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풀미역치과에 속하는 Cocotropus masudai 1개체 (표준체장 41.2 mm)가 2011년 7월에 제주도 연안에서 상업용 통발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XII, 9개를 갖는 점, 뒷지느러미 기조수 I, 8개를 갖는 점, 배지느러미 기조수 I, 3개를 갖는 점,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를 갖는 점, 아래턱에 5개의 감각공을 갖는 점 그리고 흉부의 끝이 다섯 번째 감각공을 지나는 특징을 갖는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C. izuensis와 유사하지만 전새개골의 가시수 (C. izuensis는 5개 vs. C. masudai는 4개를 가짐)와 흉부의 끝의 위치 (C. izuensis는 다섯 번째 감각공을 훨씬 지남 vs. C. masudai 도달함)로 구분할 있다. 그리고 이 종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풀미역치에 대해 등 지느러미 연조수가 9개 (풀미역치는 10~14개), 뒷지느러미 연조수 7개 (풀미역치는 10~13개) 그리고 배지느러미 연조수는 3개 (풀미역치는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돛치속"과 "돛치"로 제안한다.
A specimen of Cocotropus masudai (41.2 mm in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Aploactinidae, was firstly collected from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Korea by using a fish trap in July 2011.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XII, 9 dorsal fin rays; I, 8 anal fin rays; 12 pectoral fin rays; I, 3 pelvic fin rays; five preopecular spines; five sensory pores present on lower jaw and isthmus tip beyond fifth sensory pore. This species is similar to C. izuensis except for the number of preopercular spines (five in C. izuensis vs. four in C. masudai) and the anterior position of the isthmus (well beyond the fifth lower jaw sensory pore vs. the tip mostly reaching to the pore). In Korea, C. masudai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Erisphex pottii in having the dorsal fin with nine soft rays (vs. 10~14 for Erisphex pottii), anal fin with seven soft rays (vs. 10~13) and pelvic fin with three soft rays (vs. two). We propose new Korean names, "Dot-chi-sok" and "Dot-ch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