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Disaster Response in Japan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심리지원체계 고찰과 시사점

  • Received : 2016.03.04
  • Accepted : 2016.05.17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disaster response of South Korea by examining that of Japan. Psychosocial support from the Red Cross with the psychiatric support by the DPAT from local government were achieved in the early stage of disaster psychology support system in Japan. In the long term intervention after disaster, psychiatric support from Kokoro-no care center has been established. In other words, not only traditional mental health approach but also disaster psychology support activities including psychosocial support are deployed. National Information Center of Disaster Mental Health, which is control tower of disaster psychology support, understand the disaster in the level of nationwide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disaster, and manag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activities. Disaster psychology support system in Japan modified problems immediately during large scale disaster that they are equipped with state of the current. Implications for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and crisis counseling program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일본 재난관리 및 재난심리지원 체계를 살펴보고, 국내 재난심리지원체계의 구축 및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과 한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에 대한 국 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가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는 대규모 재난 초동기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재난심리지원 인력인 재해파견정신의료팀(DPAT)에 의한 정신의료적 지원과 함께 적십자사에 의한 심리사회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재난 이후 중장기개입에 있어서는 마음케어센터에 의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재난심리지원의 중앙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재해시마음의정보지원센터는 재난정신건강정보지원시스템을 통해 전국적인 재난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관리하여 전국적 수준에서 재난상황을 파악하고, 정보의 취합을 통해 중앙에서의 재난심리지원 활동을 관리한다. 일본 재난심리지원체계는 대규모 재난 시 마다 이를 계기로 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어 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 T. Drennan, A. McConnell, and A. Stark, Risk and crisi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Routledge, 2014.
  2.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147349&code=11131100&sid1=prj&sid2=0021
  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723000588&md=20150723131633_BL
  4. http://m.nocutnews.co.kr/news/4422992#csidx24H61V
  5.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6/09/20150609003971.html
  6. 현승현, 이병기, 김건위, 추병주, "지방정부의 재난대응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과 일본의 해양오염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3권, 제3호, pp.273-306, 2009.
  7. 최남희, "재난피해자 사후지원: 재난피해자의 사회복귀,"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권, 제2호, pp.1-18, 2006.
  8. 양기근,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4권, 제1호, pp.1-13, 2008.
  9. Inter-Agency Standing Committee (IASC), IASC Guidelines on Mental Health and Psychosocial Support in Emergency Settings, IASC, 2007.
  10. 이동훈, 강현숙, "미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 및 재난위기상담의 실제와 시사점,"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513-536, 2015.
  11. 백종우, 김현수, 심민영, 이해국, 우영섭, 정찬승, 방수영, "세월호 사고 직후 대한정신건강재단재난정신건강위원회의 초기 지원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원들의 자원 봉사 활동,"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제54권, 제1호, pp.1-5, 2014. https://doi.org/10.4306/jknpa.2015.54.1.1
  12. 内閣府, 日本の災害対策, Director General For Disaster Management Cabinet Office, 2011.
  13. 이주호, 배정환,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재해 부흥정책 변화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9호, pp.85-100, 2013.
  14. 배재현, 박영원, "재난안전관리체계의 재설계에 관한 탐색적 논의," 2014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pp.536-550, 2014.
  15. 内閣府, 日本の災害対策(日本語-英語版), Director General For Disaster Management Cabinet Office, 2015.
  16.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 재난관리 정책 변화, 안전행정부, 2013.
  17. I. Nakabayashi,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Wide-Area Support," Journal of Disaster Research, Vol.1, pp.46-71, 2010.
  1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23&oid=358&aid=0000001891
  19. 조준행, 최진경, 일본 지진피해의 교통부문 시사점 및 국내 대응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pp.1-22, 2011.
  20. 심우배, "일본 방재체계의 현황과 시사점," 국토, 제280권, pp.103-109, 2014.
  21. 최호택, 류상일,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2호, pp.235-243, 2006.
  22. 임승빈, "국가와 지방의 재해(재난)체계에서의 일본 소방조직의 역할," 서울행정학회 2003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97-212, 2003.
  23. 明石加代, 藤井千太, 加藤寛, 災害や大事故被災集団への早期介入法の普及に関する研究 兵庫県こころのケアセンター研究報告書. 兵庫県こころのケアセンター, 2009.
  24. http://www.j-hits.org/outline/index.html
  25. http://www.j-hits.org/function/person/index.html
  26. http://www.mhlw.go.jp/stf/kaiken/daijin/0000024471.html
  27. http://saigai-kokoro.ncnp.go.jp/activity/activity01.html
  28. 이강현, "재난의료지원팀," Hanyang Med Rev, Vol.35, pp.152-156, 2015. https://doi.org/10.7599/hmr.2015.35.3.152
  29. http://saigai-kokoro.ncnp.go.jp/dpat/outline01.html
  30. 厚生勞働省, 災害派遣精神医療チーム(DPAT) 活動要領, 厚生勞働省, 2014.
  31. 國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 DPAT 活動マニュアル, 國立精神.神経医療硏究センター, 2015.
  32. http://www.redcross.org/what-we-do/international-services/where-we-help/asia/japan
  33. http://www.jrc.or.jp/activity/saigai/about/care/
  34. Y. Suzuki, M. Fukasawa, S. Nakajima, T. Narisawa, A. Keiko, and Y. Kim, "Developing a Consensus-based Definition of "Kokoro-no Care" or Mental Health Services and Psychosocial Support: Drawing from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Responded t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PLoS currents, Vol.7, 2014.
  35. http://h-crisis.niph.go.jp/?p=20355
  36. 배정이, 최남희, 김윤정, 유정, "국내외 재난심리지원의 현황 분석 및 방안 모색,"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2권, 제1호, pp.52-65, 2014.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War Trauma Foundation and World Vision International, Psychological first aid: Guide for field workers. WHO, 2011.
  38. こころのケアセンター, 災害とトラウマ, みすず書房, 1999.
  39. 김익식, "선진국 홍수관리행정 및 연구개발 (R&D)실태에 관한 비교연구," GRI연구논총, 제12권, 제1호, pp.113-133, 2010.
  40. 이병기, 김건위,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41. 김은성, 안혁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재난안전관리의 효과적 협력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9.
  42. http://www8.cao.go.jp/souki/koho/anshintetyo.html
  43. 오미애, 백종우, 나경세, 김나리, 정찬승, 이해국, 채정호, "일본의 재난정신건강서비스체계 고찰," 신경정신의학, 제54권, 제1호, pp.6-10, 2006.
  44. http://www.caind.kr/sub_read.html?uid=737
  45. http://www.hankookilbo.com/v/a6ef4fc5db074eb3861b95032a6199eb
  46. http://news.donga.com/3/all/20140507/63288484 /1
  47. 이호동, "위기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법적 개선과제: 일본 위기관리 법체계 분석과 시사점,"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4호, pp.57-76, 2011.
  48. 이동훈, 신지영, "세월호 재난 위기 개입에 참여한 상담자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2호, pp.373-398.
  49. 노진철, "한국 재난심리지원의 현황과 외국의 실제," 한국상담학회 재난특별대책위원회 특별 심포지엄 자료집, pp.2-13, 2014.
  50. 홍선교, "'정신적 외상 치유의 제도화 방안'에 관한 토론," 2014 통합가치 컨센서스 자료집, pp.97-101, 2014.
  51. 국민안전처, 재난심리지원사업 개선과제분석보고(미간행), 국민안전처, 2015.

Cited by

  1.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ursing Students in Their Disaster Preparedness vol.29, pp.4, 2018,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