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EAM Elements Included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Revised on 2009 - Focusing on the 5th and 6th Grade Group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5~6학년군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5.02
  • Accepted : 2016.05.22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at STEAM elements, except mathematical content, are contained in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group mathematics textbooks. STEAM elements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by grade and by content area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EAM elements in mathematics 5-1, 5-2, 6-1, 6-2 are 151(18.4%), 212(25.9%), 211(25.7%), 246(30.0%), respectively. The 6th Grade than in 5th Grade can be seen a few plenty. Second, the number of STEAM elem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TEAM. The number of arts element is 617(75.2%) and this elements are seen the most. The number of representative art and cultural art is 445(54.3%) and 172(20.9%), respectively. The number of technology-engineering and science is 158(19.2%) and 45(5.5%), respectively. We need to developed to promote use of science element in next mathematics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수학 5~6학년군 교과서에 포함된 STEAM 요소를 학년별, 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여 어떤 요소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요소의 학년별 분포는 6학년 2학기 246개(30.0%), 5학년 2학기 212개(25.9%), 6학년 1학기 211개(25.7%), 5학년 1학기는 151개(18.4%)의 순으로 나타났고, 5학년에 비해 6학년이 약간 많음을 알 수 있다. STEAM 요소의 내용 영역별 분포는 수와 연산 237(28.9%)개, 규칙성 167개(20.6%), 도형 162개(19.8%), 측정 154개(18.8%), 확률과 통계 98개(11.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EAM 요소별로는 편차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술(A) 요소가 617개(75.2%)로 가장 많았는데, 표현예술이 445개(54.3%)로 문화예술의 172개(20.9%)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표현예술이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하위요소로 수학 교과서에 만화, 글쓰기, 이야기 만들기 등의 의사소통 요소가 많이 포함된 것이 주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기술공학(T-E) 요소가 158개(19.2%) 포함되었고, 과학(S) 요소가 45개(5.5%)가 포함되어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교과서 개발 시 상대적으로 적은 과학 요소도 보다 적극적으로 융합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욱 (2014). 수학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 (2015a). 2015 개정 수학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74호 [별책 8].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부 (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 추진-.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부 (2015c). 수학 5-1(2015. 3. 1 초판발행).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5d). 수학 5-2(2015. 8. 1 초판발행).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5e). 수학 6-1(2015. 3. 1 초판발행).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5f). 수학 6-2(2015. 8. 1 초판발행). 서울: (주)천재교육.
  11. 금영충, 배선아 (2012).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57-75.
  12. 김남희, 한화정, 홍보라, 심규철 (2012).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 관련 학습 내용에 관한 과학 융합 요소와 STEAM 요소 분석 및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 I', '생명과학 II' 와의 연계성.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0(1), 121-131.
  13. 김방희, 이희진, 김진수 (2013). 중학교 기술교과의 T-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131-151.
  14.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15. 김유경, 방정숙 (2015). 수학 기반 융한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8(2), 107-122.
  16.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17. 김해규 (2014).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7(3), 277-297.
  18. 김해규 (2016). 2009 개정 초등수학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내용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63-192.
  19. 류성림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8(3), 235-247.
  20. 박형주 (2012). 통합 교육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STEAM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혜원, 신영준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 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0(1), 132-146.
  22. 배선아 (2011).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47-64.
  23.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24. 복주리, 장낙한 (2012). STEAM 관점에서 2009 개정 화학 I 교과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2), 381-393.
  25. 서동엽 (2014).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수학교육연구>, 24(3), 429-442.
  26. 손연아, 정시연,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7. 신경선 (2013). STEAM 교육에 근거한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29. 신재한 (2013).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학습과학연구, 7(2), 29-53.
  30. 안재홍, 권난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의 교사 인식과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과학교육논총, 25(1), 83-89.
  31. 왕희경, 류성림 (2015).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영재지도교사와 예비영재지도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31(1), 65-84.
  32. 이영은, 이효녕 (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33. 이종학, 윤마병 (2014). 건축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중심의 융합교육 수업자료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2), 499-512.
  34. 전미숙, 박문환 (2015).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초등학교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8(2), 91-106.
  35. 정권식 (2015).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3, 4학년군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주희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STEAM 요소 비교 분석-생명과학 단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조민영 (2013). 2009 개정교육과정 화학(II) 교과서 4종의 STEAM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최유현, 이은상, 김동하 (2013). 중학생을 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152-177.
  3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STEM 교육 국제 세미나 및 STEAM 교사 연구회 오리엔테이션자료집. http://www.kofac.re.kr/com/jsp/board.
  40. 한지혜 (2013). 통합 교육에 근거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 분석: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1. 한혜숙 (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7(4), 523-545.
  42. 허형구 (2013). 수학 교과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홍민아, 박종윤 (2014).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STEAM 활동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4), 1033-1055.
  44.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Retrieved from http://bertmaes.wordpress.com/2010/10/21/teams.
  45. Oljace, G. (2013). STEM is elementary: Why elementary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repares students to beat the gaps. STEM is Elementary, LLC.
  46. Vasquez, J. A., Sneider, C., & Comer, M. (2013). STEM lesson essentials, grades 3-8. Portsmouth, NH: Heinemann.
  47. Yakman, G. (2006). STEM pedagogical commons for contextual learning. Unpublished paper for EDCI5774 STEM Education Pedagogy. Virginia Polytechnic and State University Master Thesis.
  48. Yakman, G. (2008). ST${\Sigm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steamedu.com/2088_PATT_Publication.pdf.
  49. Yakman, G. (2010). What is the point of STE@M?-A Brief Overview. http://www.steamedu.com/2006-2010_Short_WHAT_IS_STEAM.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