진만, "정보화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5권, 제5호, pp.273-296, 2011.
  34. Barnes, Samuel H. and Max Kaase et al.,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Sage, 1979.
  35. Campbell, Angus, Gurin, Gerald and Miller, Warren Edward, The Voter Decides, Greenwood Press, 1954.
  36. 이정기, "온.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저항적(대안적)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미디어 이용량, 미디어 신뢰도, 정치신뢰도, 정치효능감이 저항적(대안적) 정치참여 경험과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8권, pp.73-109, 2011.
  37. 김무곤, 김관규, "대학생 유권자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평가: 제17대 총선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3호, pp.134-174, 2004.
  38. Sinclair, Betsy, The Social Citizen: Peer Networks and Political Behavio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39. Diamond, Larry and Plattner, Marc, Liberation Technology: Social Media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