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Study on the Mathematical Contents Changed in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에 대한 종적 분석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6.04.15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was notified officially the last year. The intent and direction of the revision caused more or less change for mathematical contents to be taught and is expected to cause a considerable change in math class. In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t turned that several contents were deleted or moved to the upper grades because the revision focused especially both on reducing students' burden of learning and on fostering the mathematical key competenc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change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ince 1946. The mathematical content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were mixed calculation of natural numbers, mixed calculation of fractions and decimal fractions, position and direction of objects, are/hectare and ton, the range of numbers and estimating, surface and volume of cylinders, pattern and correspondence, and direct/inverse proportionality, which were changed in any aspect relative to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discussion will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교육과정 개정 주기의 단축으로 인해 새로이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개정의 취지와 방향에 따라 내용상의 적잖은 변화가 야기되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습자의 학습 부담 경감 및 교과 역량 강화를 위한 시간 확보의 차원에서 많은 내용이 삭제 또는 상향 이동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2015 개정시 큰 변화가 야기된 주제에 대해 역대 교육과정에서의 관련 내용의 지도 시기와 내용 범위를 조사하여 변화의 적절성 및 방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자연수의 혼합 계산과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 도형 영역에서 물체의 위치와 방향, 측정 영역에서 아르(a)와 헥타르(ha), 톤(t),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규칙성 영역에서 규칙과 대응, 정비례와 반비례이다. 분석 결과는 향후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강옥기, 강완, 박경미 (1996).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1). 1-14.
  2. 고정화 (2012). 초등학교 4학년 혼합계산 지도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4). 477-494.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수학 1-나. 두산.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슬기로운 생활 2-1. 두산.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6. 교육과학기술부(2013).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
  7.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8. 교육부 (2000). 초.중.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선명인쇄주식회사.
  9. 교육부 (2001). 수학 4-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0. 교육부 (2013a). 우리나라2. 지학사.
  11. 교육부 (2013b). 이웃2. 지학사.
  12.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2014. 09. 24 교육부 보도자료.
  13. 교육부 (2014a). 수학 3-2. 천재교육.
  14. 교육부 (2014b). 수학 4-2. 천재교육.
  15. 교육부 (2014c). 사회 3-1. 천재교육.
  16. 교육부 (2015a). 사회 5-1. 천재교육.
  17. 교육부 (2015b). 과학 5-2. 미래엔.
  18. 교육부 (2015c). 수학 6-2. 천재교육.
  19. 교육인적자원부 (200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별책 8].
  20. 구광조, 김흥기, 권세화 (1997). 제6,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 창간호, 157-173.
  21. 김성애 (2011). 초등수학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문자와 식의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인경 (2013).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정비례와 반비례 내용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정원 (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해은 (2015).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문제 해결전략과 오류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문교부 (1954a). 셈본 5-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6. 문교부 (1954b). 셈본 6-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7. 문교부 (1959). 산수 6-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8. 문교부 (1966a).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9. 문교부 (1966b).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0. 문교부 (1975).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1.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외 (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32. 박경미, 박선화,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신동관 외 (2015a).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33. 박경미, 박선화,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신동관 외 (2015b).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34. 박교식 (2011). 2007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79-598.
  35. 박상은 (2010). 초등학생의 비례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박선화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 및 개정 의의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고 1학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원교육, 23(1). 147-162.
  37. 백석윤 (2004).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방식 개선을 위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4(2), 157-170.
  38. 이명희, 백석윤 (2000).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4, 39-55.
  39. 이현아 (2006). 중학생의 비례개념(정비례,반비례)에 관한 이해도 조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혜경, 김선유, 노은환, 정상태 (2010). 혼합계산을 포함한 분수와 소수의 계산에서 피드백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77-399.
  41. 장혜원 (2015). 2학년 쌓기나무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학교수학, 17(2). 223-239.
  42. 장혜원, 강태석, 박원규, 김동원, 이환철 (2014).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2), 181-204.
  43. 정경호, 양승갑 (2001). 제6.7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명지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20, 1-23.
  44. 한대희 (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서의 쟁점 -2006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633-658.
  45.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청회.
  46. 황재용 (2012).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와 소수 혼합계산에서의 복합형 오류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Ameis, J. A. (2011). The truth of PEDMA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6(7), 414-420.
  48. Bowen, G. A. (2009). Document analysi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9(2), 27-40. https://doi.org/10.3316/QRJ0902027
  49. Gravemeijer, K. P. E. (2014). Transforming mathematics education: the role of textbooks and teachers. In Y. Li et al.(eds.), Transforming mathematics instruction: multiple approaches and practic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50. OECD (2013). PISA 2012 results in focus-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www.oecd.org/pisa.
  51. Steen, L. A. (1990).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National academ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