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환경 근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음주의 매개효과와 주관적 건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xposure to Hazardous Workplace Environment on Depress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문재우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Moon, Jae-Wo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ansei University)
  • 투고 : 2016.03.04
  • 심사 : 2016.04.30
  • 발행 : 2016.04.30

초록

Objectives: The working environment affects employees' physical and mental aspects, and has a deep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hazardous environment working experience impacts on depression, to provide rational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depression and drinking. Methods: This study targeted 215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4, 2015. We analyzed the data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experience work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increased depression and alcohol drinking, on the other hand alcohol drinking reduced depression. In addition, experience work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effected on depression indirectly through mediating of drinking, subjective health had not role of Moderating Effects between experience work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and depress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workers' depression and alcohol, the improvements of harmful environment are needed. For this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fforts to support enhancing workplace environment, to develop model of standard work environment, and to change employers' awareness on the harmful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희. 신체건강, 인지기능 및 심리사회 건강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 대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2. 고승덕, 손애리, 최윤신.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 2001;6(1):3-15.
  3. 구현진. 지역사회주민의 생활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련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8.
  4. 국민건강보험공단. 마음의 감기 "우울증" 환자, 70대 여성이 가장 많아. 2013년 3월 4일자 보도자료.
  5. 권현수. 장애인의 문제음주, 우울, 건강의 구조적 관계 - 빈곤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의 적용. 지역사회 연구 2010;18(3):131-153.
  6. 권현수, 성희자. 성인 문제음주가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2010;3(1):147-167.
  7. 김귀분, 석소현. 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9;20(2):197-2006.
  8.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2009;16(3):333-344.
  9. 김원 외 8명. 주요 우울증이 근로자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007;46(6):587-595.
  10. 김은정. 중공업 남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7):4758-4767.
  11. 김정호 외 6명. 40세 미만 사무직 근로자들에서의 흡연 및 비만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Korean J Health Promotion 2013;13(1):25-33.
  12. 김지미, 이정애. 노인의 우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한국노년학 2010;30(4):1311-1327.
  13. 김혜숙. 사무직 근로자의 창의적 성향,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2013;12(1):189-206.
  14. 박규철, 이경종, 박재범, 민경복, 이규원.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8;20(3):215-224.
  15. 박수경, 이충권.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음주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위기관리 논집 2014;10(2):57-76.
  16. 박재규, 이정림.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011;29:99-128.
  17. 박재홍, 이민경, 장용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10; 11(1):1-14.
  18. 손민성. 한국 보건학의 도전과 미래 : 임금근로자의 사회심리적 환경요소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2013년, 38-39.
  19. 손정은. 직장인 스트레스 우울증...방치하면 위험. 경향신문 2014년 6월 23일자.
  20. 송진영.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2014;34(4):523-553.
  21. 송진영, 박주선, 문재우. 장애인의 정신적 건강상태가 음주여부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및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013;23(3):175-203.
  22. 이은지. '직장인 우울증', 누구를 탓할까. 시사저널 2011년 2월 21일자.
  23. 신복재. 재가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4. 윤명숙, 조혜정. 지역사회노인의 음주행위,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8;26:254-287.
  25. 윤숙희, 배정이, 이소우, 안경애, 김세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및 흡연 행태. 보건과 사회과학 2006;19:31-50.
  26. 이규선, 이동배, 권인선, 조영채.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와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11;23(2):99-111.
  27. 이미애, 김대철.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13;24(1):37-49. https://doi.org/10.7856/kjcls.2013.24.1.37
  28. 이복임. 대인 접객서비스 근로자의 성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09;18(2): 232-241.
  29. 이수애, 이경미.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02;22(1):209-226.
  30. 이정애, 김지미. 노인의 우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한국노년학 2010;30(4):1311-1327.
  31. 이해종, 조경숙, 윤장호, 박현숙. 우울 경험, 진단 및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Korean J Health Promot 2014;14(1):9-16. https://doi.org/10.15384/kjhp.2014.14.1.9
  32.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근로자의 우울 관련 요인: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3;30(5):125-138.
  33. 전경숙, 최은숙.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1;20(2):119-129. https://doi.org/10.5807/kjohn.2011.20.2.119
  34. 전수현, 김지용, 조정진, 류정금. 직장인에서 작업특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2010;31(6):444-452. https://doi.org/10.4082/kjfm.2010.31.6.444
  35. 정덕진.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2014;34(2):247-275.
  36. 정은숙, 심문숙.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12):822-83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822
  37. 제갈정, 김광기, 이종태. 근로자 특성과 사업장의 조직 환경 특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010;28:5-31.
  38. 조기옥 외 5명. 직장 내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 노출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11;23(3):287-297.
  39. 조혜정. 일부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대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40. 조혜정, 서인균. 신체장애인의 우울발달궤적 예측요인 :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장애와 고용 2012;22(1):87-112.
  41. 최보라, 박수진, 최수찬. 기혼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WFC)과 문제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0;23(1):53-74.
  42. Ames GM, Janes CA. A cultural approach to conceptualizing alcohol and the workplace. Alcohol Health and Research World 1992;16:112-119.
  4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4. Chiang HH, Livneh H, Yen ML, Li TC, Tsai TY.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in Taiwan. BMC Nephrology 2013;14:78. https://doi.org/10.1186/1471-2369-14-78
  45. Conti DJ, Burton WN. The economic impact of depression in a workplace,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1994;36:983-988.
  46. Goetzel RZ, Anderson DR, Whithmer RW, Ozminkowski RJ, Dunn RL, Wasserman J. Health Enhancement Research Organization(HERO) Research Committe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able health risks and Health care expenditures: an analysis of the multi-employer HERO health risk and cost database.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98; 40(10):843-854. https://doi.org/10.1097/00043764-199810000-00003
  47. Jennifer U, Kacperek L, Clarke C. A prospective study of positive adjustment to lower limb amputation. Clin Rehabil 2009;23(11):1044-1050. https://doi.org/10.1177/0269215509339001
  48. Kolstad HA, Hansen AM, Kærgaard A, Thomsen JF, Kaerlev L, Mikkelsen S, Kristensen AS. Job strain and the risk of depression: Is reporting biased?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1;173(1):94-102. https://doi.org/10.1093/aje/kwq318
  49. Nolen-Hoeksema S, Alethea D, Sharon CW. Predictors of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depressed and non-depressed wome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3;150(3):967-973. https://doi.org/10.1016/j.jad.2013.05.022
  50. Sonnenstuhl W, Trice H. The social construction of alcohol problems in a union's peer counseling program. Journal of Drug Issues 1987;17(3): 223-254. https://doi.org/10.1177/002204268701700302
  51. Wang J, Schmitz N, Dewa C, Stansfeld S. Changes in perceived job strain and the risk of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9;169(9):1085-1091. https://doi.org/10.1093/aje/kwp037
  52. Yoon J, Bernell SL. The role of adverse physical health events on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Health Services Research 2013;48(1): 175-94. https://doi.org/10.1111/j.1475-6773.2012.01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