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tterns of Childhood's Smart Media Literacy and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Mediation

유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과 부모와 교사의 중재 영향

  • 장석준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박창희 (숭실대학교 언론홍보학과)
  • Received : 2016.06.02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childhood's smart media literacy and to predict factors relating to smart media literacy behaviors. Als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parents' and teachers' mediation of childhood's smart media liter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and we presented two patterns of smart media literacy : perception literacy, critical literacy.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literacy and parental active and passive mediation. And a teacher's active and passive medi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perception literac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active and passive mediation also affected the critical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in gender, school year, spending time, a double income family on smart media literacy. This suggests that a parent's active and passive mediation may lead to activate children's smart media use.

본 연구는 유년층에게 나타나는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부모 및 교사의 중재유형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유년층의 경우, 향후의 미디어 교육 방향에 있어 요인 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만큼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다. 연구결과, 유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에 있어서 '지각리터러시'와 '비판리터러시'와 같은 유형의 리터러시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각리터러시에 대한 영향력으로 성별, 학년, 이용시간, 부모 맞벌이, 부모의 적극적 중재, 소극적 중재 그리고 교사의 적극적 중재, 소극적 중재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판리터러시의 경우 이용시간, 부모 맞벌이 그리고 부모의 적극적 소극적 중재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리터러시와 비교하여 성별과 학년 그리고 교사의 중재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유년층의 경우 학교에서의 교사 영향력보다는 가정에서의 부모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정책적으로도 이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주연,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중독성향 간의 관계 : 부모 훈육방식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5-45, 2013.
  2. A. Bianchi and J. Phillips,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8, No.2, pp.39-51, 2005. https://doi.org/10.1089/cpb.2005.8.39
  3. J. Katz, Connections: Social and Cultural study of the telephone in American life,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999.
  4. 강석기, 한상훈, "청소년의 과잉행동과 대인관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전.충남지역 대학생 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111-128, 2005.
  5. 이정기, "청소년의 성향적 휴대폰 이용동기와 중독, 언어폭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65-401, 2011.
  6. 이데일리, "초등학생 62% 스마트폰 사용 중," 2015, 7. 21일자, 2015.
  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 2012.
  8. D. Buckingham, The media literacy of child and young people, Ofcom., 2005.
  9. A. I. Nathanson,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n the Presence and Meaning of Parental Televisi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5, No.2, pp.210-220, 2001.
  10.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디어 리터러시 국내외 동향 및 정책방향," 코카포커스, 제67권, 제1호, pp.2-27, 2013.
  11. 원용진, 김양은, 양철진 ,조준형,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언론재단, 2013.
  12. P. Gilster, Digital literacy, New York, NY: Wiley, 1997.
  13. 유영만, "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산업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83-117, 2001.
  14. 정현선,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교육, 역락, 2004.
  15.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 EAVI Final Report, 2011.
  16. 권성호, 서윤경, 교육공학적 관점에 따른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 한울, 2005.
  17. 안정임, 김양은, 박상호, 임성원, 미디어 교육 효과측정 모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한국언론재단, 2009.
  18. 안정임,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학습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1-21, 2013.
  19. L. Plowman, J. McPake, and C. Stephen, "Young children and technology in the home," Children and Society, Vol.24, No.1, pp.63-74, 2010. https://doi.org/10.1111/j.1099-0860.2008.00180.x
  20. M. Prensky,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Vol.9, No.5, pp.1-5, 2001. https://doi.org/10.1108/10748120110424816
  21. L. Plowman and J. McPake, "Seven myths about young children and technology," Childhood Education, Vol.89, No.1, pp.27-33, 2013. https://doi.org/10.1080/00094056.2013.757490
  22. A. L. Gutnick, M. Robb, L. Takeuchi, and J. Kotler, Always connected: The new digital media habits of young children, NY: The Joan Ganz Con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2010.
  23. 황슬하, 강진숙, "어린이의 스마트폰 이용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pp.111-134, 2014.
  24. 안정임, "한국에서의 TV시청 중재 유형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6호, pp.332-397, 2003.
  25. A. I. Nathanson,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n the presence and meaning of parental televisi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5, No.2, pp.201-220, 2001.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502_1
  26. P. M. Valkenburg, M. Krcmar, A. L. Peeters, and N. M. Marseille, "Developing a scale to assess three styles of televisi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3, No.1, pp.52-66, 1999. https://doi.org/10.1080/08838159909364474
  27. R. Warren,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5, No.4, pp.847-863, 2005.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b03026.x
  28. S. Livingstone and E. J. Helsper,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No.4, pp.581-599, 2008.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29. 안정임,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6호, pp.230-266, 2008.
  30. 이숙정, 전소현,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289-322, 2010.
  31. 임소혜, 조연하, "부모와 또래집단의 게임이용중재가 청소년의 게임이용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8권, 제4호, pp.173-218, 2011.
  32. 이충효, 초.중.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3.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7, 2015.
  34.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휴대전화 중독원인분석, 2006.
  35. 구현영, 박현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6-65, 2010.
  36. 황용선, 박남수, "청소년 휴대전화 중독 요인과 중독 예방에 있어서 부모.교사의 역할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309-348, 2011.
  37. S. Livingstone and E. Helsper, "Balancing opportunities and risks in teenagers' use of the Internet: the role of online skills and internet self-efficacy," New Media & Society, Vol.12, No.2, pp.309-329, 2010. https://doi.org/10.1177/1461444809342697
  38. 김은미, "부모와 자녀의 인터넷 리터러시의 관계-인터넷 리터러시는 대물림되는가?,"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55-177, 2011.
  39. M. Ito, H. A. Horst, M. Bittanti, B. Herr-Stephenson, P. G. Lange, and C. J. Pascoe, Living and learning with new media: Summary of findings rom the Digital Youth Project, The MIT Press, 2009.
  40.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08-21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41. 서보경,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05-31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05
  42. D. Buckingham, "The Electronic Generation? Children and New Media," In L. Lievrouw & S. Livingstone (Eds.), The Handbook of New Media, London: Sag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