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학업성적별 자아유능감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competence on School Resilience by Academic Grades of Middle School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Jeon, Sang Nam (Departmen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투고 : 2015.09.17
  • 심사 : 2016.04.30
  • 발행 : 2016.04.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chool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388 survey samples were divided into high level group, middle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terms of the self-rated academic grades. Data were analyzed with $x^2$,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elf-rated health, self-competence and school 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grades. Second, the high and middle level group of self-rated academic grade showed the effect of self-competence(sport competence, self-worth) on school resilience.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programs and policies were required for improvement of self-competence and the school resil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욱. 초등학교 체육활동참여가 자아유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용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의철, 박영신.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II):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08;14(1):63-109.
  3. 교육부. 초중고학업중단 현황 발표 보도자료(2014.9.4). 세종: 교육부, 2014.
  4. 박병선, 배성우.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2012;14(3):215-238.
  5. 송승민, 이유현.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2;19(9):25-46.
  6. 송치경. 고등학교 체육수업만족이 신체적 자기 개념과 자아유능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1.
  7. 양미경. 학교의 주요 기능별 중요성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교육원리연구 2014;19(2):173-199.
  8. 원희욱, 임지영, 손해경. 자아존중감이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16(4):2684-2690.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684
  9. 이광순. 모델링 훈련이 자기유능감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2008;11(1):1-19.
  10. 이석기. 학교 부적응 실태 조사 및 자아존중감 향상 방안 제언. 전인교육학회 2009;1:281-315.
  11. 조선배.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영지문화사, 1996.
  12. 조은정, 이혜경. 청소년패널연구의 위험행동요인, 학교요인, 가족요인에 따른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학연구 2007;14(4):59-80.
  13. 한경진.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4. 홍준희, 이수연. 성적과 행동유형에 따른 여고생의 체육수업 회피요인. 스포츠과학연구소논총 2008;26:93-104.
  15. 이연주. 초기 청소년기의 우울 성향과 학교 성적과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16. Harter S. The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Child Development 1982;53:87-97. https://doi.org/10.2307/1129640
  17. Hernandez LP.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t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USA.: Stanford University, 1993.
  18. Idler E., Kasl SV. Health perceptions and survival: Do global evaluations of health status really predict mortalit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1;46:55-65. https://doi.org/10.1093/geronj/46.2.S55
  19. Kim H. Y., Frongillo EA., Han, S. H., Oh S. Y., Kim W. K., Jang Y. A., Won H. S., Lee H. S., & Kim S. H. Academic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of associated with dietary behviors and physical status.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3;12(2):186-192.
  20. Lipschitz-Elhawi R., Itzhaky H. Social support, mastery, self-esteem and individual adjustment among at-risk youth. Child & Youth Forum 2005;34(5):329-345.
  21. Pelkonen M, Marttunen M, Aro H. Risk for depression: a 6-year follow-up of Finnish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3; 77(1):41-51. https://doi.org/10.1016/S0165-0327(02)000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