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eachers in Culture & Art Education: Focused on Cartoon & Animation Courses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사차원 교육과정 개발과정 연구 -만화 애니메이션 과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5.01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ability to develop curriculums is a crucial factor in evaluating the expertise of a teacher who teaches culture & art education. Establishing a one-year plan for classes is an effort to create a well-designed curriculum for the year and also to foresee the big picture of classes in the corresponding year. A curriculum should not be composed of merely educational content or a series of knowledge and skills. It should be well-designed, based on principles of a coherent plan. This study examines organizational principles on which common curriculums are based on and looks at how a curriculum can be designed, especially for cartoon & animation classes, as part of Culture & Art education, and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such a curriculum, these steps should be followed: considering educational standards for cartoon animation classes; determining the learning experience, organizing the learning experience; and, lastly, evaluating the level of learning. In additi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class on cartoon animation should be formulated. This study suggests actual examples of an effective annual curriculum for cartoon animation classes based on all the factors presented above.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에서의 교사차원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원리 및 모델을 논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질적 주체인 예술강사가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이자 개발자로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원리와 구체적 방안에 대한 제안이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일반적인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살펴보고, 이들 원리를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함으로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교사차원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과 그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라서 실제로 만화 애니메이션 교육과정이 구성되는 절차를 살펴보고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구성 모형은 최근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백워드 교육과정을 적용, 보완하여 학습 목표와 평가의 계획을 강조하고, 이를 중심으로 환류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맥락에 대한 이해, 학습목표의 확인, 평가계획, 학습활동 계획의 순차적인 과정을 거쳐서 작성된 교육과정들은 학습자의 삶과 문화, 교사 자신의 맥락, 수업 환경과 다양한 교육적 맥락 등을 고려하는 동시에,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교육과정을 통해 어떤 목표에 도달해야 할 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평가 결과를 위해 수업 과정 중에 해야 할 일을 명시함으로서, 전 교육과정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교육 목표에 대한 달성을 돕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체계화 및 교육과정 개발 역량의 강화는 문화예술교육의 저변 확대 및 자유학기제 등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와 예술강사,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이지은.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010, 23.2: 383-409.
  2.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015.
  3. 김경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자로서의 초등교사, 교육과학 연구 제34집 1호, 145-161, 2003.
  4. 김경자.온정덕 이해중심 교육과정, 2014, 교육아카데미, p13,
  5. 김경자.온정덕,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도에 대한 인식과 수업분석, 초등교육연구, 2011, 24(3), 73-95.
  6. 김재웅.박유신.조정래, 문화예술교육표준 만화.애니메이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7. 김재웅.박유신, 애니메이션 교육 표준 분석 및 개선점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32 호, 63-90.
  8. 김재웅 외, 2012 문화예술교육 우수학습지도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9. 류재만 외,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교과서, 천재교육, 2016.
  10. 박민규.최종후.정명철.이동희.이영철.이홍철,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1. 박유신,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35호, 29-65.
  12. 온정덕.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4.1, 2013, 25-41
  13. 이기성.강성룡.김기혁.서혜란 2010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4.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서울: 한길아트, 2008
  15. 정현선.박유신.전경란.박한철.이지선.노자연(2015), 미디어 문해력(Media Literacy) 향상을 위한 교실수업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5-1.
  16. 조정래, 문화예술교육에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 분석, 만화 애니메이션 연구, 2013.6.29-55,
  17. 황금숙,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73-94.
  18. 황연주.정연희,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2004.
  19. 황정현.박정애.민경원.강현주.오레지나.박유신, 2009 문화예술교육과정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20. Assessment, I. T., & Support Consortium. (2011). InTAS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A resource for state dialogue. Washington, DC: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1. Association of Teaching Artist www.teachingartist.com (검색일자, 2016. 1.15)
  22. Bobbit, F. (1924). How to make a curriculum. Houghton Mifflin Company.
  23.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Y: Nichols.
  24. Drake.S.M,박영무,허영식,유제순 역, 교육과정 통합의 기초, 교육과학사.2009/원저:1998
  25. Schubert, W. H., Lopez Schubert, A. L., Thomas, T. P., & Carroll, W. M, 강익수 외 역, 교육과정 100년,(2009/ 원저 1980) p164
  26. Susan M Drake, 박영무 외 역, 교육과정 통합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9.
  27. Tyler, R. W. (2013).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Wiggins, G. P. & McTighe, J, 강현석 외 역, 백워드로 시작하는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2015/원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