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현호색科(Fumariaceae, 玄胡索科)식물은 19屬 400여종이 주로 북반구에 분포한다. 주요 속으로는 현호색屬Corydalis, 금낭화屬Dicentra 등이다. 한반도에는 덩굴며느리주머니 Adlumia asiatica Ohwi,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 외에 같은 속에 10여종이 자라며,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은 울릉도에 자라는 특산종이다. 수종이 원예용으로 재식된다1).
현호색科Fumariaceae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호색속(현호색과) 6종의 자성배우자체 발달과정2), 한국산 현호색속(현호색과) 주두 유관속계의 진화경향성 및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3), 날개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의 1신종4)이 진행되었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 중 외현호색(東北延胡索, Rhizoma Corydalis Ambiguae, 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은 中華本草에서 “味辛, 苦, 性溫. 歸肝, 胃經. 活血, 散瘀, 理氣, 止痛. 主治腹腰膝諸痛, 痛經, 月經不調, 産後瘀滯腹痛, 崩漏, 癥瘕, 跌打損傷.”5)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 중 효능에 관한 연구는 玄胡索과 제제 중 알칼로이드의 분리 및 분석에 관한 연구6), 현호색(玄胡索)과 초초현호색(醋炒玄胡索)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 비교7) 등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현호색科에 관한 性味나 效能에 관한 한의학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우선은 문헌적으로나마 한국에서 자생되고 있거나 재배되고 있는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 파악하여 체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논문으로는 한국산 綿馬科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8), 한국산 앵도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本草學的) 연구9) 등 다수의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현호색科에 대한 조사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현호색科Fumariaceae에 대하여 우선 문헌적으로 조사하여 총목록을 만들고, 이용 가능한 약재와 분포현황을 조사한 다음, 약용부위에 따라서 한약명, 학명 및 식물명 등과 더불어 각 약물의 성미, 귀경, 효능 및 주치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독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재료
국내외에서 발간된 역대 本草書, 藥用植物 및 일반식물 문헌을 중심으로 〈中華本草〉외 22種을 조사하였다.
2. 방법
III. 조사내용
1. 한국산 현호색科 식물에 대한 조사
한국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을 조사한 결과 덩굴며느리주머니Adlumia asiatica Ohwi 외 22種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1).
Table 1.Notes. ⓜ :藥用植物, Rh : 괴경, Bu : 주아, Ca : 등경, Fr : 과실.
2. 한국산 현호색科 식물중 약용식물에 대한 조사
(Table 1)에서 조사한 약용식물을 약용부위별로 분류,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全草類
현호색科 약용식물중 全草類는 좀현호색 Corydalis decumbens Pers.외 4種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2).
Table 2.The Herba of Fumariaceae
2) 塊莖類
현호색科 약용식물중 塊莖類는 외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외 4種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3).
Table 3.The Tuber of Fumariaceae
3) 根莖類
현호색科 약용식물중 根莖類는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1種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4).
Table 4.The Rhizoma of Fumariaceae
4) 根類
현호색科 약용식물중 根類는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Thunb.) Pers.외 3種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5).
Table 5.The Radix of Fumariaceae
3. 한국산 현호색科 약용식물의 분포 현황에 대한 조사
한국산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은 총 3屬 23種중 약용식물은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 를 포함하여 2屬 9種으로 분포현황은 다음과 같다 (Table 6).
Table 6.Notes, North regions : North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Whang-hae-do Jangsangot and Hamgyeong-nam-do wonsanman Middle regions :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Whang-hae-do Jangsangot, South area of Hamgyeong-nam-do, Chungcheong-nam-do Taean peninsula and Gyeongsang-buk-do Yeongilman South regions :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Gyeongsang-buk-do Yeongilman and Chungcheong-nam-do Taean peninsula
4. 약용부위별 분류에 따른 약물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1) 全草類
全草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는 다음과 같다 (Table 7).
Table 7.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Herba in oriental drugs.
2) 塊莖類
塊莖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는 다음과 같다 (Table 8).
Table 8.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Tuber in oriental drugs.
3) 根莖類
根莖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는 다음과 같다 (Table 9).
Table 9.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Rhizoma in oriental drugs.
4) 根類
根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는 다음과 같다 (Table 10).
Table 10.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Radix in oriental drugs.
Ⅳ. 고 찰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은 전세계에 약 19屬 425여種으로 구성되며 양귀비과에 합쳐지기도 하지만 乳液이 없고 꽃이 불규칙적인 것이 다르다. 북반구의 온대 및 아프리카에 가장 많으며 우리나라에 3屬 15종이 분포한다20).
현호색科Fumariaceae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호색속(현호색과) 6종의 자성배우자체 발달과정2), 한국산 현호색속(현호색과) 주두 유관속계의 진화경향성 및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3), 날개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의 1신종4)이 진행되었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 중 효능에 관한 연구는 玄胡索科 제제 중 알칼로이드의 분리 및 분석에 관한 연구6), 현호색(玄胡索)과 초초현호색(醋炒玄胡索)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 비교7) 등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호색科에 관한 性味나 效能에 관한 본초학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는 한국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을 조사한 결과 덩굴며느리주머니Adlumia asiatica Ohwi 외 22種으로, 이에 대하여 문헌적으로 총목록을 작성하였고, 약용식물을 정리하여 그 약용 부위와 起源, 韓藥名, 韓國名, 分布現況, 性味, 歸經, 效能, 主治症, 毒性등을 조사하였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은 우리나라에는 3屬 15種이 분포 한다고 알려져 왔으나20), 조사 결과 총 3屬 23種이며, 약용식물은 현호색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외 8種으로 조사되었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 총 10種중 양꽃주머니속 Adlumia이 1종, 현호색속Corydalis이 21종, 금낭화속 Dicentra이 1종으로 현호색속Corydalis이 가장 많았다.
약용식물 9種중 현호색속Corydalis이 8종, 금낭화속 Dicentra이 1종으로 현호색속Corydalis이 가장 많았다.
양꽃주머니속Adlumia은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1종이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현호색속Corydalis은 세계에 약 200종이 분포하고, 특히 중국에 많고 우리 나라에는 약 16종이 분포한다. 다년초 또는 월년초로 괴경은 짧고 둥글동글하며 잎은 호생하고 3출 또는 깃 모양으로 밑동에서 나온다. 꽃은 홍자색, 흰색 또는 노란색ㅇ,로 총상화서를 이루며 꽃자루가 있고 포가 있다. 금낭화속Dicentra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약 10종이 분포하고 우리 나라에는 1種이 분포한다. 다년초로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은 줄기 밑동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포가 붙는다. 꽃받침은 2장으로 비늘조각 모양이고 꽃잎은 4장으로 복주머니 모양으로 늘어선다11).
起源植物에서 延胡索은 圖解鄕藥大辭典14)에서는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을 기원식물로 하였고, 애기현호색Corydalis fumariae Maxim.,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 들현호색Corydalis ternata N., 댓잎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var. linearis (Regel) N.을 同屬近緣植物로 기록하였다. 또한 中藥大辭典15)에서 延胡索Corydalis yanhusuo W.T. Wang을 기원식물로 하였고, 왜현호색(迷延胡索)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과 큰현호색(齒瓣延胡索)Corydalis remota Finch ex Maxim.의 塊莖을 同屬近緣植物로 기록하였다. 임상본초학에서는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을 기원식물로 하였고, 애기현호색Corydalis fumariae Maxim.,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 들현호색Corydalis ternata N., 댓잎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var. linearis (Regel) N., 좀현호색Corydalis decumbens Pers., 빗살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var. pectinata (Maxim.) N.의 塊莖을 同屬近緣植物로 기록하였다.
현호색科Fumariaceae 약용식물을 각각의 약용부위에 따라서 중복하여 全草類, 塊莖類, 根莖類, 根類로 분류한 결과, 全草類는 좀현호색Corydalis decumbens Pers.외 4種, 塊莖類는 塊莖類는 외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외 4種, 根莖類는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L.) Lem. 1種, 根類는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Thunb.) Pers.외 3種으로 조사되어 全草類와 塊莖類가 5種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분포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문헌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Pers.는 전국에 분포하고, 눈괴불주머니Corydalis ochotensis Turcz. ·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im. ·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는 북 · 중 · 남부에 분포하고,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 ·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은 중·남부에 분포하며,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Thunb.) Pers.는 남부·제주도에 분포하며, 큰현호색Corydalis remota Finch ex Maxim.은 중부에 분포하며, 좀현호색Corydalis decumbens Pers.은 제주도에만 분포한다.
性味, 歸經, 效能, 主治는 全草類 藥物에서는 寒·凉性 藥物이 2緟 이었고, 苦味가 3緟, 歸經은 心經이 1種, 效能에서는 解毒의 효능이 있는 약물이 4種 이었다. 塊莖類 약물에서는 苦味가 5種, 溫性 약물이 5種, 歸經은 肝經이 5種, 效能에서는 活血·祛瘀·止痛藥이 각각 5種 이었다. 以上을 종합하면 性味에 있어서 苦味가 10種, 辛味가 8種, 澁味가 3種, 溫性藥이 7種, 寒·凉性藥이 3種 등의 順으로 나타나 苦味와 溫性약물이 제일 많았다. 歸經에 있어서는 肝經이 6種, 胃經이 4種, 心經 3種 등의 順으로 나타나 肝經으로 歸經하는 약물이 제일 많았다. 效能에 있어서는 止痛藥이 8種, 活血藥이 7種, 祛瘀藥이 6種 등으로 나타나 止痛의 效能이 있는 약물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效能에서 中藥大辭典15)에서는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L.) Lem.의 뿌리를 汁을 내어 술에 타 마시면 취하는데 이것은 金瘡의 성약이다” 고 하였다.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과 同屬近緣植物의 효능은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 ① 止痛―확실한 鎭痛작용이 있는데 粉劑의 진통효과는 阿片의 약 1/100이다. 각종 劑型 중에서 alcohol extract劑와 醋抽出流動 extract제의 작용이 가장 강하다. 독성은 醋抽出製劑가 가장 강하므로 임상에 있어서는 粉劑나 alcohol extract劑를 쓰는 것이 가장 좋다. ② Morphine의 진통효과를 100이라고 하면 延胡索의 총 alkaloid는 40, 漢防己의 총 alkaloid는 약 13이다. 兩者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진통작용은 증강하지 않고 오히려 약화된다. ③ 催眠, 鎭靜과 安定작용-Tetrahydro palmatine의 투여량이 비교적 많을 때는 토끼, 개, 원숭이에 대하여 확실한 催眠작용이 있다. 그러나 감각은 남아 있어서 쉽게 覺醒된다. 개에 피하주사 후 5~20분에 잠이 들고 80분 동안 지속된다. 여러번 투여하면 상당한 내성이 생긴다. ④ 기타 작용-Tetrahydoropalmatine은 strychnine의 痙攣발생을 억제하지 못하나 pentylenetetrazol의 경련작용은 억제한다. 그러나 전기 shock의 작용에는 대항할 수 없다. Phenytonin Na의 전기 shock에 대항하는 작용을 조금 도울 수는 있다. 개에 대해서는 가벼운 중추성 鎭吐작용이 있고 Rat에 대해서는 체온을 조금 저하시킬 수 있다14).
毒性을 띠고 있는 藥物은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Thunb.) Pers.의 全草5,14,15) · 根14,15),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Pers.의 全草5)으로 2종 3개 약용 부위에서 毒性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은 性味가 苦, 辛, 溫性과 肝經으로 歸經하는 약물이 많아서 止痛, 活血, 祛瘀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 중에서 아직 개발하지 못한 부분을 좀더 연구하여 임상에 활용해야 할 것이며 기원식물의 種數가 다양한 것과 近緣植物을 약용하는 것 들은 실험적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아직 정리하지 못한 다른 科의 식물들도 이러한 문헌적 고찰을 통한 기원식물을 조사하여 임상과 실험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Ⅴ. 결 론
국내에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현호색科Fumariaceae 식물에 대하여 국내외 문헌을 조사한 뒤에 총목록을 만들고, 그 가운데서 약으로 이용 가능한 약재를 조사하여 그 분포현황에 관한 조사와 약용부위에 따른 韓藥名·學名 및 鄕名등과 약물의 性味, 歸經, 效能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아울러 독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References
- Lee US. Plant Taxonomy. Seoul. Woosung. 2002 : 358-9.
- Oh BU, Jang CG. Development of Female Gametophyte of Six Species of Corydalis (Fumariacea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2 ; 32(4) : 467-80. https://doi.org/10.11110/kjpt.2002.32.4.467
- Oh BU, kim US. Evolutionary trends of stigma vasculature in Korean Corydalis (Fumariaceae) ,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1997 ; 27(1) : 41-58. https://doi.org/10.11110/kjpt.1997.27.1.041
- Oh BU, Kim UY, Ji SJ, Kim JG. Corydalis alata: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1 ; 40(2) : 79-84.
-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huabencao. Vol(3).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99 : 615-72.
- Kim YS.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Analysis of Alkaloid in Corydalis Tuber and Preparations. WooS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2.
- Lee JL, Park SJ, Kim YW, Cho IJ, Byun SH, Kim SC.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s of Corydalis tuber and processed Corydalis tuber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Korea Science Society paper appearance. 2011 ; 24(3) : 17-26.
- Jeong JG, Kim CH.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Aspidiacea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09 ; 24(2) : 57-66.
- Jeong JG.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Amygdalacea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6 ; 31(1) : 49-60. https://doi.org/10.6116/kjh.2016.31.1.49.
- Lee WT.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Seoul : Academy-Book Publishers. 1996 : 381-90.
- Lee, YN. New flora of Korea(Ⅰ). Seoul : Gyohaksa corporation. 2006 : 443-54.
- Lee WT. Lineamenta Florae Koreae. Seoul : Academy-Book Publishers. 1996 : 357-61.
- Lee CB. Coloured Flora of Korean(Up). Seoul : Hyangmunsa. 2003 : 414-23.
- Shin MK, Jeong BS. A unabridged picture dictionary of Hyangyak(herb medicine). Seoul. Younglimsa. 1990 : 593-8.
- Jiangsu xinyixueyuan. Zhongyao dacidian. Vol. zhong.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78 : 881-5, 1440, 3451-2, 1824.
- Jiangsu xinyixueyuan. Zhongyao dacidian. Vol. xia.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78 : 2039-40.
- Zhu YC. Plantae medicinales chinae boreali-orientalis. Harbin : Heilonggiang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89 : 435-46.
- Sh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 Younglimsa. 2002 : 731-2.
- Oh SY. Park JH. Distribution Map of Vascular Plants in Korea. Seoul : Academy-Book Publishers. 2001 : 452-7.
- Jeong JG, Ju YS. The herb medicinal resources. Seoul : Younglimsa. 2005 : 200.
- Lee ST. Ecologically in the Korean Society. Seoul : Academy-Book Publishers. 1997 : 193-5.
Cited by
- 한국산 마편초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vol.34, pp.1, 2016, https://doi.org/10.6116/kjh.2019.3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