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Search trends about herbal medicine on online portal

온라인 포털에서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의미에 대한 고찰

  • Lee, Seungho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Anna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Sanghyun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Sangkyun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Seo, Jinsoon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Jang, Hyunchul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이승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김안나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김상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김상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서진순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장현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Received : 2016.06.01
  • Accept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Objectives : The internet is the most common method to investigate information. It is showed that 75.2% of Internet users of 20s had health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 So this study is aim to understanding of interest of public about the herbal medicine using internet search query volume data.Methods : The Naver that is the top internet portal web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provided an Internet search query volume data from January 2007 to the current through the Naver data lab (http://datalab.naver.com) service. We have collected search query volume data which was provided by the Naver in 606 herbal medicine names and sorted the data by peak and total search volume.Results :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herbal medicines which has less bias and sorted by peak search volume is 'wasong (와송)'. And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herbal medicines which has less bias and sorted by total search volume is 'hasuo (하수오)'.Conclustions : This study is showed that the rank of interest of public about herbal medicines. Among the above herbal medicines, some herbal medicines had supply issue. And there are some other herbal medicines that had very little demand in Korean medicine market, but highly interested public. So it is necessary to monitor for these herbal medicines which is highly interested of the public. Furthermore if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btained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it is possible to be utilizing herbal medicine monitoring service.

Keywords

Ⅰ. 서 론

대한민국은 명실상부한 인터넷 강국으로 2015년 7월 기준으로 인구의 85.1%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활용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목적(91.4%) 다음으로 자료 및 정보획득(89.4%)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나타나 보편적인 정보 검색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인터넷에서 건강보건 관련 활동으로 사용자들은 주로 정보 검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 이는 ‘이’의 연구에서도 20대의 75.2%가 건강정보 검색 경험이 있으며, 의료상담 경험은 7.2% 수준에 그친 것으로2)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인터넷에서는 건강 의료 정보에 대해서도 검색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상담보다는 주로 검색에 의한 정보 획득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일련의 검색 활동은 대중의 관심사를 내포하게 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구글에서 독감과 관련 된 일련의 키워드들의 검색량을 조합하여 독감의 유행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3)를 필두로 국외에서 마케팅, 사회현상, 정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검색량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다양하게 연구 되었다. 권 등4)의 연구에서는 실업률 예측을 위한 인터넷 검색 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거나, 류 등5)의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교통지표로서의 활용성을 보았거나, 보건의료분야에서는 권 등6)등이 국내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독감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와 같은 시도들이 계속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방법의 특성상 연구 대상 검색어에 따라 연구의 질적 차이가 확연하게 존재 할 수밖에 없는데, 앞선 연구 사례에서도 검색어 선정의 제한성 및 연구 주제와의 연관 키워드의 질적 개선을 연구의 한계성으로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한약과 관련하여서는 이러한 방법론적 접근 자체가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고, 연관 된 키워드들에 대한 고찰 또한 없는 상황이다. 구글과 네이버와 같은 대형 검색엔진 및 포털을 중심으로 검색어 트렌드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인식하고 검색어 빅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지만 포털의 원시 데이터가 아닌 가공·변환 된 데이터의 공개와 데이터 접근에 대한 제약, 그리고 연구 환경의 부재로 인하여 한약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 분야의 전반에서 활용 되고 있는 한약명을 대상 키워드로 하여 검색 트렌드를 조사 분석하여 각각의 검색량의 순위와 상대량을 파악하고 대중의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근거로 활용하거나 특정 한약재가 대중에게 어느 정도의 파급력을 미치고 있는지 예측하는데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데이터의 선정 및 특징

코리안클릭(KoreanClick)의 ‘2015. 12. 23. 제 251-2호’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포털사이트 순위는 네이버(http://naver.com), 다음(http://daum.net), 구글(http://google.com) 순으로 세계적인 추세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구글보다는 네이버의 영향력이 더 커서, 본 연구의 목적인 일반인의 한약재에 대한 관심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네이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의 검색량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네이버는 2016년 5월 현재 검색량에 대한 데이터를 네이버 데이터랩(http://datalab.naver.com) 이름의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데이터랩은 2007년 1월부터 현재까지 검색어별 통합검색 빈도를 대상으로 특정 검색어가 검색된 횟수를 주간으로 합산하여 조회기간 내 최대 검색량을 100으로한 상대적 지표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공개하고 있다. 따라서 최소 2개 이상의 검색어 비교를 통하여 상대적인 영향력을 추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1회 검색당 최대 3개의 주제까지 설정이 가능하며, 한 주제당 최대 20개의 검색어를 추가 할수 있는데 한 주제내의 검색어 검색량은 모두 합산되어 계산되기 때문에 개별 한약재의 검색량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1회 검색에 최대 3개의 한약재에 대한 상대적인 검색량을 비교할 수밖에 없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2. 대상 키워드의 선정

조사 대상 한약명은 본초학 공통교재7), 대한민국 약전8)과 본초 종합서적인 운곡본초학9)을 기준으로 606개의 한글 한약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 데이터의 수집 방법

데이터의 수집은 2016년 4월에 이루어 졌으며 조회 기간은 모두 2007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로 통일하였다. 먼저 각각의 키워드에 대하여 단일 키워드의 검색량을 조회 하였으며, 다음으로 두 개 이상 키워드 사이의 상대적 검색량을 수집하면서 앞서 기술하였던 네이버의 데이터 조회에 대한 제약과 실제 검색량과 상대지표 변환으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동시에 최대 두 개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검색량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대상 키워드 선정과정을 통하여 결정 된 조회 대상 키워드 집합을 Q라 하였을 때,

임의의 두 키워드 사이의 검색량 비(rsvr, relative search volume ratio)는 각 키워드의 주간 합산 검색량의 최대값(maxrsv, max relative search volume) 비율로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따라서 전체 키워드에 대해서 한 쌍씩 짝지어진 검색량 비집합(SVR, search volume ratio)은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하여 각 검색량 비는 2회씩 검색되었고 각 두개의 값이 서로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4. 검색량 순위의 결정 및 검색량비의 근사치 추정

앞선 방법을 통하여 임의의 두 한약재 키워드 사이의 검색량 비를 구했으며, 다시 이를 이용하여 전체 키워드 간의 검색량 순위와 검색량 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 개의 기준 키워드를 중심으로 나머지 키워드의 검색량비로 순위를 결정하려 했으나, 본 방법은 기준 키워드와 순위가 멀어 질수록 반올림에 의하여 정확한 순위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색량 순위와 검색량비의 근사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한약재 키워드 집합 중에서 최대 검색량을 가지는 키워드를 시작으로 그 다음으로 적은 검색량을 가지는 키워드를 결정 및 다시 두 번째 키워드를 기준으로 그 다음 순위의 키워드 결정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키워드 간의 순위를 결정하였으며, 이전 키워드와의 검색량 비를 누적하여 전체 키워드 사이의 검색량 비를 추정하였다.

 

Ⅲ. 결 과

먼저 앞선 방법을 통하여 조회 기간내 최대 검색량이 가장 많은 상위 50개 한약재와 50번째의 최대 검색량을 1을 기준으로하여 나머지 49개의 최대 검색량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RSVR : Relative search volume ratio

또한 최대 검색량은 기간 내 특정 시점의 일시적인 일반인의 관심 정도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조회 기간 전체에 대하여 누적 검색 총량을 함께 비교하는 것 또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조회 기간 내 단일 한약재의 누적 검색 총량 및 검색 총량과 Table 1의 검색량 비를 곱한 데이터를 구했으며 부자의 총 검색량을 기준으로 나머지 한약재의 총검색량을 상대적 비율로 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Table 2.*RSVR : Relative total search volume

 

Ⅳ. 고 찰

검색 트렌드와 같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비용적 이점과 거대한 표본 집단 및 데이터를 무기로 근래에 각광 받고 있는 연구방법이다. 하지만 잘 계회 된 설문연구처럼 의도가 분명하고 체계적으로 설계 된 연구 방법 아래 데이터가 수집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이 필수적이고 또한 획득 된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어 많은 경험적 지식과 배경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 결과에서 가장 많은 검색량을 보인 ‘신이’의 경우 검색결과에 한약재와 관련 된 정보는 미미 하였고, 검색 결과의 내용과 연관 검색어를 통하여 검색 의도를 유추해 보면 주로 배우에 대한 정보와 종교적 의도로 검색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동음이의어 대해서 편향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어서 검색어와 검색 결과에 대해서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진주’의 경우에는 한약으로 활용 되는 경우보다 일반적으로 보석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어 단순히 검색량 만으로 검색 의도를 파악 할 수 없는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인의 한의사가 검색량 상위 한약재의 검색 결과와 연관 검색어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 교차 검증하여, 편향이 적은 검색량 상위 10개의 한약재를 선정하였으며(Table 3), 이 과정에서 제외 된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3.*RSV: Relative search volume All romanization names are converted by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method.

Table 4.The key word list that is exclud

위의 한약재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의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실제 한약 시장에서의 한약재 소비 및 유통 현황과 관계를 고찰해 보기 위하여 국내 한약과 관련 된 대표적인 국가 연구 통계인 2014년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10)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특징적으로 한약 도매상에서 2013년도 한해 구입이 어렵거나 꺼려진 한약재와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실태조사에서 수급이 어려운 한약재는 어성초, 백수오, 구기자, 자소엽, 오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온라인 검색 트렌드 순위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5).

Table 5.+ : SV: Search volume * : The rank of hasuo which is a synonym for baegsuo.

위의 결과에서 한약재 시장에서의 한약재 수급 이슈와 검색 트렌드 순위 사이에 관련성이 적은 듯 보이나 검색 편향이 적은 한약재를 중심으로 비교해보면 자소엽을 제외한 수급 곤란한 약재 4개가 모두 검색량 상위 10개 항목에 포함 되었다. 또한 이러한 수급 곤란 이슈의 원인으로 한약재 도매상에서 대부분 가격급등으로 지목하고 있어, 검색 트렌드가 한약재 수급과의 가격의 연관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는 검색 트렌드가 대중의 한약재에 대한 관심 지표로 가정하면 예측 가능한 결과였다. 구체적으로 2013년도에 수급이 어려웠던 한약재를 대상으로 검색량이 증가하기 시작한 시점과 최대 검색량을 보인 시점을 살펴보면, 어성초의 경우 2013년도 8월부터 검색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대치는 14년 4월(Fig. 1), 하수오의 경우 최초 11년 8월에 검색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대치는 13년 9월(Fig. 2), 구기자는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았으나 검색량은 꾸준히 조금씩 증가하여 최대 검색량은 16년 3월(Fig. 3), 자소엽의 경우 어성초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Fig. 4). 그리고 오미자의 경우 11년 7월 갑자가 검색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주기적으로 검색이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14년 9월에 최대 검색량을 보였다(Fig. 5). 이는 오미자와 구기자를 제외하면 2013년도 기점으로 검색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거나 최대 검색량을 보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비교 대상으로 사용 된 한약 소비 실태조사 통계 조사는 조사주기가 길어 검색 트렌드와 같은 시계열적 자료를 얻기가 어렵고, 특히 수급 곤란 한약재 조사의 경우 응답자의 과거 회상에 의한 방법으로 자료가 수집되어 응답자의 회상에 의한 편향이 발생 될 가능성이 높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색트렌드와 한약 시장 실태와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2.Search trend for ‘eoseongcho(어성초)’

Fig. 3.Search trend for ‘hasuo(하수오)’

Fig. 4.Search trend for ‘gugija(구기자)’

Fig. 5.Search trend for ‘jasoyeob(자소엽)’

Fig. 6.Search trend for ‘omija(오미자)’

그리고 이와는 별개로 와송의 경우 동의보감을 기준으로 배합 된 처방이 2건으로 한방의료기관에서 사용 빈도가 낮고 소비량이 매우 적은 한약재로 상대적으로 다른 한약재에 비하여 중요도가 낮게 여겨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와송은 한약 전체의 검색 트렌드에서 최대검색량 6위, 누적 검색량 8위에 위치하며, 특히 편향이 적은 최대 검색량 순위에서 가장 많은 검색량을 보일정도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은 한약재로 나타났는데, 그 결과 와송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활용도는 낮으나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한약재의 경우 관련 정책 및 통계에서 경시되어 실제 유통 및 생산 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는 실제 의료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사이에서의 정보의 간극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는 한약과 관련 된 정책 및 연구를 수립하는데 있어서 와송 같은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한약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일반인의 관심 한약재가 독성과 관련이 있는 경우 사전에 예측 탐지하고 관련 의료지도나 정책 등의 발빠른 대응이 필요한데, 기존의 한약소비 실태 조사와 같은 전통적인 조사 방법으로는 정보가 누락되기 쉽고 관련 정보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이러한 검색량과 같은 연구 데이터를 활용 한다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한약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포털 사이트에서 2007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의 검색량을 조사하여 각 한약명의 최대 검색량, 누적 검색량의 순위와 상대값 데이터를 얻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추후 한약재에 대한 검색 트렌드와 각종 통계 및 조사 데이터가 융합되어 데이터의 신뢰도가 확보 된다면 일반인의 관심도가 높은 한약재를 사전에 탐지하여 한약재 수급 관리와 위험 한약재에 대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a study on internet usag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 : 23-41.
  2. Rhee HS, Lee KS, Kim MS, Hwang SH, Kim DS, Woo JW, Mun DH, Ryu JS, Lee TR. A Study on Health Information and Medical Consulting via Internet Focusing on the Age Group of 20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2 ; 10(2) : 255-67.
  3. Jeremy Ginsberg, Matthew H. Mohebbi, Rajan S. Patel, Lynnette Brammer, Mark S. Smolinski, Larry Brilliant. Detecting influenza epidemics using search engine query data. Nature. 2009 ; 457 : 1012-4. https://doi.org/10.1038/nature07634
  4. Kwon CM, Hwang SW, Jung JU. Application of Web Query Information for Forecasting Korean Unemployment Rate. J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015 ; 24(2) : 31-9. https://doi.org/10.9709/JKSS.2015.24.2.031
  5. Ryu IG, Lee JY, Park GC, Choi KC, Hwang JM. Analysis of Highway Traffic Indices Using Internet Search Data. J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15 ; 33(1) : 14-28. https://doi.org/10.7470/jkst.2015.33.1.14
  6. Kwon CM, Hwang SW, Jung JU. Monitoring Seasonal Influenza Epidemics in Korea through Query Search. J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014 ; 23(4) : 31-9 https://doi.org/10.9709/JKSS.2014.23.4.031
  7.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 Korean Herbology(Boncho-hak). Seoul : Younglimsa. 2010.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Pharmacopoeia. 11th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9. Ju YS. Ungok Herbology. Jeonju:Woosuk Press. 2015.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korea Medicine and herbal medicine usag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