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형계획법에 의한 복합영농의 최적화 방안 - 충남 서산시 A농가를 대상으로 -

Analyzing Optimal Farming System Using Linear Programming - Case of Rice Farm in Seosan County, Chungnam -

  • 김창환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김성록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김소윤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Kim, Chang Hwan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 Rok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o Yun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5.03
  • 심사 : 2016.06.10
  • 발행 : 2016.06.30

초록

According to increasing the number of rice farm households, it is important to find optimal farm scale, farm crops, and labour constraints depending on growth time.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optimal farming system using the linear programming in Seosan county, Chungnam. The surve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o collect data from one farm household. Results show that farmers change their some crops in dry filed into ginger and hire farm labours in April. The findings should be of interest to rice farmers and policy makers to manage their farm effectively and to support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일. (2003). 농업기계화사업의 전망과 정책과제. 농업생명과학연구, 37(4), 51-67.
  2. 강혜정. (2005). 농가특징이 농업생산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농가단위의 패널자료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2(3), 495-507.
  3. 강혜정. (2013). 복합영농의 범위 경제성 및 생산 효율성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6(4): 73-92.
  4. 국립농업과학원. (2011). 농업기계 이용실태 및 농작업 기계화율. 수원: 농촌진흥청.
  5. 권태진. (1985). 미곡생산의 규모경제성과 대체탄력성 계측. 농촌경제, 8(4), 123-136.
  6. 김건수, & 유병서. (1986). 농업경영규모별 생산기술 분석. 농업경제연구, 27(1), 163-179.
  7. 김성용. (2004). 농가소득 불균형의 변화 추이와 소득원천별 분해. 농업경제연구, 45(4), 98-99.
  8. 김세헌. (2014). 현대경영과학. 서울: 무역경영사.
  9. 김제안, & 채종훈. (2009). 농가유형별 소득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2(4), 1641-1658.
  10. 김철규. (2006).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거시 역사적 접근. 농촌사회, 16(2), 183-211.
  11. 김학규, 정창주, & 정선옥. (1996). 대형 농기계의 효율적 이용을 고려한 포장구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1(3), 343-356.
  12. 농림부. (2005). 일반경지정리사업 백서 .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13. 농림부. (2010). 농업총조사. www.maf.go.kr.
  14. 농림축산식품부. (2014).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5. 농림축산식품부. (2015). 우리는 어디를 바라보면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가.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6.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5). 2014년 귀농.귀촌, 44,586가구, 전년대비 1.4배 증가.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7. 농촌진흥청. (2015a). 2014 농축산물소득자료집. 전주:농촌진흥청.
  18. 농촌진흥청. (2016b). 2014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전주: 농촌진흥청.
  19.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www.rda.go.kr.
  20. 박원규. (1998). 농업기계의 효율적 이용. 한국농업기계학회 심포지엄 자료집, 97-130.
  21. 박진도. (2010). 한국농촌사회경제의 장기변동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농촌사회, 20(2), 47-80.
  22. 서산시 농업기술센터. http://www.ss5959.kr/html/seosan/.
  23. 임정빈. (2014). 2014년 미국 신농업법의 농가소득지원 정책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6(3), 210-218.
  24. 유병서. (2000). 도농간 소득격차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27, 89-93.
  25. 유소이, & 김경미. (2003). 여성농업인의 농업노동과 가사노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농촌사회, 13(2), 245-270.
  26. 조영숙, 이덕재, 황대용, 박은식, & 고정숙. (2006). 전업.겸업농가의 가정 내 경제문제 인지의 변화. 한국농촌지도학회, 13(2), 256-276.
  27. 통계청. (2010). 농림어업총조사.
  28. 통계청 보도자료. (2015). 2015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29. 통계청 홈페이지. (2015). www.kostat.go.kr.
  30. 통계청 e-나라지표 홈페이지. (2015.11). www.index.go.kr.
  31. 한국농업기계학회. (2013). 농업기계연감 .
  32. 황의식, & 강혜정. (2006). FTA 추진에 따른 농가유형별 소득변동 분석. 농촌경제, 29(2), 1-10.
  33. Chaplin, H., Davidova, S., & Gorton, M. (2004). Agricultural adjust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farm households and corporate farms in central europe. Journal of Rural Studies, 20, 61-77. https://doi.org/10.1016/S0743-0167(03)00043-3
  34. Coelli, T, & Fleming, E. (2004). Diversification economies and specialisation efficiencies in a mixed food and coffee smallholder farming system in papua new guinea. Agricultural Economics, 31, 229-239. https://doi.org/10.1111/j.1574-0862.2004.tb00260.x
  35. Fleming, E, & Hardaker, J. B. (1994). Strategies for melanesian agriculture for 2010-tough choices. National Centre for Development Studies, Canberra.
  36. Kwon, O-S, & Lee, H. (2004). Productivity improvement in korean rice farming-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nalysis.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48(2), 323-346. https://doi.org/10.1111/j.1467-8489.2004.00240.x
  37. Livanis, G., Moss, C. B., Breneman, V. E. Breneman, & nehring, R. F. (2006). Urban sprawl and farmland pric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4), 915-929. https://doi.org/10.1111/j.1467-8276.2006.00906.x
  38. Lu, Q., & Miao. (2006). Farmer income differential in regions.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16(3), 199-202. https://doi.org/10.1007/s11769-006-0199-7

피인용 문헌

  1. 충청남도 논 경지규모별 농가비율 예측 -마르코프체인과 이차계획법을 중심으로- vol.24, pp.1,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