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s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가상조작 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손태권 (대구옥산초등학교) ;
  •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6.10.11
  • Accepted : 2016.11.26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6th grade math geometric domain and developed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based RME theory. These materials were examine to find out how to effect on the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ttitudes by applying it to teach the 6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spatial sense to study mathematics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than normal one. This means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contents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flat learning environment. And it is great educational and effective method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spatial sense. Second, it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to study mathematics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than normal one. This means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contents makes student more participate learning actively. It helps the students who have passive learning habits to have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ability to cooperation and communic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is very helpful for student to improve their spatial sense and have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in mathematic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improving study habits in mathematical attitudes.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을 분석하여 RME에 기반한 가상조작도구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이 일반적인 수학 학습보다 공간감각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평면적인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RME 기반 3차원 가상조작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감각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3가지 하위 요소인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자기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길러주고 수업에 임하는 학습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둠 내에서 서로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 (2015a). 초등학교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3. 교육부 (2015b). 초등학교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5c).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5. 김혜정 (2003). 공간 시각화 활동을 통한 기하학습이 공간감각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나영 (2012). 각기둥과 각뿔 단원의 수업에서 사용하는 4D-Frame과 Cabri 3D의 효과에 대하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선정 (2011). Cabri3D를 활용한 수업이 입체도형의 탐구과정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준석 (2010). 실생활 수학교육(RME)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인수, 최창우 (2015).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이 수학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초등학교 5학년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23-345.
  10. 손현진 (2012).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화 교수. 학습 지도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희진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입체도형에 대한 개념이해와 공간 감각에 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태권 (2016). 가상조작 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리주 (2009).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도형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교과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영옥 (1997).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연구보고 RM 92-05-02.
  16.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 Linn, M. C., & Peterson, A, 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 1479-1498. https://doi.org/10.2307/1130467
  18.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 889-918.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
  19.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구광조.오병승.류희찬 공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20. Richardson, B. (2008). Developing spatial sense and communication skills reflect and discus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4(2), 1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