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Minut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 - Alli Tuberosi Semen✳Alli Fistulosi Semen, Malvae Semen✳Abutili Semen, Plantaginis Semen✳Schizonepetae Semen

Stereoscope를 이용한 미세종자류 한약재 외부형태 감별연구(제2보(報)) -구자(韭子)와 총자(蔥子), 동규자(冬葵子)와 경마자(苘麻子), 차전자(車前子)와 형개자(荊芥子)-

  • 김영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본초학) ;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Received : 2016.05.26
  • Accept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propose discriminative keys with stereoscope for minute seed herbs easily mixed up, but hard to discriminate by naked eyes: Alli Tuberosi Semen(ATS)✳Alli Fistulosi Semen(AFS), Malvae Semen(MS)✳ Abutili Semen(AS), Plantaginis Semen(PS)✳Schizonepetae Semen(SS).Objectives : We reviewed the description of original plants and medicinal herbs from literature. The specimen of original plant were collected, determinated and compared to samples in the market. Primary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with naked eyes. and we found out other discrimination keys for non-distinctive herbs with stereoscope. Discrimination keys were set as the morphological criteria of authentic herbs, percentage of adulteration, and standards for discriminating genuine herbs from adulteration.Results : 1) ATS is bigger, has reticulate pattern on protuberant side and unique garlic chives taste. AFS which is usually mixed up, is smaller, has 1~2 ridges and unique welsh onion taste. 2) MS is smaller, has no villus, but its length of bumps are similar. AS easily mixed up, is bigger and has white villus. Its upper side bump is longer and more sharp. 3) PS has dent at middle of the back side. It becomes very sticky when it is put or boiled in water. SS which can be mixed up has no dent and low viscosity compared to PS.Conclusions : With this result, we propose discriminative keys which can identify the original plants and processed herbal state of six herbs. Because minute medicinal herbs are hardly distinguishable by sensory test, It is essential to differentiate by using stereoscope.

Keywords

Ⅰ. 서 론

정품 한약재를 사용하여 약물효능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더구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최종소비자의 한약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끊임없이 양질의 한약재에 대한 시비가 발생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논란의 시작과 중심에 약물의 정확한 기원설정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곧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등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한약재가 존재하는한 감별의 중심축을 차지하게 될 수 밖에 없다고 본다. 특별히 최근에 들어 발생하는 빈번한 의료사고(예 : 通草 혹은 木通의 사용에 있어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사용, 附子 및 草烏 川烏의 사용혼란 등)는 곧 사회적인 관심을 일으키어 한의학 전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상황으로 연결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주된 사용국인 동양3국에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규정설정을 하여 왔다. 이러한 제반내용은 공정서에 집약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공정서와 별도로 표준한약재 개발연구1)와 한국한의학연구원의 본초감별도감2) 등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학 및 개인차원의 연구3)도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별내용 자체가 모호한 부분이 많이 있으며, 실제 유통현장에서는 이에 근접한 위품·대체품·불량품이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어 대단한 혼란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기존 한약재 감별연구는 문제발생과 사용빈도수가 높은 한약재에 집중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 현실이며, 우선적으로 육안상구분이 그나마라도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식물류 한약재가 주로 취급되어지고 있고 그것도 뿌리, 잎, 줄기 종류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과실 종자중 크기가 작아 육안상 구별이 쉽지 않은 한약재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못하다. 일부 문헌에서 이에 대한 감별내용이 기술되어 있기는 하나, 이의 내용으로는 실제 유통에서 충분한 감별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는, 지4)등의 Stereoscope를 이용한 靑箱子와 鷄冠子, 免絲子와 紫蘇子의 감별연구가 유일하다. 이러한 한약재는 돋보기와 같은 단순확대경을 사용하여도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광학현미경과 확대경의 중간단계에 해당되는 확대현미경(Stereoscope)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에 저자는 1차발표에 이어 한약재 감별에서 크기가 작아 상호 혼입의 개연성이 높고 실제로 혼입되어 유통되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미세과실 종자류 6품목 한약재(韭子와 蔥子, 冬葵子와 苘麻子, 車前子와 荊芥子)를 대상으로 확대현미경(Stereoscope)를 이용한 감별 연구의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 한약재 6품목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Sample은 1차적으로 자연상태에서 동정을 거쳐 채집하였으며, 시중에 유통되어지고 있는 대상 한약재는 전국 4개권역(서울권역, 대전권역, 전라권역, 경상권역)에서 구입한 후 본 대학 본초학교실의 동정을 거쳐 확정하였다.

Table 1.NS = Natural status, HS = Herbal status

2. 대상 한약재 6품목에 대한 한의학적 효능차이(Table 2)

Table 2.The herbological effective difference of Sample

문헌에서 정리된 한의학적분류는 주된 대상한약재인 韭子冬葵子 車前子에 대한 내용에 집약되어 있으며, 위품으로 혼입되고 있는 기타 3종에 대한 언급은 부족하거나 심지어 荊芥子의 경우는 어느 문헌에도 언급된 바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분류가 확연한 종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수준에서의 명확한 분류와 효능검증이 있기 전까지는 현재수준에서 혼입 혹은 대체되어지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사안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이에 대한 감별기준점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3. 연구방법

위의 6품목 한약재에 대해서 1)자연상태와 한약재상태를 문헌에 따라 정리 검토하였고, 2) 자연상태에서 채집· 동정하여 표본품으로 확정하였으며, 3)유통품목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비교검토 하였다. 기본적으로 육안상으로 1차분류를 하였으며 미흡된 부분에 대해서 확대현미경(Stereoscope)을 이용해서 감별점을 확보하였다. 감별점의 기준은 ①정품의 형태기준 ②혼입의 정도 ③정품과 혼입품의 기준점 설정이다.

 

Ⅲ. 결과 및 고찰

대상한약재 6품목의 문헌 및 현장확인의 자연상태 분류 감별에 필요한 특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구자(韭子) - 부추 Allium tuberosum (Fig. 1)

Fig.1.Allium tuberosum

기원식물인 부추 Allium tuberosum는 다년생초본7,10,13,16,19,20,22,28)으로 높이 20~45cm7,13,19)이며, 根莖은 橫臥7,13,19)하고 다수의 鬚根7,19)이 있으며 鱗莖은 狹圓錐形13,16,22,28)이다. 잎은 基生7,13,16,19,20,22,28)하고 長線形(狹線形)7,10,13,16,19,20,28)이며 편평7,10,13,16,19,20,22,28)하고 全緣7,19)이다. 花梗은 葉叢에서 나오는데7,19) 花梗은 3菱形7,19)이다. 꽃은 繖形花序7,10,13,16,19,20,22,28)로서 白色7,13,16,19,20,22,28)이다. 열매는 蒴果7,13,16,20,28)로서 倒卵形16,22,28)으로 3菱16,22,28)이며 綠色7)이다. 종자는 黑色7,10,16,19,20,22,28)으로 6개16,20,22,28)이며 半卵圓形7,19)이다.

2) 총자(蔥子) - 파 Allium fistulosum (Fig. 2)

Fig.2.Allium fistulosum

총자(蔥子)의 기원식물인 파 Allium fistulosum는 다년생초본7,13,20)으로 약 50cm7,13)이며 다수의 白色鬚根7,13)이 있다. 鱗莖은 圓柱形7,13)으로 鱗葉이 層을 이룬다7,13). 잎은 基生7,13)하며 圓柱形7,13)이고 中空7,13,20)이다. 花梗은 葉叢에서 나오고 中空7)이며 꽃은 繖形花序7,13,20)로서 白色7,13,20)이다. 열매는 蒴果ㅊ로서 三菱形7,13,20)이고, 종자는 黑色으로 三角狀半圓形7,13)이다.

3) 동규자(冬葵子) - 아욱 Malva verticillata (Fig. 3)

Fig.3.Malva verticillata

동규자(冬葵子)의 기원식물인 아욱 Malva verticillata은 1∼2년생초본7,8,13,16,20,22)으로 줄기는 직립7,8,16,22)하여 30~90cm7,8,13,16,22)이며 柔毛8,13,16,22)가 있다. 잎은 互生7,8,13,16,20,22)하며 圓腎形7,8,13,16,22)으로 掌狀5∼7淺裂7,8,13,16,20,22)하고 基部는 心形7,16)이며 邊緣에 鋸齒7,8,13,16)가 있다. 꽃은 葉腋에서 나오고7,8,13,16,20,22) 작으며7,8,16,22), 花冠은 5瓣7,13,16)으로 倒卵形7,16)이고 淡紅色7,8,13,16,20,22)이다. 열매는 蒴果16,20)로 偏圓形7,13,16,22)이며, 종자는 腎形13,16)으로 紫褐色13) 혹은 黑色16)이다.

4) 경마자(苘麻子) - 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i (Fig. 4)

Fig.4.Abutilon theophrastii

경마자(苘麻子)의 기원식물인 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i는 1년생초본7,8,13,16,19)으로 줄기는 직립7,8,19)하며 크고(80~200cm)7,8,13,16,19) 長柔毛8,13,16,19)가 있다. 잎은 互生7,8,13,16,19)하며 圓心形7,8,13,16,19)으로 양면에 털이 密生7,8,13,16,19)하고 掌狀5(3∼7)脈8,16)이 있으며 基部는 心形7,8,13,16,19)으로 邊緣에 鋸齒7,8,13,19)가 있다. 꽃은 葉腋에서 나오고7,8,13,16,19) 花冠은 5瓣7,8,16,19)으로 黃色7,8,13,16,19)이다. 열매는 蒴果7,13,16,19)로 半球形8,13,16)이며, 종자는 腎形7,13,19)으로 褐色7,13,19) 혹은 黑色16)이며 柔毛13,19)가 있다.

5-1) 차전자(車前子) - 질경이 Plantago asiatica (Fig. 5-1)

Fig.5-1.Plantago asiatica

차전자(車前子)의 기원식물인 질경이 Plantago asiatica는 다년생초본7,10,13,16,19,28)으로 15∼50cm7,13,16)이며 鬚根7,19,28)이 있다. 잎은 根生(基生)7,10,13,19,28)하며 卵形 혹은 橢圓形7,10,13,16,19)이고 5∼7弧形脈7,13,16,19,28)이 있으며 基部는 좁아져 葉柄에 이르고7,13) 邊緣은 全緣7,13,16,19)이다. 葉柄은 길이가 葉片가 거의 비슷하다7,13,16,28). 花梗은 여러개7,13,16,19)이고 꽃은 頂生하는 穗狀花序7,13,16,19,28)로서 淡綠色이다. 열매는 蒴果7,10,13,16,19,28)로서 卵狀圓錐形ㅊ이고, 종자는 보통5∼6(4∼9)개7,13,16,19,20)이며 橢圓形7,13,19,28)으로 黑褐色7,13,16,28)이다.

5-2) 차전자(車前子) - 털질경이 P. depressa (Fig. 5-2)

Fig.5-2.P. depressa

차전자(車前子)의 또 다른 기원식물인 털질경이 P. depressa는 질경이와 비슷하나 다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털이 있으며 뿌리는 圓柱形直根13,16,19,28)이고, 잎은 長橢圓形7,16,19)이며 葉柄은 길이가 葉片의 1/3정도로 짧다7). 종자는 4∼5개7,16,19,28)정도이다.

6) 형개자(荊芥子) -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Fig. 6)

Fig.6.Schizonepeta tenuifolia

형개자(荊芥子)의 기원식물인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는 1년생초본7,10,11,13,16,20)으로 30∼100cm7,10,11,13,16)이며 全株에 灰白色柔毛7,10,11,13,16)가 있고, 줄기는 직립7,10,13,16)하며 4菱形7,10,11,13,16,20)이다. 잎은 對生7,10,11,13,16,20)하며 羽狀深裂7,13,16,20)하고 線形 혹은 披針形7,10,11,13,16,20)으로 양면에 白色柔毛11,16)가 있으며 邊緣은 全緣7,10,13,16)이다. 꽃은 穗狀輪繖花序7,10,11,13,16,20)로서 淡紫色7,10,11,20)이다. 과실은 小堅果7,10,11,13,16)로서 卵形 혹은 橢圓形7,16) 이고 棕色7,13,16)이다.

이상의 내용을 근간으로 자연상태의 채집 후 동정을 거친 6품목 한약재의 식물형태의 분류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약재상태의 문헌적 정리 및 stereoscope상의 확인모습

감별에 필요한 문헌기록은 실제 관능검사상 일부 확인되었으나, 미세종자류의 특성상 정확한 동정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면에서 stereoscope를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유효한 감별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① 구자(韭子) : 식물명-부추 Allium tuberosum : 名醫別錄 중품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며9,10,13,14,16,22)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類三角狀偏卵圓形7,9,15,22,24,26)으로 약간 납작14,17,19,27,28,30)하고, 길이 3∼4mm7,9,10,13~16,22,24,26,28) 너비 2∼3mm7,9,13~16,22,24,26)이다. 표면은 黑色7,9~17,19,22,24,26~28,30)으로 한쪽면은 편평 혹은 약간 오목7,9,10,12~17,19,22,24,26~28,30)하며, 다른쪽면은 약간 융기(類龜背狀)7,9,10,12~17,19,22,24,26~28,30)하였고 미세하고 불규칙한 網狀무늬7,9,12~17,19,22,24,26~30)가 있다. 頂端은 鈍7,9,12,13,15~17,19,27,30)하고, 基部는 약간 뾰족7,9,12,13,15~17,19,22,27,28,30)하며 2개의 작은 돌기(짧은 種臍와 비교적 긴 珠孔)13~16)가 있다.

種皮는 매우 얇으며14~16) 種仁은 白色22)이다. 단면은 油性이 풍부10)하며 胚는 白色7,15,16)이고 胚乳는 회백색14~16)이며 子葉은 1개14~16)이다. 質은 단단7,12,15,16,24,26~28,30)하며 氣는 특이7,12,16,17,24,27,28,30)한데 따뜻한 물에 담그면 부추의 독특한 냄새9)가 나고, 味는 씹으면 부추맛12,14~16,22,29)이 나며 약간 맵다17,24,26~28,30)(Fig.7).

Fig.7.The Semen of Allium tuberosum

② 총자(蔥子) : 식물명-파 Allium fistulosum : 名醫別錄에 蔥으로 중품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며13)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三角狀扁卵形13,17,24,26,27)으로 길이 2.5∼3mm7,9,14,15)너비 1.5∼2mm7,9,14,15)로서 韭子에 비해 작다15,28,29). 표면은 黑色7,9,12~15,17,24,28)으로 한쪽면은 약간 오목7,9,12~14,17,24,26)하며, 다른쪽면은 융기(類龜背狀)7,9,12~14,17,24,26)하였고 1∼2條 능선7,9,12~15,17,24,28)(그물무늬가 없다)7,9,12~15,17,22,24,26~28)이 있다. 基部는 2개의 돌기(짧은 種臍와 비교적 긴 珠孔)7,9,13,14,17,24)가 있다.

種皮는 매우 얇으며13) 種仁은 白色7,9,14,15,28)이다. 단면은 油性이 풍부7,9,14)하고 胚乳는 회백색13)이며 子葉은 1개13)이다. 質은 단단17,24)하고 氣는 특이28)한데 파의 고유냄새7,9,24)가 나며, 味는 씹으면 파맛12,14,15,17,22,28,29)이 나고 약간 쓰며 맵다(Fig.8).

Fig.8.The Semen of Allium fistulosum

이상의 내용을 근간으로 구자(韭子)와 총자(蔥子)의 감별 point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한약재상의 감별 point는 크기의 차이(韭子가 蔥子에 비해 크다), 융기된 면의 무늬(韭子는 불규칙한 網狀무늬, 蔥子는 網狀무늬가 없는 1∼2條의 능선), 씹었을 때의 맛(韭子는 부추맛, 蔥子는 파맛)의 차이이었다(Fig.9).

Fig.9.Left : A. tuberosum, Right : A. fistulosum

① 동규자(冬葵子) : 식물명-아욱 Malva verticillata : 神農本草經 상품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며8,13,14,22)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腎形7,13,14,16,18,21,22,27,30)이고 길이 1.5∼2mm7,18,21,25)로서 비교적 작다25). 표면은 棕黃色∼黑褐色16,18,22,27,30)으로 한쪽면은 비교적 얇고 凹下7,18)하다. 단면은 油性이 있어 씹으면 粘滑感22)이 있고, 子葉은 心形으로 2개가 重疊13)되어 있다. 質은 단단7,13,14,16,18)하며 氣는 약하고18,22,30) 味는 澁18,30)하며 담담22)하다(Fig.10).

Fig.10.The Semen of Malva verticillata

문헌기록상 너비 0.2cm로 기술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동규과를 잘못 기술한 것24)으로 사료된다. 果殼이 灰白色∼灰褐色24,26)이고 環形의 가는 주름7,18)과 방사형의 융기24,26)를 볼 수 있다.

② 경마자(苘麻子) : 식물명-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i : 唐本草(新修本草)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며8,13,15,16)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三角狀扁腎形13,15,16,19,21~26,30)이고 긴 부분은 길이 3.5∼6mm7,8,14,15,19,21,23,25,26,30) 너비 2.5∼4.5mm15,19,23,26,30) 두께 1∼2mm7,15,19,23,24,30)로서 비교적 크다(동규자의 2∼3배)21,22,25). 표면은 暗褐色7,13,15,16,19,21,23~26,30)으로 白色의 융모가 드물게 보인다7,8,13,15,16,19,23,24,26,29,30). 한쪽면은 비교적 뾰족7,8,13,14,16,22)하고, 중앙은 약간 凹陷8,14)한데 오목한 면(邊緣의 腎形凹陷處)에 線形 혹은 橢圓形의 淡棕色 種臍7,8,13~16,19,22~24,30)가 있으며 種臍주변의 방사상細紋15,19,23,24,30)이 보인다. 種皮는 질기고 단단7,8,13~16,19,22~24,30)하며, 단면은 油性이 풍부15,19,23,24,30) 하고, 子葉은 心形7)으로 黃色8,14)이며 2개7,15,19,22~24,30)가 重疊7,19,22,23,30)되어 있고 胚乳는 白色8)인데 子葉과 胚乳가 W자 모양으로 교차배열13,16)한다. 氣는 약하고19,22,23) 味는 담담19,22~24)하다(Fig.11).

Fig.11.The Semen of Abutilon theophrastii

이상의 내용을 근간으로 동규자(冬葵子)와 경마자(苘麻子)의 감별 point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한약재상의 감별 point는 크기의 차이(苘麻子가 冬葵子에 비해 크다), 윗면의 돌기길이(冬葵子는 비슷한 반면, 苘麻子는 한쪽이 길고 뾰족하다), 표면의 융모여부(冬葵子는 매끈한 반면, 苘麻子는 백색의 융모가 있다)의 차이이었다(Fig.12).

Fig.12.Left : M. verticillata. Right :A. theophrastii

① 차전자(車前子)는 神農本草經 상품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며10,16,22), 기원식물에는 질경이 Plantago asiatica와 털질경이 P. depressa 2종류가 있다(Fig.13,14).

Fig.13.The Semen of Plantago asiatica

Fig.14.Left: P. asiatica. Right: P. depressa

①-1.질경이 Plantago asiatica :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불규칙한 長圓形7,10~13,15~19,22,23,27,28,30) 으로 약간 납작6,7,10~13,15,16,18,19,22,23,27,28,30)하며 길이 약 2mm7,11~13,18,19,22,23,30) 너비약 1mm6,7,10~13,18,19,22,23,30) 두께 0.3∼0.5mm24)로서 비교적 크다22). 표면은 黑棕色7,11,12,15~19,22,23,28,30)으로 광택이 있으며6,10), 黑色小點6,10)이 있고 세밀한 그물무늬(皺紋)7,11,12,18,19,22,23,30)가 보인다. 背面은 약간 융기(활모양)6,10,12,15,16,17,22,24,28)하고 가운데부분은 灰白色의 凹點狀 小圓點(開眼)이 있으며,27,30) 아래쪽(底面)은 편평6,10,12,15,16,17,22,28)하고 珠孔 및 縫線을 볼 수 없다24). 중앙 혹은 한쪽 끝에 있는 種臍는 회백색15,17~19,22,23,28)으로 橢圓凹窩狀(凹陷)7,11~13,15~19,22,23,28)이다. 質은 단단11~13,18,19,22,23,27,30)하며, 단면은 회백색6,10,13) 혹은 담황색6,10)(乳白色의 胚乳와 胚16,17,22,28))이다. 氣는 弱6,12)하고 씹으면 점액성11,15,17,18,22,28)을 나타내는데, 물에 넣거나 끓이면 점액성이 더욱 강해진다6,10,11,13,15~17,22,24,28). 氣는 약하며17,18,19,22,23,27,28,30) 味는 담담12,18,19,23,27,30)하다.

①-2.털질경이 P. depressa :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扁(平)長橢圓形15~17,22,24)으로 약간 납작7,13)하며 길이 0.9∼1.75mm13,15,16) 너비 1mm이하7,22)로서 비교적 작다22,24,28). 표면은 黑棕色13,15~17,24)으로, 背面은 약간 융기13,15~17,24)하고 아래쪽(底面)은 편평13,15~17,24)하다. 중앙에 있는 種臍는 白色의 凹點狀13,15~17,24,28)이다.

② 형개자(荊芥子) : 식물명-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 假蘇라는 이름으로 神農本草經 중품에 최초로 기재되었으나10,11,13,16) 이는 荊芥 전초에 대한 기록이다. 문헌상에 橢圓狀三稜形인 小堅果에 대한 내용이 일부 기록되어 있으며 종자에 관한 기술내용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차전자 중 질경이 Plantago asiatica와 비슷한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나, 특이한 구별점은 背面의 가운데부분에 함몰부위(凹點)가 없었고, 한쪽 끝에 황백색의 과병흔적이 있는 점이었다(Fig.15).

Fig.15The Semen of Schizonepeta tenuifolia

이상의 내용을 근간으로 차전자(車前子)와 형개자(荊芥子)의 감별 point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한약재상의 감별 point는 背面의 가운데부분에 함몰부위(凹點)의 유무(車前子는 있지만, 荊芥子는 없다), 한쪽끝의 果柄흔적 유무(車前子는 없으며, 荊芥子는 있다), 물에 넣거나 끓였을 때의 점액성유무(車前子는 매우 강하며, 荊芥子는 약하다) 이었다. 한편 車前子중 질경이와 털질경이는 크기의 차이이었다(Fig.16).

Fig.16.Left: P. depressa. Middle: P. asiatica Right: S. tenuifolia

이상의 내용을 근간으로 자연상태의 채집 후 동정을 거친 6품목 한약재의 약재형태의 분류기준으로 사용될 검색표(discriminative Key in Herbs)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Ⅲ. 결 과

유통한약재 중 관능검사를 통한 감별에서 혼란을 빚고 있는 과실종자류 6품목 한약재(韭子 蔥子 冬葵子 苘麻子 車前子 荊芥子)의 Stereoscope를 활용한 감별기준설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韭子와 蔥子

2. 冬葵子와 苘麻子

3. 車前子와 荊芥子

이상에 근거하여 자연상태와 약재상태의 분류기준검색표(discriminative Key in Herbs)를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통해서 정확한 한약재의 감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크기가 미세하여 관능검사상 구분이 모호한 과실 종자류에서, Stereoscope를 활용하는 감별이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tandard herbal medicine developmen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2005.
  2.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al Materials vol 1, 2. Seoul : Geobook Publishing. 2014-2015.
  3. Kim JH, Lee KS, Choi GY, Kim YS :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Species of Medicinal Herbs Used as Jeonho (Qianhu) Using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Kor. J. Herbology. 2012;27(3):15-21. https://doi.org/10.6116/kjh.2012.27.3.15
  4. Ji CY, Kim TJ, Lee SH, Kim YS, Lee GS, Kim JH, Choi G, Ju YS.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 - Celosi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Cuscutae Semen, Perillae Semen. Kor. J. Herbology. 2013;34(3):1-12.
  5. Chen GT. General explanation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ijing : Xueyuan chubanshe. 1992: 792, 851-2, 880-2, 1304-11.
  6. Yan KY. Primary illustrated commonly used Chinese herbal medicine book. Taipei : SMC Publishing. 1980: 180.
  7.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Dictionary of Chinise herbal medicine.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1982:494, 965-8, 1360-1, 1400-1, 2245-7, 2062.
  8. Zai SM. Identification Manual of Chinese medicine. Kai Yip Book. 1985:170-3.
  9. Mao WS, Yan ZH, Mao XM, Liu SL. Herbal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1987:441-3.
  10. Zai SM. Chinese Medicinal Materials Science. Kai Yip Book. 1987:1032-4, 1045-6, 1082-5.
  11. Ren RN. Identification study of Chinese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8:479, 488-9.
  12. Guangxi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Primary color illustrated book to identify Chinese herbal medicines. Guangxi : Guangx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91: 122, 144.
  13. Hom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 Shanghai :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9: 5;338-9, 363-4, 7;194-5, 517-21, 8;26-30, 44-5, 48.
  14. Yan WM.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Beijing :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 157, 375.
  15. Zhang GJ. The Modern Practical Chinese identification techniques. Beijing :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131-4, 443-4, 558-9.
  16. Xiao PG. New Chinese medicine Journal. Chemical Industry Press. 2002:2;136-9, 213, 371-4, 509-12, 3;229.
  17. Chinese Herbal medicine and Biological Products, Guangdong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dictionary<3>. Guangdong : Guangdo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05:43-4, 108, 146, 161.
  18. Zhang SJ. Chinese Medicinal Herbs identify the user manual. Guangdong : Guangdong Tourism Press. 2005:471-2, 493-4.
  19. Yang SC. Essential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uthentication. Henan :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111, 128, 138.
  20. Sin JH, Sin YW. Hyangyak Herbal medicine of HyangyakJipseongbang. Daegu : Keimyung University Press. 2006:39, 345, 364-5, 367.
  21. School of Chinese Medicine.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Easily Confused Chinese Medicines in Hong Kong. Hong Kong : Chinese Medicine Merchants Association Ltd. 2007:134-5.
  22. Lee GF, Zhang JL. Rapid identification of Chinese herb commonly used in. Beijing : Ancient Chinese medicine Press. 2007:158, 188, 225-6.
  23. Wang ME, Pei HR. TCM character identification training materials. Beijing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2008:208, 236.
  2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herbal medicine discriminate Book. Daejeon : Homi Publisher. 2009: 174, 179, 197-8. 512.
  25. Zhao ZZ, Lee YS. Identification of a hundred Herb. Beijing :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9: 152-3.
  2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Guideline on the Visual and Organoleptic Examination of Herbal Medicine Vol. 4. Chungbuk :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0:37, 62, 63.
  27. Zhao ZZ, Chen HB. Chinese herbal medicine identification Dictionary. Fuzhou : Fuji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0:294, 310, 414.
  28. Liu JZ. Chinese herbal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 Guangdong : Guangdong People's Publishing House. 2010:190-2, 228-9.
  29. Wang ME. Identific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Beijing :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10:98-9, 110-1, 122-3.
  30. Chen SL, Lin YL. Zhongyao yinpian biaozhuntujian. Fuzhou : Fujian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3:119, 120, 214, 364, 461.
  31.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016:354-5, 366, 623.

Cited by

  1.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and Adulterant Seeds Using Microscopic Analysis vol.8, pp.11, 2018, https://doi.org/10.3390/app811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