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론에 기반한 게임 보안성 강화 정책 사례 연구

  • 유창석 (경희대학교 문화관광콘텐츠학과)
  • 발행 : 2016.06.30

초록

게임은 독자적인 하나의 가상 세계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게임을 서비스하는 기업은 별도의 사법체계에 가까운 정보보호 및 보안 체계 및 인력을 유지하는 경우도 많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활용하여 정보보호를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경제이론에 기반하여 사례를 간략하게 분석하였다. 가상 세계에서의 불법적 활동은 개인의 효용극대화라는 경제이론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며, 이를 볼 때 불법적 활동의 감소는 기대되는 수익의 감소 및 처벌 규모 및 발각확률 상승으로 인한 기대되는 비용의 증가를 통해 정책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적/보안조직 등에 대한 연구 및 방법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를 통하지 않더라도 게임 내 규칙을 변경하거나, 정책적 방향을 통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1) 불법적 이득을 감소시키는 정책 (2) 불법적 활동의 발각확률을 올리는 정책 (3) 불법적 활동에 대한 처벌에 대한 정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으며, 그동안 게임사에서 시도되었고 효과적이었다고 인지되는 여러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게임백서 2015, 문화체육관광부
  2. 이홍선, "온라인게임 해킹과 대응방안", 정보과학회지, 31(7), July 2013.
  3. G. Becker, "Crime and Punishment: An Economic Approach," in Essays in the Economics of Crime and Punishment eds. by G. Becker, and W. Landes, NBER, 1974.
  4. N. Ksheti, "The simple economics of cybercrimes," IEEE Security & Privacy, January/February, 2006
  5. 유창석, "부분유료화 과금모형 변천의 역사 - 한국, 일본,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지, December,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