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Focusing on the Free Institutionalized Elderly in Gangwon-do Area-

시설거주 노인의 의사소통 기술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강원도 지역 무료양로시설을 중심으로-

  • 류해룡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4.21
  • Accepted : 2016.05.16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divided the communication skill of the aged into 5 subsidiary factors such as self-understanding, attentive listening, clear expression of intention, expression of personal feeling, and self-disclosure so a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and self-esteem and to search suggestions. For the methodology, senior citizens aged above 65 living in public institutions in Gangwon province (1 in Chuncheon, 1 in Wonjoo and 1 in Gangneung) were surveyed totaling 123 docum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kills, in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hobbies, religion, allowance and the most reliable person. Second, self-esteem, in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whether the person pays his/her living expenses, hobbies and health conditions. Third, communication skills tend to influence self-esteem that an elderly with more self-esteem is shown to have higher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elders living in public institutions, the following actions are suggested. They should be recommended with religion life, hobbies life and providing sufficient allowance, pay his/her own life expenses.

본 연구는 무료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사소통 기술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노인의 의사소통 기술을 자기이해, 바람직한 경청, 명확한 의사표현, 자기느낌 표현, 자기개방 등 5개 하위요소로 나누어 각 변인들과 자아존중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사점을 모색코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강원도의 무료양로시설(춘천1, 원주1, 강릉1)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총 123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기술수준 차이는 취미, 종교유무, 용돈, 가장 의지하는 사람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종교, 생활비 부담자, 취미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셋째 의사소통 기술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즉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수준도 높은 것으로 보여준다.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시설에 거주 노인들을 위해서는 취미생활과 종교 생활 그리고 충분한 용돈과 생활비 부담을 본인이 하게 한다면 자아존중감도 높아지고 의사소통 기술도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15.
  2.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 jsp
  3. 이선영, 김영훈, 김한성, "베이붐세대가 65세 노인인구로 전환 시의 만성질환 환자수와 진료비 예측," 보건행정학회지, Vol.23, No.4, pp.377-386, 2013.
  4. 박혜경, "성인지 통계로 본 강원도 베이붐 세대 여성의 실태," 강원성인지 통계, Vol.74, 2015.
  5. 최유호, 김윤정, 김용미, "시설노인의 성태도, 성욕구가 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pp.226-236,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26
  6. Y. R. Lee and M. S. Park, "A Study on The Leisure Program Constraint Factors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focusing on the fre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5, No.3, pp.41-58, 2005.
  7. 문숙재, 송혜림, 김선희, 이기영, 김난도, 김순미, 박미석, 조희금, 공공가정경영, 서울: 신정, 2009.
  8. N. Y. Yang and S. Y. Moon, "Effects of Self-Esteem and Health Status on Adaptation of Elderly Residents in Facilities," J Korean Acad Adult Nurs, Vol.22, No.5, pp.552-560, 2010.
  9. S. P. Hirst and B. J. Metcalf, "Promoting Self-Esteem," Journal of Gerontology Nursing, Vol.10, No.2, pp.72-77, 1984. https://doi.org/10.3928/0098-9134-19840201-06
  10. W. J. Lee,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Nursing Science, Vol.18, No.2, pp.31-38, 2007.
  11. K. S. Song,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7.
  12. 신희정,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존중감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서현석,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 김정환, 김향희, "노년층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문헌 연구," 언어청각장애 연구, 제14권, 2009.
  15. 정은, 이수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부부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1, 2007.
  16. 김영나, 노인들의 부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7. 김선우, 노년기부부의 의사소통행동과 결혼만족도,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2.
  18. S. H. Seo,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kills &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011.
  19. 정신섭, 노인의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가족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벤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0. 김성혜,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21. 김양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의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2. 송애랑, 여가활동프로그램 중재가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3. 김향숙, 강원도 노인복지(무료양로)시설 생활자의 여가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4. 장순자,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들의 여가프로그램 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5. 곽현근, 무료 노인 주거시설 입소자의 생활실태 및 욕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6. 신정화, "노인층의 여가현상과 문제점에 대한 관광레저연구," 제7권, pp.73-85, 1995.
  27. 서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스포츠복지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8. 윤진,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판사, 1985.
  29.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0. 정옥분,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2007.
  31. 이기순, 양로원 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회복지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2. S. Pamela, "Relocation Stress Syndrome: A Comprehensive Plan for Long-term Care Admissions," Geriatric nursing, Vol.16, No.3, pp.108-112, 1995.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039-4
  33. W. C. Chenitz, "Entry Into a Nursing Home as Status Passage: a Theory to Guide Nursing Practice," Geriatric Nursing, Vol.4, pp.92-97, 1983. https://doi.org/10.1016/S0197-4572(83)80057-3
  34. G. E. Lee, "Scale Development of Free Nursing Home Adjustmen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37, No.5, pp.736-743, 2007. https://doi.org/10.4040/jkan.2007.37.5.736
  35. 임현정, 노인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죽음 불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6. 박은아,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의사소통, 의사결정참여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3권, 제3호, 2005.
  37. 어주경, 정문자,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적 어려 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Vol.20, No.2, pp.21-40, 1999.
  38.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41
  39. G. L. Maddox, R. C. Atchley, J. G. Evans, R. B. Hudson, R. A. Kane, E. J. Masoro, M. D. Mezey, L. W. Poo, and I. C. Siegler, The Encyclopedia of Aging, Spring Publishing Company: New York, 2001.
  40.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2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40, No.1, pp.163-196, 2009.
  41. 송대현, 박한기, "한국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12, No.1, pp.79-96, 1992.
  42. 윤명숙,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Vol.32, No.2, pp.397-413, 2012.
  43. 곽아람, 허만세, 이신영,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Vol.35, pp.315-335, 2015.
  44. 정순둘, "시설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노년학회지, Vol.24, No.4, pp.107-122, 2004.
  45. B. F. Vanfossen, "Sex Differences in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Spouse Support and Equ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2, pp.130-143, 1981. https://doi.org/10.2307/2136289
  46. 김정선,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자아존중감, 일상생활활동능력,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28, No.1, pp.148-158, 1998.
  47. 이경미, "양로원 거주노인과 가정 거주노인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논문집, 제9권, pp.317-329, 1990.
  48. L. B. Taft,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 in Nursing Science, Vol.8, No.1, p.82, 1985.
  49. 하은호, 양로원 시설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0. 김영숙, 시설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노인들의 심리적 욕구 중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51. 전시자,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일 병원 입원 노인환자와 일 양로원 노인을 중심으로," 적십자 간호전문대 논문집, Vol.10, pp.125-144, 1988.
  52. M. Domken, J. Scott, and P. Kelly, "What Focus Predict Discrepancies Between Self and Observer Rations of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31, No.4, pp.253-259, 1994. https://doi.org/10.1016/0165-0327(94)90101-5
  53. D. Brage and N. Meredith, "A Causal Model of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Psychology, Vol.128, No.4, pp.455-468, 1994. https://doi.org/10.1080/00223980.1994.9712752
  54. 권정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5. 김미선,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6. 사영화, 조성제,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이용만족도와 일상생활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Vol.15, No.2, pp.706-716, 2014.
  57. 조추용, "노인의 죽음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63, pp.203-227, 2014.
  58. 구현정, 전영옥, 의사소통의 기법, 서울: 박이정, 2005.
  59. 이경순, 이미경, 김경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서울: 현문사, 2006.
  60. 이정우, 박은아, "노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 가족자원 경영학회지, 제7권, 제2호, 2003.
  61. 박지은,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2. 송민선, 안효자, 정영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의료커뮤니케이션, Vol.5, No.1, pp.40-48, 2010.
  63. 김연희, 김기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7권, 제1호, pp.157-189, 2002.
  64. 송기숙, 노인의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5. 곽경화,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이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pp.8-10, 2016.